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크레용 신짱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게임 === [include(틀:크레용 신짱 콘솔 게임 시리즈)] [include(틀:크레용 신짱 PC 게임 시리즈)] [[https://www.shinchan-game.com/|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공식 게임 포터블 사이트]] 인기 만화이니 만큼 게임도 여러 개 발매되었으며 주로 횡스크롤 액션 계통이 많다. [[인티 크리에이츠]]가 제작을 맡고 있는 GBA판부터는 [[웨이포워드 테크놀러지스|인티 크리에이츠의 협력사]]의 게임인 [[샨테 시리즈]]나 혹은 [[와리오 랜드 시리즈]], [[괴도 와리오 더 세븐]]처럼 주로 횡스크롤 액션+각종 기능을 가진 코스프레 복장+가족이나 친구의 서포트라는 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GBA로 나온 두 작품은 모두 DS로 추가요소를 넣어 이식되었다. GB 크레신 시리즈의 경우, 일부 작품에서는 아동대상의 게임인데도 [[별의 커비|히든모드로 2주차 플레이가 존재했었다.]] 다만 이후 3DS부터는 발매된 게임들이 하나같이 혹평이 있었으며, 예산도 줄었는지 오뎅월드 이후로는 모바일 게임만 내고 있다. 스마트폰용 크레용 신짱 게임들은 일본 내에서는 [[부시로드]][* [[짱구는 못말려|TVA]]의 미디어 믹스 스폰서이기도 하다.]의 모바일 게임 브랜드인 부시모에서 서비스한다. 한국에서 유명한 작품은 [[삼성전자]]에서 발매한 PC판 짱구는 못말려 시리즈와 [[게임보이]] 에뮬레이터가 막 출시되었을 당시에 인기를 탄 게임보이용 시리즈.[* 참고로 게임보이 시리즈의 실제 제작은 [[토세]].] 한때 온라인 게임인 짱구 스프링스[* 2005년 (주)대원미디어에서 제작한 레이싱 게임.]와 [[짱구는 못말려 온라인]]이 서비스되었으며, DS와 3DS로 발매되는 시리즈는 전부 대원을 통해 정식 발매되고 있다. 대원 못지않게 '''한국어 더빙 음성'''까지 지원한다! 다만 짱구네 가족을 제외한 조연들의 성우는 싹 다 갈아엎었다.[* [[카스카베 방위대|떡잎마을 방범대]]원들 모두 성우가 교체되고 자주 나오는 조연들까지 성우가 교체되었다.] 이마저도 [[미스캐스팅]] 평가를 받아서 욕을 자주 듣는다. 의아할 점은 자기네들이 수입하는 [[짱구 극장판]]의 조연 성우진들과도 다르다는 것.[* 심지어 2013년 정발된 판타스틱-! 우주별 대모험!!에서는 봉미선까지 성우가 바뀌었다. 그리고 이 작품에 참여한 성우가 짱구를 맡은 박영남과 신형만을 맡은 오세홍 외에는 모두 비성우들이다.] 참고로 NDS, 3DS로 발매되는 크레용 신짱 게임은 일본, 한국, 스페인을 비롯한 일부 유럽 지역에서만 발매했다. 참고로 게임 사이트가 [[어도비 플래시]]를 지원하기 때문에 2020년 12월 이후로는 볼 수 없다. * '''퀴즈 크레용 신짱''' (AC, 1993) [[타이토]]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제조한 게임. [[타이토 B 시스템]] 기판이고, 어린이 대상 퀴즈게임 치고는 난이도가 높은 느낌. 폰트는 [[퍼즐보블]]. * '''크레용 신짱 나와 놀자''' (AC, 1993) [[타이토]]에서 라이선스를 빌려 제작한 퀴즈+올림픽(?) 게임. 전작과 같은 [[타이토 B 시스템]] 기판. * '''짱구야 놀자''' (PC, 1997) [[반다이]]에서 제작[* B-FACTORY 명의로 발매.]한 게임이며, 에올의 환상섬 같은 탈출 게임이다. 시작은 짱구엄마의 거짓말로부터 짱구가 짱아와 가출을 하면서 벌어지는 일이며, 스토리 진행 도중에 3개의 미니 게임[* 물총쏘기, 초밥맞추기, 수영대회.]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판은 2002년에 발매되었으며, 특이사항이 있다면 성우진은 [[SBS]] 쪽을 따랐으나[* 짱구, 짱구 엄마, 짱구 아빠만 SBS판 그대로 유지했고, 그밖에 비성우들 4명(이 중 [[김대중(성우)|김대중]]은 이듬해인 2003년 [[KBS 성우극회|KBS]] 30기 성우로 데뷔)을 기용했다.] 번역은 [[서울문화사]] 코믹스를 기준으로 했다.