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패미클론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종류 == * 국산 * [[https://blog.naver.com/deadlyrave/20164294838|코스모테크 게임엔진]] * [[영실업]] [[파스칼(패미클론)|파스칼]] * [[https://comandgame.tistory.com/11|삼근물산 조이콤]] * 퍼스트게임전자 [[게임박스]] * [[유니텍]] [[놀이틀]] * 우림산업 [[리틀컴]][* 다만 완전한 국산은 아니고, 대만의 [[NTDEC|Asder]] 패미클론인 PC-95를 수입 혹은 생산권리 라이센스를 샀던 것으로 추정된다.] * 테크라인 [[아빠 게임해]][* 일본산 패미클론인 FC-COMPACT를 리브랜딩한 것이자 밑에 있는 RetroN 1을 패미컴 형식으로 변경한 것으로 역시나 내장게임이 들어있으며 플러스의 경우는 중복게임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터틀몬과 동일하나 선택 시 사운드가 다르다.]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1307268?po=0&od=T31&sk=&sv=&category=&groupCd=|필코전자 스파지오]] * [[해태전자]] 슈퍼콤[* 대만 Aaronix사 패미클론의 리브랜딩.] * 엘리트전자 조이키드 * 게임덩크 캡틴[* 덩크 컴퓨터 시스템이라는 곳에서 만든 제품으로 국내 최초로 무선조종의 방식을 표방하였으며 원형이 해외판 메가 드라이브랑 똑같이 생겼다.] *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36278|AB전자 킹카 911]][* 자동차 같이 생긴 원형을 하고 있으나 굴러가지 않으며 파란색의 팩꽂이 전용과 빨간색의 152합 내장형태인 2가지가 있다.] * [[LG전자]] [[https://www.youtube.com/watch?v=eN8JY3VLR4U|디지털 이지 LG]][* 남미나 동유럽 수출형 같은 개도국용 TV에 내장됐었다. 아예 TV 안에 NES-on-a-chip + SRAM + EEPROM으로 구성된 패미클론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형태이다. 기술의 발전 덕분인지는 몰라도 의외로 64Kbit(8KB) SRAM을 사용해서 오리지날 패미컴(2KB+2KB) 보다 높은 용량의 SRAM을 사용한 것이 아이러니.] * [[LG전자]](금성사) [[https://consolevariations.com/collectibles/goldstar-famicom-p-g500aw-console|P-G500AW]][* 1994년에 출시된 제품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VHS 플레이어와 패미클론을 합친 제품이지만 VHS 플레이어와 연동 기능은 없으며 생산량이 극히 적어서 찾아보기 힘든 제품이다. 패미컴 호환칩 중에서는 성능, 호환성과 완성도가 가장 좋은 축에 속했던 UMC UM6561F-2 칩셋을 사용했으며, 무선패드를 사용하는 제품이지만 적외선(IR) 방식인 데다 레이턴시가 길어서 유선패드에 비하면 불편한 점이 있었고, 뜬금없게도 유선 패드를 연결하는 단자조차도 없어서 오직 무선패드로만 써야 하기에 빠르거나 복잡한 입력이 필요한 게임을 하기에는 다소 불편하다.] * [[대우전자]] 패밀리 노래방[* [[열림기획]]에서 노래방 소프트웨어개발 및 제작을 하고 대우전자에서 기기 제조 생산 및 판매 합작품] * 일본산 * ふぁみ魂家郎 * [[https://www.cybergadget.co.jp/products/4544859003417/|ファミレータ]] * [[http://www.gametech.co.jp/products/catalog/2226/2226_1.html|ネオファミ(NEO FAMI)]][* 북미판으로 YOBO가 있다.] * FC-MOBILE * FC-COMPACT * 8BIT COMPACT[* 위에 있는 아빠 게임해 원본이자 Hyperkin RetroN 1을 패미컴 단자로 교체해서 내장게임을 넣어서 리브랜딩한 것이다. 다만 이쪽도 워낙에 비슷한 종류나 형태가 다른 것도 있다.] * PLAY COMPUTER * [[레트로프리크|CyberGadget RetroFreak]][* 다만 이쪽은 레트론 5처럼 실기 방식이 아닌 에뮬 방식이다.] * 대만산 * Asder PC-95, PC-2000 * Samuri 60 in 1 * 소천재(小天才, Micro Genius)제 패미클론 시리즈[* 대만 TXC([[http://www.txccorp.com|台灣晶技股份有限公司]]. 