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테라리아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및 흥행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420px><table bordercolor=#333333,#010101><bgcolor=#333333,#010101><table bgcolor=#fff,#2d2f34>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width=25%><rowbgcolor=#333333,#010101> '''{{{#fff,#ddd 플랫폼}}}''' ||<width=37.5%> '''{{{#fff,#ddd 메타스코어}}}''' ||<width=37.5%> '''{{{#fff,#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PC|{{{#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terraria, g=, score=8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terraria/user-reviews, g=, score=8.7)]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 360|{{{#fff X36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360, code=terraria, g=, score=8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360, code=terraria/user-reviews, y=, score=7.3)]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3|{{{#fff PS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terraria, g=, score=8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terraria/user-reviews, g=, score=8.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iOS|{{{#fff iO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ios, code=terraria, g=, score=8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ios, code=terraria/user-reviews, y=, score=7.0)]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비타|{{{#white PS Vita}}}]]}}}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vita, code=terraria, g=, score=8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vita, code=terraria/user-reviews, g=, score=8.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 원|{{{#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terraria, g=, score=8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terraria/user-reviews, g=, score=7.8)]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4|{{{#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terraria, g=, score=8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terraria/user-reviews, y=, score=7.6)]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닌텐도 3DS|{{{#red 3}}}{{{#white D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3ds, code=terraria, y=, score=7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3ds, code=terraria/user-reviews, y=, score=7.2)]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terraria, g=, score=8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terraria/user-reviews, g=, score=8.6)]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date=2025-07-02, code=148, title=terraria, average=79, recommend=76, player=80)] 현세대 기준으로는 3D 그래픽보다 덜 선호되는 2D 도트 그래픽에 샌드박스 게임이라는 상당히 마이너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6천만 장 이상을 팔아[* 2025년 기준] 성공한 몇 안 되는 현대 게임. [[마인크래프트]]와 매우 유사해보이는 블록 채광 및 건축 샌드박스 게임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마인크래프트의 아류작으로 전락하게 될 것을 우려하는 게이머들이 많았다. 이런 우려와는 달리, 테라리아만의 확고한 세계관과 특색을 불어넣어 차별화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것에 성공해 큰 인기를 끌었다. 샌드박스 게임 특유의 광활한 월드와 높은 자유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난이도, 즐길 게 많은 콘텐츠, 멀티플레이 지원과 7년 동안이나 진행하고 있는 꾸준한 업데이트 등으로 인해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게임이 많이 불친절하다는 문제점은 자주 지적된다. 튜토리얼이 아예 없고, 가이드가 있긴 하지만 큼직큼직한 것만 알려주지, 세세한 정보까지는 잘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초보자들의 경우, 인터넷 정보나 공략을 보지 않으면 게임 진행 자체가 매우 어려워진다. 원하는 아이템을 얻으려면 어떤 몬스터를 잡아야 하는지,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야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등의 정보는 초보들에겐 알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또, 특별한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단순히 '집을 지었다', '체력이 높다' 등의 이유로 일정 확률로 초보자들에게 매우 위협적인 이벤트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략을 보지 않고 플레이하는 대부분의 초보자는 수없이 많이 죽으면서 직접 공략을 체득할 수밖에 없다. 업데이트를 과거에는 굉장히 자주 해왔지만, 현재는 이런저런 업데이트로 뜸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모바일 버전은 PC 1.3 이후 '''4년'''이라는 기간을 걸친 뒤에야 드디어 패치되었고, 개발진들이 최종 대규모 업데이트라고 직접 인증한 1.4도 2019년 말에서 2020년으로 연기되었다. 물론 그만큼의 상당한 퀄리티를 보장하긴 했지만, 공식 개발진은 1.4가 마지막 버전이라고 언급하였었으나, 1.4.5 업데이트 예고와 함께 마지막 업데이트 발언을 그만두겠다고 했다. 하지만 아직 업데이트 주기는 불명. 그리고 좋은 점이 하나 더 있다. '''바로 DLC를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게임 발매 이후 어지간한 게임의 DLC 몇 개를 가뿐히 넘을만한 분량의 컨텐츠 추가가 이루어졌음에도 그 모든 컨텐츠가 무료 업데이트의 형태로 추가되었으며, 유료로 구매해야 하는 컨텐츠는 게임 본편과 사운드트랙, 그리고 아더월드 사운드트랙 뿐이다. 알 사람은 알겠지만 '''[[엔터 더 건전|지금까지 잡지를 제외한 모든 DLC를 무료로 출시했다는 건 게임 업계에서 굉장히 드문 처사다.]]''' 테라리아는 충분히 재미가 보장된 게임이라 DLC를 유료로 팔았어도 상당한 수익을 얻을 수 있었을 텐데 왜 이런 건지는 불명. 심지어 가격도 굉장히 싼데 세일도 70% 이상으로 자주 하는편이라 정말 저렴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