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타카나시 호시노/수영복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PVE === 예로니무스는 [[페로로지라]]와 함께 인세인 클리어 수가 가장 적은 가장 어려운 총력전 중 하나로 꼽히고 있었으나 출시 이후 수영복 노노미와 함께 인세인을 박살내버렸으며[* 직전 실내 총력전에서는 나름 접대 캐릭터인 [[아리우스 스쿼드]]을 동원해도 인세인 클리어 인원이 세 자릿수에 머물렀었다.] 그 다음 실내전에서는 [[아케보시 히마리|히마리]]가 추가되며 인플레가 더욱 가속, 아예 인세인 1팟클이 침수되고 하드코어마저 모두 실버로 밀려나게 되었다. 토먼트에서는 아예 두 번 빌리는 것이 권장된다. 때문에 아리우스 스쿼트 조합을 밀어버리기 직전까지 상당히 공략이 어려웠던 시가지 [[예로니무스(블루 아카이브)|예로니무스]] 인세인, [[KAITEN FX Mk.0]] 인세인을 1팟클 해도 골드 침수되게 만드는 '''인플레이션의 주범이자 페스 캐릭터 성능 인플레의 시초로 꼽힌다'''.[* 이전 페스 캐릭인 와카모도 충분히 좋은 성능이라 평가받긴 하나, 오로지 신비 총력전에만 특화된 스킬 셋 탓에 범용성이 매우 떨어지기에 수시노부터 시작된 '''상성을 불문하고 최전방에 투입될 정도의 초고성능'''을 자랑하는 페스 캐릭 트렌드에 비하면 급차이가 꽤 난다.] 자체 특효 보정을 받는 컨텐츠에서는 사기 수준이고 그외 컨텐츠에도 1.58 코스트로 패 순환 속도를 증가시키며 38.5%의 공격력 버프를 광역으로 주는 세미 탱커라는 이점이 남아있기에 뉴비, 올드비를 불문하고 엄청난 채용률과 범용성을 보여주었다. 카이텐 역시 기존 2팟클 메타를 1팟클 메타로 바꿔버렸으며 카이텐도 끝내 인세인 1팟클이 침수되고 말았다. 야전에서 적성 B인 [[리쿠하치마 아루|아루]]가 애용품 버프와 수시노를 등에 업고 인세인 1팟클을 침수시킨 것이다. 아루의 지형 적성이 높은 직전 시가지 카이텐에서 인세인 총 클리어 인원이 6천명을 채우지 못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인플레이션이 일어난 셈이다. 여기서도 토먼트에서는 수시노를 빌리는 것이 사실상 필수이며, 반대로 말하자면 수시노의 인플레를 기준으로 나온 토먼트 예로니무스와 카이텐저 모두 1, 2팟 안에 클리어하지 못한다면 도전조차 못하거나 지옥의 10파티 이상 총력전을 벌여야 했다. 상성상 이득을 볼 수 없고 폭발 특효 버프가 무의미한 컨텐츠인 신비 타입 공격을 해오는 [[페로로지라]]에서도 1팟클 버퍼로 쓰이는 등 자체 성능은 어디에서나 써도 밥값을 하며, 수시노가 쓰이지 않는 컨텐츠는 수시노가 강제 퇴각당하는 것을 막지 못 하거나 기믹 파훼에 필수적인 학생들의 기용에 밀려 자리를 못 내는 경우 둘 뿐이다.[* [[호드(블루 아카이브)|호드]]는 이미 수시노가 나오기 전부터 인세인 1팟클을 할 수 있었으며, CC기를 필요로 하는 기믹 특성상 약점이 찔리는 수시노를 범위 공격에서 지켜줄 탱커나 힐러를 같이 넣을 틈이 없다. 반대로 말해 호드의 공격속성이 신비가 아니었다면 호드에서조차 [[렌카와 체리노|체리노]] 대신 수시노를 썼을 것이다.] 신규 난이도로 나온 토먼트에서도 그 성능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는데, 신비나 관통 속성 총력전의 경우 미카, 정월 카요코 등 사기캐들이 출시됐음에도 고점이 최소 3파티를 요구하는 반면 폭발 총력전은 최적화를 어느 정도 진행하면 바로 수시노를 두 번 사용하는 2파티 클리어가 나오고 있다. [[그레고리오(블루 아카이브)|그레고리오]]에서는 대놓고 수시노를 저격하기 위해 일정 시간마다 모든 학생에게 신비 속성의 피해를 확정 치명타로 가하고 스트라이커 캐릭터들의 공격력을 낮추는 기믹까지 총동원했으나, 인세인까지는 어떻게 채용한 택틱이 등장했고 '''그게 고점이었다'''. 물론 토먼트에서는 도저히 버틸 수 없기 때문에 얄짤없이 봉인.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임시노의 출시로 인해 그레고리오 토먼트에서 힐러 없이도 생존이 가능하다는 사실[* 이전에도 광역기만 맞으면 버틸순 있으나 성가대 평타까지 맞으면 죽는 것이었다.]이 밝혀졌고, 쌍시노 택틱으로 인해 결국 토먼트 고점을 수시노가 차지했다. 제작진도 이런 걸 인지한 모양인지 [[게부라(블루 아카이브)|게부라]]는 아예 스트라이커가 스페셜의 데미지량을 이길 수 없게 차이를 벌려버린데다 신비특효 75%까지 달고 나와서 게부라에서는 손 쓸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그레고리오 루나틱에서는 성자의 속삭임 스킬에 스트라이커의 공격력을 더 깎아내고 그 디버프를 지울 수도 없게 변경 되어서 루나틱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스페셜 딜러 파티에서 그로기 게이지를 일부러 덜 채우고 드히나 팟을 내보내어 그로기 채워서 성자 스킬을 캔슬하면 채용 가능할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우선 그로기 요구 데미지량이 3억 7500만이라 거기에 근접하게 맞추는 것부터 일이며 이걸 제대로 할려면 디버프 요원을 한두명 버려야 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묘귀 쿠로카게|쿠로카게]] 총력전에서는, 쿠로카게의 공격 타입이 신비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대미지가 높지 않아 토먼트 난이도에서까지 채용이 된다. 탱킹도 되는 방어력과 버프, 코스트 가속 능력으로 실질 만능 캐릭터 수준의 성능 때문에 총력전이 아닌 챌린지 등의 컨텐츠에서도 슌, 체리노, 히마리, 키사키 등과 함께 곧잘 쓰이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