[* 그래서 [[노하라 일가]]의 성씨가 맹씨로 번안되었으며, [[요시나가 미도리|요시나가 선생]]과 [[마츠자카|마츠자카 선생]]의 번역도 각각 목아진과 소아랑으로 번안되었다. 그밖에도 [[사쿠라다 네네|네네]]는 뜬금없이 영희로 번역되었고, [[후타바 유치원]]은 새싹 유치원으로 번안되었다.] 또한 한국판은 원판과 다른 BGM을 썼다. * '''[[짱구는 못말려!]]''' (PC, 1997) [[삼성전자]]가 당시 유행하던 아동용 저가형 주얼 패키지 게임 산업에 발을 뻗고자 나오기 시작했다. 짱구는 못말려 1편이 100만장이나 팔리면서 6까지 이어졌다. 7은 삼성전자가 2002년 말을 끝으로 게임시장을 철수한 이후에 발매되어 삼성전자 출시작이 아니다. * '''[[짱구는 못말려! 2]]''' (PC, 1999) 상당한 판매량이었던 전작에 힘입어 출시되었지만 스토리도 없이 달랑 미니게임 5개로만 나온 삼성전자 짱구 시리즈 최악의 졸작. 미니게임으로는 [[사천성(게임)|짱구 짝짓기]]와 [[뿌요뿌요|짱구 쌓기]], [[스페이스 인베이더|짱구 스타워즈]], [[게임 & 워치|짱구 받기]], [[펭귄군 워즈|짱구 볼굴리기]]로 이루어져있다. 2인용 플레이가 가능하다. * '''[[짱구는 못말려 3 돌아온 짱구]]''' (PC/Nuon[* [[엑스티바]], 게임기 기판은 아니며 DVD규격이다.], 2000)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 방식으로 진행되며 스토리는 왠 악당[* 어째서인지 게임 오프닝과 차이점이 있는데, 오프닝에서는 짱아를 납치하는게 [[타카쿠라 분타|원장 선생님]]을 닮은 붉은 정장의 남자(원작 11권 표지에 등장)지만 게임내 스토리에서는 검은 정장을 입은 전혀 다른 외모의 남자가 짱아를 납치한다.]에게 짱아가 납치당하고 짱구가 짱아를 구출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스토리이다. 그런데 여기 나오는 적들은 하나같이 최종보스에게 뇌물이라도 받은 건지 전부 짱구네 주변인물들이다. 극장판의 악역이나 깡패, 미라 같은 오리지널 적도 등장은 한다. 덤으로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만나는 최종보스의 복장도 짱구 작품 아니랄까봐 괴상하다. 난이도가 좀 있는 편인데, 특이사항으로는 매 스테이지를 끝낼 때마다 미니게임이 실행되는데 튜브를 탄 짱구를 조종해 수영장에서 상어를 피하며 음식들을 먹고 점수를 쌓거나 시간 연장, 혹은 목숨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작처럼 2인용 플레이가 가능하다. * '''[[짱구는 못말려 4 부리부리왕국의 비밀]]''' (PC, 2001) * '''[[짱구는 못말려 5 짱구가 줄었어요!!]]''' (PC, 2002) * '''[[짱구는 못말려! 6 원시소년짱구]]''' (PC, 2002)[* 5편은 당해 1월에 출시되었고 이 작품은 10월에 출시하였다.] 다시 4편의 스타일로 회귀한 작품. 스토리는 짱구가 꿈을 꾸다가 원시시대가 넘어가게 되어서 거기서 탈출하려는 스토리이다. 총 5개의 스테이지와 4개의 미니게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인용 플레이도 가능한데 2인용의 캐릭터가 흰둥이다.[* 혼자 플레이하면 흰둥이를 기술로 쓸 수 있다.] 미니 게임으로는 틀린 그림 찾기, 고인돌 세우기, 동물들을 돌도끼를 던져 잡는 사냥을 떠나자, 같은 그림 찾기로 구성되어있다. [[멀티 엔딩]]을 지원하고 있으며 진엔딩을 보기 위해서는 어려움 난이도로 진행해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FDtvLeK5Zpg|쉬움 난이도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gk5eraqfU8|어려움 난이도 영상]] * '''[[짱구는 못말려! 7 흰둥이 구출작전]]''' (PC, 2003) 삼성전자에서 개발하지 않은 유일한 작품이자 2021년 현재까지 시리즈 마지막 작품. 3편에서는 짱아를 납치하더니 이번 편에서는 흰둥이를 납치해갔다. 게임의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문제가 출제되고 캐릭터를 프린트해 색칠할 수 있는 기능까지 들어가 있어 여러모로 다른 시리즈들과는 다른 학습 기능이 들어가 있다. 