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크레용 신짱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왜 하필 제목이 '''크레용''' 신짱이냐면, 주인공인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가 [[유치원생]]이니까 유치원생이 많이 쓰는 도구인 [[크레용]]을 상징요소로 넣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크레용 신짱이 연재되는 [[후타바샤]]에서 밝힌 공식 입장. [[https://subculwalker.com/archives/83745/|#]] 때문에 신짱이 [[초등학생]]이 된 이야기를 다룬 외전은 [[연필 신짱]]이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다만 일본에서는 한국의 [[흠좀무]] 마냥 '''크레용 신짱은 아들을 잃은 [[노하라 미사에]]의 망상일기였으며, 이 일기에 쓴 크레용은 아들의 유품이었다'''는 [[도시전설]]이 퍼지기도 했다. ~~왜 [[동심파괴|이런]] 루머만 국경이 없냐~~ * 작중 만화의 배경은 [[1999년]]경이다. 등장인물들도 1999년에 맞춰서 생년이 설정되어 있다. 이제는 1999년도 벌써 22년 전 이야기가 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스마트폰 등의 [[2010년대]]의 문물이 나오고 있다. 특히, 타임머신 에피소드에서는 노하라 부부가 2002년 결혼하는 것으로 나오면서 그 에피소드 이후에 나오는 에피소드들의 배경은 최소 2008년 정도로 보인다.[* 이 에피소드에서 신노스케는 2003년 출생이 되었다.] * 이야기의 무대가 [[사이타마현]] [[카스카베시]]에서 일어나고 있고 만화가 대히트치면서 2003년 10월에 카스카베시의 이미지 캐릭터로 채택됐으며, 2004년 4월 6일에는 5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가공의 '카스카베시 후타바마치 904[* '''[[904]]'''는 각각 큐(9),레이(0),욘(4)이라고 읽는데 이를 이어 읽으면 [[크레용]]과 [[고로아와세|발음이 비슷해지기에]] 공식에서는 904를 크레용 신짱의 상징 숫자로 쓰고 있으며, [[9월 4일]]은 크레용(904)의 날='''크레용 신짱의 날'''로 칭한다. 다만 이게 주인공인 [[노하라 신노스케|신짱]]의 생일은 아니다. 신짱의 생일은 [[5월 5일]].]'를 주소로 노하라가의 주민 등록을 실시했다. 또 노하라가를 사이타마현 육아 응원단 특별단원으로, 2009년도부터 카스카베시의 '육아 응원 캐릭터', 2010년도부터는 시의 매력을 PR한다는 의미로 '마을 안내인'으로 기용하고 있다. 2013년 7월 8일에는 카스카베 시립 카스카베 제1아동 센터 '에인절 돔'의 부지 내에 신노스케·히마와리·시로 그리고 [[카스카베 방위대]](카자마·네네, 마사오·보오)를 기념하는 기념물이 설치됐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ja/thumb/0/04/Kasukabe-City_Angel-Dome_CRAYON-SHINCHAN_Monument02.jpg/220px-Kasukabe-City_Angel-Dome_CRAYON-SHINCHAN_Monument02.jpg|사진]] * [[사이타마현]]에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위해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인 크레용 신짱을 '사이타마 관광 서포터'에 임명시켰다. [[파일:D8ItCQt.jpg.png]] 외국인 대상으로 영어 '사이타마현 관광 팜플렛'에 신노스케가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신노스케는 도쿄 올림픽 유치 홍보용 캐릭터 중 하나다. * 2017년 [[도쿄역]] 근처의 만화에 등장하는 액션 백화점에 이름을 딴 오피셜 굿즈샵 '액션 백화점 도쿄역 가게'가 개점했다. 2017년 10월 27일, 오사카 우메다 HEP FIVE에 오사카점 상설 2호점을 개점. 2018년 6월 29일, 센다이 역 앞에 에스빠루 센다이 점에 센다이점 상설 3호점을 개점했다. * [[원펀맨]]의 작가 [[ONE(만화가)|ONE]]이 말하길, 원펀맨이라는 작품이 크레용 신짱의 영향이 크다고 답했다. 특히 극장판에서 평화로운 '개그 세계'에 '진지함'이 들어올 때 생기는 그 느낌에 큰 감명을 받고, 이것을 거꾸로 발상하여 사람들이 쉽게 공격당하고 괴수가 많이 나오는 '진지한 세계'에 '개그 캐릭터'를 던지면 어떨까로 탄생한 작품이 바로 원펀맨이다. ONE 작가가 만화가를 꿈꾸게 된 것도 크레용 신짱 덕분이라고 한다. * 1993년 제 17회 [[코단샤 만화상]] 일반부문 후보로 올랐으나 수상에는 실패하였다.[* 당시 수상작은 [[기생수]]였다.] * 다른 만화의 그림을 짱구 그림체로 바꿔도 전혀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는 '짱구 그림체 만능설'이 있으며 여러 2차 창작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미즈시마 츠토무]] 감독은 SD화 연출을 할 때 이 그림체를 주로 사용하기도 하고 이 그림체의 만능설을 짱구 제작진도 알고 있었는지 공식적으로 이 그림체를 활용해서 타 작품과 콜라보를 하는 경우도 많다.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 덴오+신오]])와 [[러브라이브! 선샤인!!]]([[https://www.youtube.com/watch?v=xfmZRqfdPc0|#]]) 등이 대표적. クレしん風으로 검색하면 짱구 그림체로 그린 패러디를 많이 볼 수 있다. * 1990년 연재 초창기와 현재를 비교하면 그림체가 정말 많이 달라졌다. 원형에 가까운 등장인물들의 얼굴형이 타원형 내지는 강낭콩 모양으로 변했고 점눈이었던 인물들을 제외하면 눈과 눈썹이 커졌다. * 한국에선 배금택 작가의 [[Y세대 제갈공두]]가 본 작품과 상당 부분 비슷하단 소리가 있고,[[https://www.kmas.or.kr/webzine/review/13145|#]] 중국에서 해당 작품을 표절한 [[큰입두두]]가 있다. * 1인칭으로 [[와타시]]를 사용하는 남성 캐릭터[* 보통 남성 1인칭은 오레(俺)나 보쿠(僕)가 많이 사용된다.]가 꽤 많이 나온다. 사용자로는 [[액션가면]], [[부리부리자에몽]], [[쿠로이소]], [[타카쿠라 분타]], 시모다 초쿠로,[*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에 나오는 빌런 중 한 명으로 정확히는 [[와타쿠시]]를 사용한다.] [[감마 박사]][* [[로봇아빠의 역습]]에 나오는 박사], [[구루메포이]][*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의 최종 보스다.] 등이 있다. 히로시도 기본적인 1인칭은 오레지만 가끔씩 와타시를 사용한다. * 등장인물 중 특정 분야에서 본좌급인 캐릭터가 많다. 예시로 노하라 히로시는 [[아버지/창작물|아버지 캐릭터]], 애주가, 히로시라는 이름을 가진 캐릭터, 발냄새 관련 인물의 본좌이며 떡잎마을 방범대 멤버들도 그들의 이름[* [[신노스케]], [[토오루]], [[네네]] 등이 있다.]에서 본좌격인 캐릭터이다. 크레용 신짱 자체가 일본 만화계의 국민 만화 중 하나인 걸 생각하면 어찌보면 당연한거다. * 등장인물 중 미녀속성인 캐릭터들에게는 일반적인 여성 캐릭터와 달리 속눈썹이 있다. 해당 속성에 해당하는 인물로 [[오오하라 나나코]], [[스오토메 아이]], [[마츠자카 우메]] 등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