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팝 데몬 헌터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제작 관련 === * 그룹명 후보로는 [[HUNTR/X|헌트릭스]]와 더불어 다이아시(Diacy)[* 다이아몬드의 왕조(Dynasty of Diamond)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빛을 발산하는 다이아몬드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그룹을 상징한다고 한다.]라는 이름도 있었다고 한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339421545918646|#]] * 계획 도시가 아니라 세월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강, 구옥과 문화유산, 현대 고층 빌딩이 어우러진 [[서울특별시]]의 특색이 잘 묘사됐다. 제작진은 이러한 서울다움을 잘 표현하기 위해 특히 신경을 썼다고 한다. 실제로 대도시, 특히 수도에 빌딩 숲과 산과 강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구조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기에, 외국인들이 특색있게 여기는 서울의 대표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제작 컨셉집에 "벽같은 고층빌딩·담요같은 저층빌딩·그들을 감싸는 산(을 묘사하라) / 과하게 높은 빌딩과 중간급 빌딩 군집을 피해라-너무 뉴욕 같다! / 다양한 크기 빌딩을 산없는 평야에 뿌리지 마라-너무 도쿄 같다!"라 해 독창적인 [[스카이라인]]을 신경 썼음을 알 수 있다. [[https://damoang.net/free/4284640|※]][* [[뉴욕시|뉴욕]]이나 [[도쿄도|도쿄]]는 평야지대에 건설된 도시라 분지 지형에 건설된 서울과는 기본적으로 그 풍광에 차이가 있다.] * 실존 [[K-POP]]이 작중 직접 인용되기도 한다. 중간에 비춰지는 음악 순위 차트에서 [[HUNTR/X|헌트릭스]]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s-2.2|How It's Done]]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는 와중에 2위는 [[TWICE]]의 [[Strategy(노래)|Strategy]]로, 실제 [[OST]]로 삽입됐다. 반대로 TWICE의 [[TAKEDOWN(TWICE)|TAKEDOWN]] 뮤직비디오에서는 TWICE의 Take Down이 How It's Done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온다.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첫 등장 씬에서는 [[EXO]]의 [[LOVE ME RIGHT]]이 등장하고 극 중반 공연 대기실 장면[* 1:04:20 부분]에서는 [[TWICE]]와 [[MEOVV]]의 포스터가 배경으로 등장했다.[* 영화 수록곡의 작곡은 대부분 [[테디(원타임)|테디]](YG의 [[BIGBANG]], [[2NE1]] 곡을 작곡)를 포함한 [[THEBLACKLABEL]] 소속 프로듀서들이다. 그래서인지 THEBLACKLABEL 소속 가수인 MEOVV의 포스터가 등장한 것.] 게다가 90년대를 풍미한 한국 가요들도 상당히 많이 나오는데, 콘서트장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 중 하나로 [[듀스(음악그룹)|듀스]]의 [[나를 돌아봐]]가 나왔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잘 들리지는 않지만 진우가 성벽에서 루미를 기다릴 때 작게 나오는 배경음악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이 밤이 깊어가지만]]이다.[* 49분 20초부터] 심지어 바비의 전화벨 소리에서 나오는 노래는 [[신라의 달밤(가요)|신라의 달밤]]의 [[이박사]] 버전이다.[* 절묘하게도 이박사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일본 소니 뮤직]]에 한때 소속되어 있었다.] * [[한국 드라마]] 《[[사내맞선(드라마)|사내맞선]]》의 OST인 [[멜로망스]]의 [[사랑인가 봐]]가 삽입곡이자 이 작품의 정식 OST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는 《[[사내맞선(드라마)|사내맞선]]》의 남자 주인공인 [[강태무]]역을 맡은 것이 [[진우(케이팝 데몬 헌터스)|진우]]의 성우인 [[안효섭]]이라 일종의 [[배우 개그]]로 볼 수 있기도 하다.[* 작중에서 진우와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루미]]가 만날 때 이 음악이 흘러나오는데, 한국 드라마에서의 전형적인 남주-여주의 만남 장면을 패러디한 장면이다.] 감독인 매기 강이 안효섭의 캐스팅을 결정 지은 것도 《사내맞선》에서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씬을 봤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고로 [[안효섭]]은 만 6세에 캐나다로 이민 가서 캐나다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마치고 한국에서 또래들과 학교를 다니길 원해 [[청담고등학교]]로 고등학교 1학년부터 다시 다녔다.] * 진우는 조선 시대 악사였으며 현재 유명 아이돌 가수로 활동 중인데, 안효섭이 드라마 데뷔작 《[[퐁당퐁당 LOVE]]》에서 조선 시대 음악가 [[박연]], 현재 시점에선 가수 역할을 맡았던 것을 떠올려 보면 안효섭 관련 [[배우 개그]]가 또 하나 성립된다. * 한국계 제작진들에 의하면, 제작 과정 중 한국적인 요소를 넣으면서도 그 역사성을 지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어필을 했다고 한다. 다양한 참여 아티스트들이 아트워크들을 공개하거나[[https://www.fmkorea.com/best/8568158832|#]][* 아트워크를 마음대로 공개해도 되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으나 미국 제작 애니메이션의 경우 공개 후 (특히 퇴사한) 제작진들이 아트워크를 공개하는 행위는 매우 흔하다. 