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타이토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슈팅 게임]] === [[토아플랜]]이나 이스트 테크놀러지에서 외주를 맡은 게임은 목록에서 제외. 일부 게임들은 액션+슈팅 형식이라 2중으로 등록된 것이 있을 수 있다. * [[건 프론티어]] (1991.1) ☆ * [[그리드 시커]] (1992.12) ☆ * 기기괴계(奇々怪界) 시리즈 * [[기기괴계]] (1986.10) * 기기괴계 수수께끼의 검은 망토 (1992.12.22) - 제작 [[나츠메아타리]], [[SFC]] * 기기괴계 월야초자 (1994. 6.17) - 제작 [[나츠메아타리]], [[SFC]] * 기기괴계 검은 망토의 수수께끼 (2022. 4.21) - 제작 [[나츠메아타리]], [[PS4]], [[Nintendo Switch]] * [[다라이어스 시리즈]] (1986~2016) ☆ * [[다라이어스]] (1987.1) - [[메가 드라이브 미니]] 이식 (2019) * 다라이어스 EXTRA - [[메가 드라이브]] (2021) * 다라이어스 엑스트라 버젼 (1987) * 다라이어스 코즈믹 레볼루션 (2021) - 플스4, 닌텐도 스위치 * [[다라이어스 2]] (1989) * 다라이어스 트윈 (1990) - 발매 전의 임시제목은 '다라이어스2 스페셜' * 사가이아 (1991) - 다라이어스 2 해외판의 제목. 1편을 어레인지한 게임보이판, 다라이어스 2의 [[세가 마스터 시스템]] 이식판(일본 미발매)의 타이틀로 사용. * 다라이어스 포스 (1993) - 발매 전의 임시제목은 '다라이어스 3' * [[다라이어스 외전]] (1994.9) * [[G 다라이어스]] (1997) ☆ * G 다라이어스 Ver.2 (1998) - 난이도 향상, 스코어링 개선판 * [[다라이어스 버스트]] (2009) * [[다라이어스 버스트 어나더 크로니클]] (2010) * [[다라이어스 버스트 세컨드 프롤로그]] (2012) * [[다라이어스 버스트 크로니클 세이비어즈]] (2016) * ~~다라이어스 3~~[* 다라이어스 2에서 X존을 노미스 클리어하면 스태프 롤이 다 지나간 후에 게임에 등장하지 않은 보스가 나타나면서 '''내년은 다라이어스 3'''라는 메세지가 뜬다. 속편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지만 정작 다음해에는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 사실 이 문구는 장난 삼아 넣은 거라고... 개발 완료 전에 없앴어야 했는데 잊어버려서 결국 그대로 남았다고 한다.] * 사이바리온 (1988) ☆ - 트랙볼 조종의 액션 슈팅 게임. 실력과 결과에 따라서 난이도, 코스, 스토리, BGM이 바뀌는 컨셉이다.총 103개(실은 사용되지 않은 하나까지 포함, 104개)의 엔딩이 준비되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vCTU6k79g|엔딩 모음집]]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지만 세계관이 일부 이어져 있다.[* [[실버 호크]]의 금색 버전인 골드호크가 원군으로 나타너서 주인공 기체를 도우며(주인공의 형이나 누나가 타고 있다.), 초대 주인공인 프로코와 티아트가 등장해서 베르서 군단을 저지하는 스토리도 있다. 그리고 보스 캐릭터 일부와 영파방지 캐릭터가 다라이어스 포스에서 비슷한 보스로 나온다. 또한 스토리에 [[레이메이즈]]와 관련되어 있음.] * 아스카 & 아스카 (飛鳥 & 飛鳥) (1989.1) * [[아수라 블래스터]] (1990) - 제작 비스코 * [[아크로뱃 미션]] (1991) - 제작 [[UPL]] * 알팩스 Z (1986. 5) - 제작 우드플레이스 재팬. [[https://blog.naver.com/sunlin77/222708548597|◇]] * 미션 660 (1986. 7) - 제작 우드플레이스 재팬. 알팩스 Z 후속작.[[https://blog.naver.com/sunlin77/222708937404|※]] * [[데드 커넥션]] (1992) * [[레이 시리즈]] * [[레이포스]] (1994.1) ★ * [[레이스톰]] (1996) * [[레이크라이시스]] (1998) ★ * 루나 레스큐 (1979.12) [[https://blog.naver.com/sunlin77/222064837141|☆]] -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기판을 유용해서 제작. [[타이토 메모리즈]](PS2), 스페이스 인베이더 인빈서블 컬렉션 스페셜 에디션 (2020, [[닌텐도 스위치]]) 이식. 