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타케우치 타카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환골탈태 (2009년~) === ||<bgcolor=#fff>[[파일:attachment/e742ed3ce7ba578f605960457c536d42.jpg|width=100%]]|| || 왼쪽부터 [[료우기 시키]], [[알트리아 펜드래곤]],[br][[아오자키 아오코]], [[알퀘이드 브륜스터드]][* 2012년 작. ([[TYPE-MOON Fes.]] 키 비쥬얼 일러스트. 알트리아 펜드래곤과 알퀘이드의 선화는 타케우치, 료우기 시키와 아오자키 아오코의 선화는 [[코야마 히로카즈]]. 채색은 코야마 히로카즈.] || 사실 공개가 되지 않은 것뿐이지 착실하게 그림 수행을 쌓았다. [[공의 경계]] 신서판 표지(2007년), 미래복음 표지 & 만화(2008년), [[Fate/Prototype]]의 설정 원화, [[Fate/EXTRA]]의 타케우치 담당 원화(2010년 이전) 등을 보면 성장이 확실히 보인다. 사실 3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 시간만에 월희의 한심한 퀄리티에서 페이트 정도의 퀄리티로 크게 올라간 거 보면 노력을 게을리 하거나 노력을 해도 안 오르는 사람은 결코 아니다. 그림이 막 좋아지기 시작한 시기가 타입문이 신작을 안 내놓고 우려먹기만 하던 시절이라 그림의 발전을 눈치채지 못한 것뿐,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애초에 [[용기사07|까여도 안 바뀌는 이런 사람이 아닌 이상에야]] 그림 실력은 발전한다~~ 이 성장이 본격적으로 팬들에게 알려져 환골탈태 소리를 듣기 시작한 것은 2011년 후반 쯤.[* 그 전인 2009년도에도 일부 매우 관심 있는 팬들에게 실력이 늘어난 그림이 발견되어 엔하위키에도 관련 이야기가 가끔 올라오기도 했다.] 이는 페제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면서 신규 팬들이 늘어난 덕분이다. 요약하자면, 실력은 동인시절과는 비교하는 쪽이 실례일 정도로 늘었다. 2009년도부터 제대로 표현된 속눈썹, 인체가 꽤 자연스러워졌으며[* 특유의 떡 벌어진 어깨뽕은 여전하지만 보기싫을 정도는 아니라 특징적인 인체 정도로 변했다.] 타케우치 본인의 소년만화적인 화풍을 유지하면서 적당히 미려해진 그림을 보면 정변이라고 해도 좋은 수준. 물론 디자인만 타케우치가 그리는 거고, 여전히 채색은 타입문 스태프에게 맡기고 있기고 있다. [[Fate/Grand Order]]의 일러스트를 원작 디자인와 비교해보면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3665/read?articleId=2269441&bbsId=G006&itemId=557|확연한 차이가 보인다]]. 그리고 캐릭터 디자인 능력도 상당히 좋아졌다. 캐릭터별 특징을 유지하면서 미려하고, 세련되게 재디자인한다. 2012년에 공개된 신생 [[월희]]의 캐릭터 디자인과 UBW TVA의 시로와 린의 의상을 2010년대 트렌드에 맞게 새로 디자인했다. --그리고 페그오에서 디자인 잘한다는 평가를 죄다 깎아먹고 있다.-- 다만 [[Fate/Grand Order]]에서 다수의 캐릭터 일러스트를 담당하며 다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후술할 [[세이버 페이스]]와 같은 캐릭터 자가복제에 대한 지적은 물론, 구도 면에서도 [[발키리(Fate 시리즈)|발키리]]의 스탠딩 포즈가 잔 다르크의 디자인 포즈와 동일하게 뽑히는 등 복붙 논란이 있다. 심하면 발전되어 보이는 일러스트도 그냥 채색 담당의 보정일 뿐이라는 평까지 존재한다. 파생 캐릭터 및 영의 디자인 센스 또한 평이 꽤 갈리는 편으로, 특히 이벤트 관련 캐릭터 디자인은 각종 따로 노는 컨셉들을 한 번에 소화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보니 [[잔 다르크 얼터 산타 릴리]], [[잔 다르크(Fate/Grand Order)|잔 다르크]] 영의의 사례 처럼 어긋나버리는 경우도 존재한다. 게다가 붙임머리에 집착이 있는지 단발-장발로 바뀌는 캐릭터를 담당하면 전부 [[긴머리 투블럭|부자연스러운 붙임머리]][* 가채라고도 불린다. 링크로 걸린 긴머리 투블럭도 보통은 옆머리까지는 단발이어도 뒷머리는 별다른 경계 없이 장발이 되는 식으로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타케우치식 붙임머리는 단발 안쪽에 장발이 붙는 식으로 단발과 장발의 경계가 지나치게 뚜렷하여 이도저도 아닌 어색한 헤어가 된다.]가 되어 버리는 점도 호불호가 매우 갈린다.[* 그런다고 타케우치가 일반 장발을 못 그리는건 결코 아니다. [[토오노 아키하]]만 봐도 멀쩡하게 일반 생머리를 잘만 그리는걸 볼 수 있다. 자연스러운 긴머리 투블럭도 못그리는게 아닌게 [[락슈미 바이(Fate 시리즈)|락슈미 바이]]는 잔 다르크와 헤어스타일이 유사하나 어색한 붙임머리식 장발이 아니라 옆머리만 짧고 삐쳐나왔을 뿐 뒷머리는 자연스러운 장발이다.][* 이런 이상한 붙임머리에 대한 집착에 대해 팬들 내에서도 추측이 종종 나온다. 그중 하나가 타케우치는 원래 단발(보브컷)취향이고 긴 머리를 그려야 할때도 그 취향을 못 버려서 단발 + 장발 = 붙임머리를 내놓는게 아니냐는 것. 물론 어디까지고 팬들의 추측일 뿐이다. [[월희 리메이크]]에서도 이 취향은 못버렸는지, [[알퀘이드 브륜스터드]]의 리메이크판은 장발 버전일 때 또 붙임머리가 되고 말았다.] 그래도 일단 기본적인 퀄리티 자체는 페그오 내에서는 좋은 좋은편이고 붙임머리와 복붙만 빼면 크게 불편한 부분은 없다보니 타케우치가 담당한 일러스트에 대해 불호는 적다. 페스나부터 공의 경계, 월희에 등장하는 근본 캐릭터는 오히려 타케우치가 아니면 안될 정도로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일러스트레이터로 손꼽히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