본업은 수정을 가공해서 회로소자로 만드는 회로공업으로 여겨짐. 참고 : [[https://www.roc-taiwan.org/kr_ko/post/4367.html|#]])의 패미클론/게임기 브랜드. 패미클론뿐만 아니라 일부 [[중국제 테트리스 게임기]]를 생산하기도 했다. 이들의 패미클론은 주로 IQ-XXX 형번 시리즈로 나왔다. 영실업에서 파스칼 스테레오로 나온 것이 사실 이 회사의 IQ-701이다.] * Shin Ten Do Terminator 2(Ending-Man, 终结者)[* 1991년 경에 등장한 대만산 패미클론으로 당시 동구권, 인도에서 상당히 인기가 높았다. 심지어 일본에서도 소수가 판매되었을 정도. 대한민국에도 1990년대에 국제아카데미 K-007이나 메가시스템 배트맨2 라는 이름으로 조립해서 판매된 적이 있었으며 제법 팔렸었다. 초기 버젼은 UMC의 칩셋을 사용했으나 원가절감으로 다른 칩셋으로 변경되었다가 후기버젼은 원칩 형태로 변경되었다. 2010년대 중반까지 25년 이상 장기간 생산되다가 단종되었는데, 이후 2019년에 중국에서 클론의 클론이 재생산이 되면서 2020년대에 신품이 팔리고 있을 정도.] * 미국산 * [[https://www.retrousb.com/product/avs/21|RetroUSB AVS]][* [[AVGN]]이 보유하고 있던 NES가 다 고장나서 사용 중인 패미클론으로도 유명하다.] * Analogue NT[* [[FPGA]]를 사용한 NT Mini와는 다르게 실제 NES(패미컴)에서 나온 칩을 사용해서 제작되었으며 이 때문인지 소량 생산되었다.] * [[https://www.analogue.co/nt-mini/|Analogue NT Mini]][* 이후 동일회사에서 [[Analogue Pocket]]을 출시했다.] * Hyperkin RetroN 시리즈[* 레트로 관련 상품과 혹은 최신기종의 주변기기를 주로 판매하는 [[https://www.hyperkin.com/|Hyperkin]] 회사 브랜드의 패미클론. RetroN 1, 2, 3, 5가 출시되어 있으며, 5는 에뮬레이션 방식이니 주의. 그외에도 [[슈퍼패미컴]] 호환기인 슈파 레트론 HD, [[메가드라이브]] 호환기종인 메가 레트론 HD까지 만들었다.] * [[https://images-na.ssl-images-amazon.com/images/I/415J8GUp-KL.jpg|Generation NEX]][* 상당히 슬림하며, [[패미컴]]과 [[NES]]의 팩 모두 구동이 가능하다. 상단에는 일본판 패미컴의 카트리지 슬롯이 있고 전면에 NES처럼 밀어넣는 구조의 카트리지 슬롯이 있다.] * [[https://www.gamerztek.com/product-p/8-bit-hd.htm|8-Bit HD]] * [[https://retro-bit.com/|Retro-bit]] [[https://en.m.wikipedia.org/wiki/Retro_Duo|Retro Duo]] & [[https://en.m.wikipedia.org/wiki/Super_Retro_Trio|Super Retro Trio]] * [[아타리 플래시백 시리즈#s-2.1|아타리 플래시백 1]][* [[아타리 2600]]/[[아타리 7800]] 게임용이지만 하드웨어는 패미클론이다. 왜 이렇게 만들어졌나 하면 당시에는 패미클론이 그나마 싸게 게임기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에...] * 러시아산 * [[https://bootleggames.fandom.com/wiki/Steepler_Ltd.|스티플러]] [[댄디#s-6]] 시리즈[* 소천재 IQ-50X 시리즈의 리브랜딩 제품으로, 게임보이의 클론 또한 만들어진 적이 있다.] * 불명 * 페가수스[* 주로 동유럽 지역에서 팔렸다고 한다.] 이외에도 [[https://unauthorizon.org/|Unauthorizon]]이라는 해외 사이트에서 수집한 패미클론 관련 사진 자료들이 많다. 위키에 적혀져있는 건 빙산의 일각이라 볼 정도로 엄청나게 많다. 패미컴 아키텍처 기반이 아니라 다른 아키텍처도 포괄하긴 하지만...[* 패미클론 자료만 찾고 싶다면 기본 갤러리 열람 기준 필터를 Architecture에서 Famicom/NES로 하면 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패미클론, version=422, uuid=40a03e53-aa2e-4ff9-8634-1e8c83c9832c)]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