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전개 == [youtube(A8R19hFWJfo)] [[2020년]] [[9월 24일]], [[아카이 하아토]]가 방송에서 [[하나의 중국|중국과 대만을 다른 나라로 언급]]했는데 방송 후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시청자들이 [[https://twitter.com/akaihaato/status/1309071400557215744|하아토의 트위터에 몰려와 테러]]하는 일이 일어났다. 해당 방송에서 하아토는 "해외 선배들도 많이 보고 있다. [[일본인]]이 37%, [[미국]]이 11%, '''[[대만]] 7%'''"라고 발언하였다. 여기에서 끝났다면 그나마 다행이었으나, 2020년 9월 25일 [[키류 코코]]의 [[https://www.youtube.com/watch?v=w66x87VSQRc|아사코코]]에서 국가별 [[유튜브]] 시청자 통계를 소개하던 중[* 유튜브에서 나온 표기 그대로 했다.] 대만이 상위권 '''[[하나의 중국|국가]]'''로 표시되어 문제가 더 커지게 된다.[* 현재 해당 방송은 논란이 된 부분이 편집되어 있고(2:47 부근) 채팅 다시보기도 막혀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EBXyBOzESJw&t=119s|#]] 사실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hololive]] 시청자들이 처음부터 홀로라이브를 [[중국]]에서 몰아내려고 한 건 아니었다. 2019년 말 [[우사다 페코라]]가 [[빌리빌리]] [[마슈마로]] 방송을 하겠다고 했다가 몇 달간 빌리빌리 방송 자체를 안 한 적이 있었다.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2018년에 홀로라이브를 키워주고 [[벽람항로]], [[명일방주]] 콜라보도 한 중국 시장[* 초창기 홀로라이브를 먹여살린 게 중국 시장인 건 엄연한 사실이고, 기업 입장에선 슈퍼챗 멤버 수익보다 저런 유료 광고를 표시하는 방송 수익이 더 높다.]을 홀대하는 원인을 생각해 보니 홀로라이브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중국 시장보다 훨씬 큰 시장인 서양권 시장에서도 인지도가 높아지자 서양권 시장으로 갈아타고 중국 시장은 [[먹튀]]하려고 한다고 생각하면서 집요하게 공격했다. 문제는 이런 항의 과정에서 중국의 [[분청]] 같은 단체에 화력 지원을 요청하면서 그 집단이 홀로라이브 시청자보다 훨씬 화력이 강하고 어차피 홀로라이브는 [[반중]] 단체라는 인식 때문에 무차별 방송 테러를 하게 된 것이다.[* 해당 글 작성자는 옛날부터 중국 사이트에서 정보를 가져오던 유저다. 상술했듯이 2018년에는 중국 방송을 많이 했기 때문에 중국 정보도 많이 가져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은 '중국의 유일 합법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이며 대만은 자국의 고유한 영토'라는 일명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이는 대만도 마찬가지다.[* 좀 더 정확하게는 이것은 대만 내부에서도 [[범람연맹]] 측의 입장이고 [[범록연맹]]의 입장은 아니다. 다만 범록연맹은 '중국 측의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고 독자적인 '대만 공화국' 노선을 주장하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그 이상으로 반발한다.] 이는 [[분단국가]]의 특성으로, 정치 체제에 따라 갈라진 나라는 상대국을 괴뢰로 간주하는 경우가 흔하다.[* 비슷한 케이스인 [[대한민국]]도 자국을 [[한반도]]의 유일 합법 국가로 헌법에 명시해 두었다.] 그런데 문제는 중화민국 측이 외국과 교류할 때는 [[양안관계]] 논쟁을 최대한 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데 반해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이용하여 "대만을 중국의 한 지방으로 간주할 것"을 협박적으로 요구한다는 것에 있었다.[* 심지어 이를 인정하는 것이 중국과 수교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20세기 후반에 많은 나라들은 중국과 국교를 맺기 위해서 대만과 단교할 수밖에 없었다.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 [[제1세계]] 국가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네티즌은 패권주의를 여과 없이 드러내면서도 "너희 외국인들이 우리의 내정 문제인 대만에 간섭하는 것은 잘못됐다.", "제발 하나의 중국을 존중해 달라.", "우리야말로 정치 떡밥의 피해자다." 같은 [[피해망상]]을 하기까지 했다.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팬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결국 2020년 9월 27일 홀로라이브를 운영하는 [[커버(기업)|cover 주식회사]]에서 [[https://cover-corp.com/news/detail/20200927|사과문]]을 올렸다. 요약하자면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팬들을 화나게 해서 미안하고 '''해당 탤런트에 대한 3주간의 자숙기간 및 재발방지 교육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또 [[https://space.bilibili.com/286700005/dynamic|빌리빌리에만 올라온 사과문에는]] 더욱 명확하게 '하나의 중국' 원칙을 옹호한다는 글문이 추가되어 있다. 이후 [[https://twitter.com/kiryucoco/status/1310183504982847488|키류 코코]], [[https://twitter.com/akaihaato/status/1310184016172077056|아카이 하아토]]의 사과문이 올라왔다. 그러나 해당 사과문은 중국에서 발표한 것과 [[일본]], [[영미권]]에서 발표한 것에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반발을 불러왔다. 중국 쪽 사과문에서만 '하나의 중국'을 언급하면서 cover는 중국의 영토 원칙을 준수한다고 했다. 이에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팬들은 일본과 영미권 사과문에는 '하나의 중국' 관련 언급이 들어 있지 않은 것을 지적했고 반대로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지 않는 팬들은 cover의 중국 눈치보기식 대응을 질책했다. [youtube(LpodvR0UgLk)] 사건이 심화되자 일본 [[야후!]] 뉴스에 기사로 올라왔으며, 논란의 당사자인 대만 SETN에서 키류 코코를 옹호하는 뉴스가 방송되었고 대만의 민주 계열 신문에서 이를 보도하기까지 이르렀다. 해당 논란이 [[양안관계|양안 문제]]로까지 커지자 [[아사히 신문]] 등 일본 진보파 신문에서 취재하고 [[중국공산당]] 일간지에서 일본 기업 cover가 '하나의 중국'을 지지했다며 표명하는 등 정치적 문제로까지 비화되었다. 이후 홀로라이브의 다른 멤버들도 대만과 관계된 방송 아카이브나 트윗을 편집하거나 지우는 등 자체 검열에 들어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