게임 스타일은 1, 4, 5, 6편과 비슷한 횡스크롤 방식이며 5편에 비해서는 상당히 쉬운 편이므로 단시간에 클리어할 수 있다. * '''[[짱구는 못말려 온라인]]''' (PC, 2012) 2016년 8월 5일에서 서비스 종료.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짱구 스프링스''' (PC, 2006) 2000년대 중후반 즈음에 출시된 레이싱게임, 스프링을 타고 달리는 것이다. 현재는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크레용 신짱 퍼즐대마왕의 수수께끼''' (3DO, 1995) * '''크레용 신짱 대결 퀀텀패닉''' (GG, 1995) * '''짱구는 못말려 나와 포이포이''' (FC, 1993) * '''짱구는 못말려 폭풍을 부르는 원아''' (SFC, 1993) 그래픽 등은 애니메이션을 제법 잘 재현했지만 지나치게 높고 불합리한 난이도로 인해 일본 내에서는 많은 어린이들을 트라우마에 걸리게 한 게임으로 악명 높다. 지금과는 다르게 한창 점수가 짜기로 유명한 당시 [[패미통]] 크로스 리뷰에서 19점이라는 상당히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리뷰 내용이 대부분 난이도를 지적했을 정도. [[메가드라이브]]로도 이식되었으며, 후술할 3DS용 카스카베 영화 스타즈의 초회판에 다운로드 코드가 포함되는 형태로 이식되었다. * '''짱구는 못말려2 대마왕의 역습''' (SFC, 1993) * '''키즈 스테이션 짱구는 못말려 나와 추억 만들기야!''' (PS, 2001) * '''짱구는 못말려 나와 흰둥이는 친구야''' (GB, 1993) 짱구 게임 중 최초로 발매된 작품이다. * '''짱구는 못말려2 나와 개구쟁이 놀이야''' (GB, 1993) * '''짱구는 못말려3 나의 근사한 에슬레틱''' (GB, 1994)[* 횡스크롤 액션이었던 GB판 1, 2편과는 달리 미니게임 형식으로 진행된다.] * '''짱구는 못말려4 나의 장난 대변신''' (GB, 1994)[* 이 게임의 그래픽을 고치고 미니게임 구간과 바퀴벌레 변신에 대응하는 변신 1개 및 컨티뉴 기능을 삭제한 슈퍼 마리오랜드 4라는 이미테이션 게임이 존재한다.] [[https://blog.naver.com/yonggarri/222487124764|터보 모드 올클리어 영상]] * '''짱구는 못말려 나의 근사한 콜렉션''' (GB, 1996) * '''[[크레용 신짱 폭풍을 부르는 시네마랜드의 대모험!|짱구는 못말려 폭풍을 부르는 시네마랜드의 대모험!]]''' (GBA, 2004) * '''[[크레용 신짱 폭풍을 부르는 시네마랜드 카칭코 카칭코 대활극!|짱구는 못말려 시네마랜드 찰칵찰칵 대소동!]]''' (NDS, 2008) 바로 위 게임의 NDS 버전이다. * '''[[크레용 신짱 전설을 부르는 덤의 수도 쇼크간!|짱구는 못말려 전설을 부르는 덤의 수도 쇼크간!]]''' (GBA, 2006) 짱구는 못말려 게임 중에서 가장 높은 퀄리티를 자랑하고 있다. 최초로 모든 캐릭터들에 풀보이스가 들어가 있고(스테이지에서 나오는 간단한 대사는 제외), 나중에 TV에서 이 게임을 소재로 스페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하기도 했다. * '''[[크레용 신짱 쇼크간! 전설을 부르는 오마케 대결전!!|짱구는 못말려 원 플러스 원! 쇼크성랜드 대결전!!]]''' (NDS, 2010) 바로 위 게임의 NDS 버전. '몰드'라는 악역이 추가되었고 스토리와 최종보스가 일부 달라졌다. * '''[[크레용 신짱 최강 가족 카스카베 킹 위~]]''' (Wii, 2006) 여기 나온 사회자와 캐스터는 [[크레용 신짱 DS 폭풍을 부르는 칠해 크레~용 대작전!]]에서도 게스트로 등장하며 이 게임을 홍보한다. * '''[[크레용 신짱 DS 폭풍을 부르는 칠해 크레~용 대작전!|짱구는 못말려 DS 알쏭달쏭 크레용 대작전!]]''' (NDS, 2007) 인티크리에이츠 제작이 아니지만 소스는 우려먹었다. * '''[[크레용 신짱 폭풍을 부르는 넨도로~롱 대변신!|짱구는 못말려 말랑말랑 고무찰흙 대변신!]]''' (NDS, 2009) 정발판은 짱구 성우가 일시적으로 바뀌었을 때의 성우라서 영 좋지 않다. 사실 비디오판에서 짱구를 맡은 [[이영주(성우)|이영주]] 성우가 맡은 것이다. * '''[[크레용 신짱 바보 대인전 나아가라! 