데모 화면 & 3 라운드 클리어 후, [[스페이스 인베이더]] 캐릭터+[[스페이스 인베이더 파트 2]]의 30점 자식 인베이더 캐릭터 찬조 출연. * [[람보 3|람보 III]] (1989) - [[카발]] 형식의 진행형 슈팅게임. 미국판과 유럽판만 존재한다. (일본판도 제작되었지만 결국 출시는 무산.) * [[마스터 오브 웨폰]] (1989.5) ☆ * YUKIWO (1989) - 마스터 오브 웨폰의 [[프로토타입]]([[로케 테스트]] 버전). 그 전까지 인터넷 상에서 [[https://unmamed.mameworld.info/non_taito.html|2장의 스크린샷]] 밖에 볼 수가 없었던 환상의 게임이었지만, 드디어 프로토타입 판의 롬이 덤프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6n-oRAI8Cw|실기 플레이 영상]] [[https://mamedev.emulab.it/haze/2014/02/04/yukiwo/|아케이드 판과 프로토타입 판의 차이점을 다룬 리뷰(영어)]] * 마린 데이트 (1981.6) * [[메가 블래스트]] (1989.10) * [[메탈 블랙]] (1991.9) ★ * 메탈 솔저 아이작 II (1985.2)[* 개발 도중 제목을 2로 바꾸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WoH1JnPJ7_c|벌룬 봄버]] (1980.3) * [[https://www.youtube.com/watch?v=Pe4xaBSKiLI|스페이스 던전]] (1981) 타이토 아메리카 지사에서 개발. * [[스크램블 포메이션]] (1986.4) - 해외판 Tokio. * 스페이스 인베이더 시리즈 (1978~현재) * [[스페이스 인베이더]] (1978.6.16) * [[스페이스 인베이더 파트 2]] (1979.9.30) * 리턴 오브 더 인베이더 (1985.3.15)[[https://blog.naver.com/sunlin77/222710055380|#]] * [[마제스틱 트웰브]] (1990) - 일본판 MJ-12, 해외판 Space Invaders '91 * [[스페이스 인베이더 DX]] (1994.9) * [[아칸베이더]] (1995.6) - 해외판 Space Invaders '95 * 스페이스 인베더 QIX (2003) * [[스페이스 인베이더 익스트림]] (2008) [[NDS]] * [[스페이스 인베이더 익스트림 2]] (2009) [[NDS]] * 스페이스 인베이더 익스트림 Z (2009) [[NDSi]] * 스페이스 인베이더 인피니티 진 (2008~2011) 모바일 * [[그루브 코스터]] 시리즈 (2011~2021) - 리듬 게임 항목과 중복이 되나, 시리즈이므로 여기에 소개. * 스페이스 인베이더 프렌지 (2017) * 스페이스 인베이더 인빈서블 콜렉션 (2020) - [[닌텐도 스위치]] 전용. 한정판인 'Space Invaders Invinciable Collection - Special edition'에는 루나 레스큐 (1979), 스페이스 사이클론 (1980), 알카노이드 VS 스페이스 인베이더 (2016, 2017) 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코드들이 기재되어 있다. * 스페이스 인베이더 카운터 어택 (2021) * 스페이스 인베이더 월드 디펜스 (2023) * 스트레토복스 (Stratovox) - [[선소프트]]의 [[스피크 & 레스큐]] 북미 배급명 * 스페이스 레이저 (1980. 2) - [[코나미]] 의 스페이스 워 (1979) 북미 배급판. 원작은 2인 동시대전이 가능하나, 이 버전은 1인 전용. * 스페이스 사이클론 (1980.10)[[https://blog.naver.com/sunlin77/222607084405|※]] - 스페이스 인베이더 인빈서블 콜렉션 스페셜 에디션([[닌텐도 스위치]], 2020)에 최초로 이식. * 씨플라이 (1984)[* Seafly라는 이름의 보트를 사용하는 슈팅게임.] * [[https://www.youtube.com/watch?v=j52GfU7Orhc|씨 파이터 포세이돈]] (1984.3) - 해저를 배경으로 한 횡스크롤 슈팅'게임. * [[스카이 디스트로이어]] (1985.6) - 원작의 [[https://www.youtube.com/watch?v=kBri_cbgb58|아케이드 판]]보다 대신 패미콤판이 많이 알려져있다. 