회사의 재산보다는 개인의 작업물이라는 개념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X에서 팬들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활발하게 답해주는 중이다. *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일부러 [[김치]]는 아예 언급하지 못하게 했다. 김치는 한국의 너무 뻔한 [[스테레오타입]]이고 한국의 다른 다양한 음식들을 소개하고 싶어서 그랬다고 한다. [[https://www.salon.com/2025/06/27/kpop-demon-hunters-korean-food/|#]] * 영어 더빙판 성우는 [[리자 코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한국계 인물로 캐스팅했다. * 한국어 녹음 음성은 [[픽셀로직#대한민국|Pixelogic APAC]]에서 제작했으며, 번역은 서승희, 연출은 김형석이 담당했다. * [[소니 엑스페리아]]가 작중 등장인물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나오는데, 이는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소니|모회사]] PPL로 추정된다. '''2024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1 VI]]로 추정되는데 실제론 소니 엑스페리아는 '''2018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XZ3]]를 마지막으로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물론 해외직구로 어찌어찌 구할 순 있겠지만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중 소니 비율은 1% 미만이기 때문에 [[간접광고|PPL]] 때문에 [[창작물의 반영 오류|현실성을 포기한 묘사]]라 볼 수 있다. 애초에 대한민국의 모바일 시장은 [[삼성 갤럭시]]와 [[Apple]]의 [[iPhone]]이 다수인 걸 보면 더더욱. 다만 케이스를 끼고 있기도 하고 [[삼성전자]]의 [[갤럭시 S25]]나 [[갤럭시 A 시리즈/2025년|갤럭시 A 시리즈(2025년)]]와도 비슷하게 생겨서 위화감이 큰 편은 아니다. 다만 일부 장면에서는 2013년에 출시한 [[엑스페리아 Z 울트라]]가 나온다. * OST에 [[THEBLACKLABEL]]의 프로듀서들[* [[테디(원타임)|TEDDY]], [[24(프로듀서)|24]], ido, [[Dominsuk]], [[KUSH]], [[Vince]], [[Danny Chung]] 등.]이 참여했다. [[https://theqoo.net/square/3794870301|#]] * 안무는 [[리정]]과 [[JAM REPUBLIC]] 그리고 [[K-TIGERS]]가 참여했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6100792387486201|#]] [[https://youtu.be/LwrzUXEa4Xc|SODAPOP 안무가버전]] [[https://youtu.be/UjNoK78cylE|Golden 안무가버전]] [[https://youtube.com/shorts/guiLXtGzlIc|Your Idol 안무가버전]] * [[HUNTR/X|헌트릭스]]의 보컬 파워를 상징하는 색상 연출은 처음에는 '''골든 혼문'''이라는 단일하고 이상적인 색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캐릭터의 성장과 테마에 맞지 않는다는 제작진의 고민 끝에 '''레인보우 혼문'''으로 변화되었다. 이 레인보우 혼문은, 각자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연결됨으로써 더 깊은 유대를 형성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극중 새로 만들어진 혼문의 색은 이전과 달리 한 가지 색상이 아닌 프리즘처럼 무지갯빛으로 은은하게 빛나고 있다. [[https://www.cartoonbrew.com/feature-film/the-directors-of-kpop-demon-hunters-discuss-the-unexpected-challenges-of-making-an-animated-k-pop-film-247998.html|인터뷰 원문]] * 합동 [[팬사인회]] 장면은 [[https://www.forbes.com/sites/laurasirikul/2025/06/19/kpop-demon-hunters-director-on-getting-k-pop-culture-down/|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처음엔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 즉 아육대를 소재로 쓰려고 했다고 한다. 하지만 임원들이 '대체 왜 아이돌이 [[허들]]을 뛰고 [[양궁]]을 하는 거죠?'라며 이해를 하지 못하는 바람에 팬사인회로 대체한 것이란다. 다만 아트디렉터도 아육대 소재는 스토리적으로 문제가 많아[* 방송국 말고는 모두 달가워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라, 작중 헌트릭스 급이면 출연하지 않는다.] 제외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196577627750540|#]] * 개봉 직후 굿즈가 [[https://theqoo.net/square/3798716403|제작진 한정 배포품]]으로 언급될 뿐 판매되지 않아 팬들의 아쉬움을 샀으나, 얼마 뒤 [[https://www.netflix.shop/en-kr/collections/kpop-demon-hunters|공식 상품 판매처]]가 생겼다. 가장 이목을 끄는 상품은 위의 제작진 한정 배포로 아쉬움을 샀던 '''더피 인형'''.