카스카베 닌자대!|짱구는 못말려 부리부리 떡잎마을 대모험!]]''' (NDS, 2010) 닌자를 테마로 한 게임이라 일색 때문에 정발되지 않을 거라 생각되었지만 정발되었다. 다만 더빙 성우들이 짱구를 빼고는 죄다 바뀌었으며 더빙도 영 좋지 않다.[* 짱구를 맡은 [[박영남]]을 빼면 [[연예인 더빙|모두 비성우 더빙이다]].] * '''[[짱구는 못말려 판타스틱-! 우주별 대모험!!]]''' (3DS, 2011) 2011년 12월 1일 일본에서 발매되었고 2013년 11월 28일 한국에서 정발되었다. * '''[[크레용 신짱 폭풍을 부르는 카스카베 영화 스타즈!]]''' (3DS, 2014) 2014년 4월 10일 일본에서 발매. 21기까지의 크레용 신짱 극장판을 소재로 한 미니게임 어드벤처이며, 스테이지를 돌아다니면서 각 극장판의 장면을 재현시킨 미니게임을 해금시키고 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이렇다보니 액션 요소가 없다시피 하다. 한국에서는 미발매되었다. * '''[[짱구는 못말려 태풍을 부르는 불타는 떡잎마을 런너!!]]''' (iOS/Android/NS/Steam, 2014) UniqueWave에서 개발하고, [[부시로드]]에서 유통하는 스마트폰 및 콘솔 게임. 통칭 '''짱구런'''. * '''짱구는 못말려 for kakao''' (Android/iOS, 2015) 한국에서 2015년 2월에 선출시되었고 3월 31일 일본에서도 출시되었다. 개발사는 후타바샤와 아사쿠사게임즈. 일본에서는 크레용신짱 UFO 패닉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는데 배급사가 '''[[넥슨]]'''. 한국에서는 스마트폰 게임회사인 Gumi Korea에서 배급. 장르는 러닝 액션. 하지만 한국판이 2015년 6월 서비스 종료되고 일본판도 11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 '''짱구는 못말려 히어로/버블왕/액션디펜스/액션파이터/대격돌/버블팡/미니게임파티 등''' (Android, 2012) 2012년에 미스터게임즈에서 개발 및 배급한 스마트폰 게임. 그런데 전부 이름만 바꾼거다. 게임성도 [[팔라독]] 짝퉁에 현질유도가 있어서 딱 봐도 어린아이들 돈 빼먹고 가려는 게임. 심지어 출시 이후로 한 번도 업데이트를 한 적이 없다. 특히 미니게임파티의 경우 APK파일 안에 있는 값을 편집하면 '''점수 뻥튀기'''가 가능한 만큼 앱 내 보안은 허술했다.[* 물론 부정적인 방법을 사용한 만큼 며칠 뒤에 게임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현재는 구글스토어에서 내려간 상태라서 APK 파일을 구해서 설치하는 것 외에는 플레이할 방법이 없다. * '''[[크레용 신짱 격열! 오뎅 월드 대혼란!!]]''' (3DS, 2017) * '''짱구는 못말려 떡잎마을 대개발''' (iOS/Android) * '''[[짱구는 못말려! 나와 박사의 여름 방학 ~끝나지 않는 7일간의 여행~]]''' (NS, 2021) 2021년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이번에 발표를 할지 말지 기대를 모았던 젤다 야생의 숨결2는 없고 그 외의 라인업 중에서 뜬금없이 등장했던 게임이라 팬덤에선 짱구의 숨결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고 있다. 마침 게임성도 야숨과 비슷한 어드벤처 장르다. * '''[[짱구는 못말려 나의 주사위 놀이 대작전]]''' (PC,MOBILE, 2025) 짱구는 못말려 웹게임을 G123에서 웹게임화 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공식 홈페이지 및 카카오톡 채널에서 사전예약도 받고 있다. [[https://g123.jp/game/shinchan?lang=k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공식 홈페이지 [[http://pf.kakao.com/_MGXr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공식 카카오톡 채널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