2019년에는 아케이드 판의 롬도 덤프 되었다. * [[사이드 이펙트]] (1991) - 알카노이드 처럼 다이얼의 조작기구로 조종하는 자기(自機)고정 전방향 슈팅게임. [[TAMAYO]]가 BGM을 담당하였으며, 로케테스트만 거치고 취소되었다. BGM은 ZUNTATA의 어레인지 앨범, [[http://medium.media.vgm.io/albums/76/667/667-1162089115.jpg|신대륙(新大陸)-G.S.M. TAITO 6-]]에서 들을수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p1nkxCKX_ak|스페이스 시커]] (1981.10) - 1인칭 시점 파트와 횡스크롤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8hEutvV73AM|스페이스 크루저]] (1981.10) * [[아우터 존]] * 아쿠아 잭 (1990) - 거치 기관포가 달린 수상보트를 조작하는 2.5D 체감형 게임. 어떻게보면 배경만 강가로 바꾼 [[스페이스 해리어]]같은 게임으로(물론 비행은 안된다. 대신 점프를 할수 있다) 스페이스 해리어처럼 전투기 스타일의 조정간을 사용한다. * [[역린탄]] (게키린단) (1995.9) * 웨스턴 건 (1975) - 세계 최초의 2인 대전 슈팅 게임 * 웨스턴 건 2 (1980) * [[익스터미네이션]] (1987.4) * [[익스지저스]] (1987.8) - 와이번 FO의 2화면 전용광체를 사용하는 버전도 있다. * [[육해공 최전선]] (1986.2) - 북미판 Land Sea Air Squad, 해외판 Storming Party. 국내에선 '육해공'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 [[와이번 FO]] (1985) - '하프미러(Half-Mirror)'라는 특수한 유리장치를 이용하여 2개의 화면(지상과 공중)을 하나로 합성하는 [[https://twitter.com/TAITO_Apps/status/1062253753766572032|전용광체]]를 사용했으며, 동사(同社)의 익스지저스(2화면버전)도 해당광체로 사용되었다. 매우 귀한 게임이고, 게임기 이식이 전혀 없다!! * [[와일드 웨스턴]] (1982) * 워프 1 (1979) [[https://blog.naver.com/sunlin77/222420669605|※]] - 제작 [[선소프트]]. * [[인섹터 X]] (1989.8) - 제작 HOT-B * [[https://www.youtube.com/watch?v=JI7LX39TYrE|인디안 배틀]] (1980.10) * 자존 (1981.3?) - [[SNK]]가 제작한 게임, '토성의 악마' 해외판 * [[중화대선]] (1988.6) - 제작 HOT-B * 코스모 (1979) - 제작, 토쿄 전자설계 (TDS & MINTS) (1979~1981) * 트리 어태커 (1980) * [[무스탕|파이어 머스탱]] (1991) - 제작 [[NMK]], UPL에서 오락실용으로 출시한 'USAAF 머스탱'의 메가드라이브 이식작. * [[파이팅 호크]] (1988) * [[폴라리스#s-5]] (1980.8) - 잠수함 게임 * [[https://www.youtube.com/watch?v=FcR9Tp6BDC4|프로그 & 스파이더즈]] (1981.10) * [[https://www.youtube.com/watch?v=KkRFa6yBzRo|N.Y. 캡터]] (1985.10) - 건물 내 강도를 총으로 잡는 건 슈팅 게임. 벤 베로 베와 그래픽이 비슷하다. * 프로그레스 (1983) ◇ - 개발 추오 리스 한바이 * 피닉스(불사조) [[Phoenix(게임)|Phoenix]] (1980, 1980.12) * 하이퍼리온 Hyperion (1994)[[https://youtu.be/dCTkLTBaC_g|#]] - [[레이저액티브]] (메가 LD) 전용으로 상당한 레어 게임으로 다라이어스와 비슷. * [[핼리 혜성]] (1986.1) * 테트라 스타 THE FIGHTER (1991.5) - 제작은 홈 데이터. * [[특수부대 UAG]] (1987.10) - 제작은 [[세타]]. 외수명은 썬더케이드 (Thundercade)이며 특수 임무를 받은 군인이 주인공으로 사이드카를 타고 적군들을 박살내는 슈팅 게임. * 호무라 (2005) 타이토가 스퀘어 에닉스에 인수된 후로 처음으로 개발/발매된 일본풍 종스크롤 슈팅 게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