[* [[꿩 대신 닭]]이라고, 더피 인형 공식 굿즈가 나오기 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까치 호랑이 배지가 완판되는 사태가 벌어졌었다. [[https://www.museumshop.or.kr/kor/product/product_view.do?str_bcode=1002008&str_goodcode=202408300002|#]]] * 소니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 인터뷰[[https://youtu.be/X8pBf88ycCo|#]]에서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는 원래는 케이팝이 없고 Demon hunter라는 소재만 있었는데, 이후 이 구상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K-POP이 추가되었다고 들었다고 한다. 매일경제와 진행한 메기 강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https://www.mk.co.kr/en/hot-issues/11352173|#]]이 작품은 본래 메기 강 감독이 드림웍스를 나온 후, 워너 애니메이션에서 잠시 몸을 담았을 때, 구상이 시작된 작품으로 한국 문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가 나왔으면 멋질 거라는 생각을 품고 있다가 감독이 된 뒤 한국의 Demon(저승사자, 물귀신, 도깨비 등)의 디자인이 멋져서 Demon hunter를 구상했고 그 뒤로 Demon hunter의 정체를 숨기는 직업을 고민하다가 케이팝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메기 강 감독이 이 구상을 구체화한 시기는 본격적으로 BTS를 시작으로해서 K-POP 아이돌 그룹들이 미국을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한 인기를 끌기 시작한 시기와 맞아떨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재를 구매할 여러 회사들을 찾고 있었는데, 이때 소니는 한국문화 중심의 아시아 배우들로만 채우는걸 큰 모험으로 생각해 거절 했다고 한다. 그래서 넷플릭스에 제안했는데 넷플릭스에서 아주 좋아했고 메기 강 감독과 아펠한스 감독 등 제작진이 모두 소니 직원이었기 때문에 넷플릭스와 소니의 협업을 통해 소니팀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https://www.thepopverse.com/movies-kpop-demon-hunters-sony-pictures-animation-netflix-relationship|#]] 그외에도 제작 기간에 대해 밝혔는데, 중간에 코로나 때문에 딜레이가 있어서 길어져 7년 걸렸다고. 만약 코로나가 없었다면 작품 제작에 5~6년 정도 걸렸을 것이라고 한다. * 본 작품의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곰나'가 소니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와 진행한 [[https://youtu.be/QEWqMn9mf98|후속 인터뷰]]에 따르면, 마감 기한이 다가오는데도 제작 진척도는 목표치에 못 미쳤고 제작 일정이 매우 타이트하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특히 작품 내의 한국 문화 구현이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었다고 하는데, 제작팀 내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은 아예 공간을 따로 마련해서 모인 후, 실시간으로 영상이 제작되면 그걸 다시 검토하고 의견을 취합한 후 피드백하는 힘든 과정을 반복했다고 한다. 비한국계 애니메이터들의 경우 한국 문화를 잘 몰라서 잘못되거나 어색한 장면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예를 들면 삭제된 부분 중에는 루미가 '''뜨거운 국밥 뚝배기를 컵처럼 손에 말아쥐고 젓가락으로 국밥을 찍어먹는''' 장면도 있었다.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421281|#]][* 이는 아래 문단에 서술되어 있는, 본작의 배경 아트 디렉터 Celine Dahyeu Kim의 X(트위터) 내용에서도 일부 드러난 부분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마감 기한은 정해져 있는데 현실성에 맞도록 구현하는 문제로 수정을 반복해야 했으니, 이 때문에 제작진 내부에선 상당한 갈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제작 후반기에는 이런 실수를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전담하게 되면서 제작 속도가 훨씬 빠르게 진척되었고, 이에 따라 업무 분배를 맡는 관리자 측에서도 많은 작업을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에게 맡기는 방식으로 작업을 효율화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이후 후속작 제작이 진행된다면, 소니 입장에서는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아예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주축이 된 팀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 * 감독 '매기 강'에 따르면 처음 귀마 콘셉트는 아이돌이 되고 싶어했기 때문에 [[박진영]]을 캐스팅하고 싶었다고 한다. [[https://youtu.be/KVndGYHjp7U?t=438|#]] * 본작 제작진 중 유일한 한국인 [[모델러#3D 모델이나 캐릭터를 제작하는 사람|3D 모델러]]인 류인선의 인터뷰 영상[[https://youtu.be/xam3YtVTCmo|#]]에서 밝히기를 초반부 HUNTR/X 전용기 안에서의 탄수화물 파티 장면에 나온 김밥, 순대나 중반부 설렁탕을 비롯한 작중 모든 한국 음식 및 진우의 회상 장면과 루미와 진우의 밀회 장면에서 나온 각종 한옥들을 묘사한 3D 모델 제작을 모두 혼자서 맡았다고 한다. 정작 작가 스스로는 시간에 쫓기며 작업한 탓에 음식 묘사의 디테일이 부족했다고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