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팝 데몬 헌터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한국 작품 원작 기반을 빼면[* 그나마도 [[갓 오브 하이스쿨(TVA)|갓 오브 하이스쿨 애니메이션]] 하나 말고는 없다. 물론 갓 오브 하이스쿨이 원작 웹툰부터 [[중국 신화]]인 [[서유기]]를 기반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와 같은 다른 국가의 신화적 요소를 대거 차용하여 혼합한 구성이지만 숭례문을 비롯한 서울시 배경과 등장인물의 이름, [[리뉴얼 태권도]]나 [[쌈수택견]] 같은 일부 설정으로 한국 배경임이 명시된다. 그러나 [[나 혼자만 레벨업/애니메이션|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은 한국어판, 영어판과 달리 일본 내수용인 일본어판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지명이 일본 현지화 버전으로 바뀌게 되므로 한국 배경이 아니게 되는데, 다르게 말하자면 나혼렙의 경우 일본 현지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한국적이라고 할만한 요소가 적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을 주요 소재와 배경으로 삼은 최초의 외국산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단편까지 포함하면 [[남산타워]]를 배경으로 한 [[미키 마우스]] 단편 애니메이션〈Locked in Love[[https://youtu.be/CHS-XAyBTvY?feature=shared|#]]〉, 게임에서 파생된 미디어 믹스인 [[오버워치]]의 단편 애니메이션 〈[[오버워치 시리즈/단편 애니메이션#슈팅 스타|슈팅 스타]]〉와 [[리그 오브 레전드]]의 [[K/DA]][* HUNTR/X라는 그룹명 표기도 이에 대한 레퍼런스일 수 있다. 공중파 유튜브의 흥행 관련 외국인 인터뷰에서는 (뮤비 시퀀스의) 장대함이 K/DA를 연상시킨다는 반응이 있었다.]〈[[POP/STARS]]〉 뮤직비디오[* 이마저도 지하철 전광판에 "다음역"과 세탁실에 놓인 세제 이름이 한글로 쓰여 있는 것 말고는 배경이 한국임을 암시하는 부분은 없다.]가 있기는 했지만 이렇게 장편 분량으로 제작된 해외산 애니메이션으로는 본작이 최초다. * [[미국 애니메이션]]인 만큼 [[비내재적 언어|작품 밖의 원어 대사는 영어이고, 애니메이션의 입모양도 원래 만들어진 영어판에 더 맞지만]] 한국이 배경인지라 작품 안의 인물들의 대사는 이계인 악귀들의 소굴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한국어일 것이고, 영어판에서도 '가자~' 등의 우리말이나, '후배' 같은 영어에 없는 표현 등은 한국어 단어를 그대로 쓴다. 한국 비속어인 "아이씨" 대사도 두 번 나오며, "루미 님", "조~이~"라든가 "바이"처럼 한국식 음절 단위로 발음을 하는 대사도 종종 나온다. 이는 '설정상' 이들이 작중에서 한국어를 씀을 암시하는 부분. 한국어 더빙도 입모양은 다소 안 맞을지언정 성우 캐스팅과 연기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어판과 영어판의 대사가 조금씩 다른 부분이 있는데, 재관람을 원한다면 언어를 바꿔서 보는 것도 재미있다. * 그리스, 일본[* 일본어판의 경우 대사와 노래에 따라 배역을 나눠서 캐스팅했다.], 러시아, 스페인어(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스페인), 터키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프랑스어, 필리핀어, 히브리어, 힌디어에서는 노래까지 더빙했고, 그 외 다른 언어는 전부 노래 파트에서 원어(영어)를 사용한다. 한국어는 별도의 번안을 하지 않은 이유는 애초에 케이팝 가사에서 영어가 섞여있는 경우는 흔하고, 원어에서도 중간중간 한국어 가사가 있기 때문에 위화감이 크지 않아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듯하다.[* 다만, 넷플릭스 특유의 오역 문제일 수도 있으나 작중 헌트릭스가 가사를 짤 때 한국어로 짜거나 목욕탕 할아버지와 귀마가 원래 가사인 'My little sodapop'을 '내 작은 소다팝'이라 번역해서 따라 부르는 장면이 있는 걸 보면 최초에는 번안 계획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추후 한국어 번안곡이 추가된다면 노래에 참여한 이들이 대부분 한국어를 노래에 무리 없이 소화하는 수준이라 다른 국가와는 달리 원곡 가수들이 번안곡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넷플릭스 코리아에 올라온 [[https://youtu.be/BuSEXqdD5FE|your idol 영상]]에서 한국어 더빙 버전 가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노래들도 한국어로 더빙이 추가될 가능성이 생겼다. 또한 한국판 헌트릭스 성우들([[신나리(성우)|신나리]], [[김도영(성우)|김도영]], [[김예림(성우)|김예림]])이 [[Golden(케이팝 데몬 헌터스)|Golden]][[https://www.youtube.com/watch?v=VjCIAcMfj7I|#]]과 [[How It's Done]][[https://www.youtube.com/watch?v=hwrUf5W4Uqw|#]]을 커버했기에 추후 다른 곡들 역시 성우들이 직접 커버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래 파트를 더빙한 경우 전문 가수가 아닌 성우다 보니 성우의 노래 실력에 언어에 따른 퀄리티가 천차만별인데 특히 히브리어는 도저히 못들어주겠다는 평이 자자하다. 프랑스어 버전 더빙은 의외로 굉장히 호평이 많다. 다만 프랑스인들에게는 소다팝의 가사에 많이 낮뜨거운 단어와 평소에 잘 안 쓰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 노래 가사로써 사용된 단어라는 인상이 있다고 한다. * 애니메이션은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부터 보여준 특유의 2D스러운 낮은 초당 프레임 수를 유지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인물들의 동작은 대부분 현실적인 관절의 움직임을 보이지만 소다 팝 공연 중 아주 잠시 안무에서 다리가 휘고 늘어나는 등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시리즈]], [[몬스터 호텔|몬스터 호텔 시리즈]]처럼 만화스러운 과장된 인체 표현이 나타난다.