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텐코 시부키
(r17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여담 문단에서 텐코 시부키 및 주변 인물이 밝히지 않은 주관적 서술을 삭제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여담 문단에서 텐코 시부키 및 주변 인물이 밝히지 않은 주관적 서술을 삭제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방송 관련 === * 데뷔 직전까지도 이미지가 다채로웠다. 첫 PV부터 온화한 미소를 지은 다른 멤버들과 달리 혼자 비웃는 느낌의 표정으로 등장하며 큰 이목을 끌어 [[쿠소가키]] 취급을 받았지만 정작 커버곡에서 선보인 보이스는 맑아서 반전 매력이 있다는 평을 받았다. * 데뷔 방송에서 긴장하는 기색이 거의 없이 능숙하게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서 여러 시청자들을 감탄하게 만들었는데 데뷔 후 강지의 인터뷰 방송에서 밝히기로는 데뷔 방송을 마치고 울었다고 한다.[[https://youtu.be/IBESp_Yb_ek?t=11945|#]] 강지 피셜 "눈물이 많은 아이"라고 하였는데 데뷔 후 공포게임 플레이 때 우는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었다.[[https://youtu.be/hknLeTljbOM|#]] * 버튜버들이 많이 쓰는 SNS인 [[X(SNS)|트위터]]도 잘 몰라서 어떻게 하는지 몰랐다고 하며 노래도 스텔라이브 입사 후 처음 배웠다고 한다. X를 시작한 이후로는 적극적인 소통을 하고 있다. 방송 후기는 물론이고 본인의 트윗에 달린 대부분의 답글에도 하트를 눌러주는 편. * 3기 중에서 유일한 이종족 및 [[신]]적 존재이자 1000살로 최연장자이다. 반대로 인간 나이로 환산했을 때는 동기 사이에서 가장 어리다. * 텐코의 한자음 [[텐코|천호]]([[天]][[狐]])는 여우가 오래 살아서 요괴로 진화한 존재를 의미하지만 시부키 본인은 요괴가 아닌 원래부터 여우신이라고 언급하였다. * 귀를 머리카락으로 휘감은 죽순으로 보일 법한 특이한 헤어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시부키가 인간 세계에 나올 때 감추기 위한 것으로 머리카락을 벗겨서 평범하게 여우 귀를 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네코 마시로|선배]]와 달리 얼굴 옆에 귀가 없고 머리 위에 있는 여우 귀만 있다. * 첫 방송의 서사 애니메이션에서 작은 보라색 여우 모습을 공개해 스텔라이브의 수인 멤버들 중 유일하게 동물 모습이 드러난 멤버다.[* 유니, 칸나, 마시로는 시부키와 달리 수인형 모습만 보여주었다.] 이후 커버곡 뮤비에서도 본인의 본모습이 등장하기도 하였고, 키링으로 만들어 생일 굿즈로도 출시했으며, [[https://youtu.be/ds_xJWPyqyg|만우절 방송에선 아예 변신한 채로 방송하기도 했다.]] * 스텔라이브 소속 멤버 중에서 유일한 [[오드아이]]다. * 시청자를 포함한 스텔라이브 관련자들끼리는 이름의 첫 글자를 떼고 '부키'라고 부른다. * 초창기엔 1인칭을 '이 몸'이라고 불렀다. 물론 의식하지 않으면 그냥 편하게 '나'라고도 나온다. 자신을 여우 신이라고 지칭할 때 '키츠네카미사마'라며 일본어를 구사하기도 한다. 현 시점에선 '이 몸'이라고 부를 때는 자뻑할 때 정도. * 본인은 부정했지만 특유의 풍성한 머리카락과 커다란 여우 귀까지 더한 비주얼이다보니 머리가 크다는 인식이 많다. 선배인 유니도 보면서 "나보다 큰가?"라고 했고[* 서로 어깨를 맞추고 비교해본 바로는 부키가 조금 더 크다는 게 밝혀졌다.] '너의 본성이 보여'에서도 [[아오쿠모 린]]은 시부키의 머리가 크기를 언급하며 "큰"이라는 수식어를 시부키에게 주었다. 지금은 이 부분을 스스로 인정했는지 본인이 직접 언급하는 편이다. * 3기생 합방 시 연장자답게 진행 역할을 자주 맡는다. 동기들도 첫 합방에서 시부키를 센스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 진행 중 돌발 사태에서도 상당한 수습 능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 말을 할 때 가끔 단어가 꼬이는 말실수를 하는 편인데 그 말실수를 통해 블루 통신[* [[블루투스]]], 깜짝스럽게[* 깜짝 + 갑작스럽게], 목을 뻐선서[* 뻗어서], 곤간감각[* 공감 감각], 스트로베리[* [[Starry Way]] [[https://youtu.be/d6MyuSLx4pY|#]]] 와 같은 말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 방송을 키는 시각에 따라 방제로 '[[시(시간)|N시]]부키'를 많이 사용한다. * 방송에서 배경으로 사용하는 BGM은 さりい의 [[https://youtu.be/sBwCCtmp3Mo|start]]이다. [[멋봉리]] 때 부터 시작해 마인크래프트 방송에서 주로 사용하는 BGM의 이름은 같은 작곡가의 [[https://youtu.be/sENkYH0rB_o|かまくらぬくぬく]]인데, 시청자들에게 제목을 알려 줄 때 '카마쿠라누쿠누쿠'라고 읽는 것을 '카마쿠라메쿠메쿠'라고 잘못 읽어 혼동이 있었다. [[히라가나]]의 ぬ(누)와 め(메)가 비슷하게 생겨 착각할 여지는 충분히 있었다. * 3번째 커버곡인 [[レオ|레오]]와 그 전에 올린 [[https://youtu.be/rq9B0Te0LNU|쇼츠]]가 절묘하게 맞아 떨어졌으나 제작 과정에서 의도한 건 아니었다고 한다. 다만 해당 영상들을 연이어 올린 것은 의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 시부키의 첫 번째 커버곡인 [[당신에게 메롱|너에게 메롱]] 원곡의 투고일은 시부키의 생일인 3월 21일과 동일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