[[https://youtu.be/eny0BqmSwmM?t=148|2분 29초 부근]] 마침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와 디즈니의 [[빅 히어로]]의 리드 캐릭터 디자이너로 유명한 한국계 미국인 아티스트인 [[김시윤(캐릭터 디자이너)|김시윤]]이 본작의 캐릭터 디자인에 참여하기도 했다. *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배경의 3D 애니메이션인 데다가 오컬트, 어반 판타지, 퇴마라는 공통점을 갖고 같은 해에 개봉된 [[퇴마록(2025)|퇴마록]]과 섞은 2차 창작들이 나오고 있다. 사실 공개 예고편이 나왔을 때부터 SNS에서 퇴마록 케이팝 버전이라는 드립이 나왔었고, 개봉 후 둘 다 한국에서 어느 정도 이슈가 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개봉되자마자 X 등 SNS에서 두 작품을 엮은 2차 창작들이 어느 정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해외 각종 레딧과 SNS에서 인기를 얻자 해외 많은 게임사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https://bbs.ruliweb.com/ps/board/300001/read/2336543?|콜라보]]하기 위해서 넷플릭스에게 연락을 보내고 있다.[* 제작 및 지원은 소니 픽쳐스에서 했으나 판권은 넷플릭스가 소유하고 있다.] *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측면뿐만 아니라 춤과 가사, 음악 등 다양한 방면으로 분석 리뷰가 올라오고 있다. 전곡 가사를 해석하여 첫 곡부터 마지막 곡까지의 모든 노래의 가사들이 많은 복선으로 소름돋을 정도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https://youtu.be/cTq4rtb85GY|소개]], 초대형 남돌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데뷔곡 Soda Pop의 [[https://youtu.be/QYaFP-lOkAc|안무 분석]], [[Your Idol]]의 [[https://youtu.be/TTPsTbUElRM|안무 분석]] 등 깊이 있고 재미있는 분석들이 늘고 있다. * 구글(크롬)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검색하면 [[이스터 에그]]로, 카테고리와 결과창 사이에 헌트릭스 멤버들이 연호했던 'Couch! Couch! Couch!'(소파! 소파! 소파!)가 지나간다. * 초안에서는 성인향 작품이었지만, 제작사가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아동용 영화로 제작할 것을 제안하여 수용했다. 성인향 작품이었던 흔적은 악귀를 가차 없이 살해하는 헌트릭스와, 루미와 진우와의 썸 묘사는 자제하는 게 오히려 더 자극적이라는 제작진의 인터뷰로 흔적이 남아 있다. * 영화를 인상 깊게 시청한 팬들이 헌트릭스와 사자 보이즈를 [[사이버 가수#버추얼 아이돌|버츄얼 아이돌]]과 유사하게 받아들이며 무대 영상이나 직캠 같은 추가적인 컨텐츠를 요청하기도 하나, [[애니메이션]]과 [[버츄얼]]은 엄연히 다른 영역이라 제작방식이 크게 달라 해당 컨텐츠들이 만들어지기는 어렵다. 버츄얼 유튜버나 버츄얼 아이돌들의 컨텐츠들은 실시간 방송 또는 이를 녹화한 유튜브 영상이 메인이기에 대부분 [[언리얼 엔진]]이나 [[유니티(게임 엔진)|유니티 엔진]]과 같은 게임에 사용되는 실시간 렌더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 덕분에 다양한 영상을 비교적 간단하고 수월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델링이나 최종 아웃풋의 퀄리티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나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픽사]]와 같은 애니메이션 업체가 만들어내는 영상들은 기본적으로 제작 기간 상당히 보장되어야 하는 영상물이고, 모델링과 최종 아웃풋의 퀄리티가 매우 높은 만큼, 대부분 [[Autodesk Maya]]나 [[3ds Max]]와 같은 비실시간 렌더링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거기다 기본적으로 제작 규모가 버츄얼 유튜버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압도적으로 오래걸리고, 대신 퀄리티가 굉장히 높다. 그렇다고 컨텐츠 양산을 위해 빠른 제작을 하려고 모델링이나 맵핑 등의 품질을 낮추면 원작의 분위기가 살지 않아 원작 훼손이라는 평가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컨텐츠를 만들어내기가 굉장히 어렵고, 추가적인 컨텐츠가 나오더라도 영화의 일부를 그대로 가져온 뮤직비디오나, 성우 또는 가수를 인터뷰하는 컨텐츠가 한계일 수밖에 없다. 또한 애니메이션과 버츄얼 영역의 차이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특유의 제작방식에서도 어쩔 수 없는 벽이 존재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컨텐츠들은 넷플릭스가 제작비를 전부 지원하고, 제작사 측은 리스크를 지지 않는 대신 수익의 대부분과 IP의 소유권을 넷플릭스가 가져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렇다고 제작사의 수익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서 제작비용보다 더 지급을 보장받거나, 흥행 여부에 따른 인센티브를 추가 지급받는 방식으로 최소한의 이득은 보장한다. 다만 이게 극장 개봉으로 벌어 들이는 수익보다 미미한 것이 문제.] 이 때문에 대흥행하더라도 결국 판권은 넷플릭스가, 제작 에셋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가 갖고 있어 소니 측에서 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2차 영상을 제작하면 넷플릭스만 좋은 꼴이기에 굳이 만들어줄 필요성이 없다.[* 넷플릭스가 수익의 전부를 독식하는 구조 때문에 일견 넷플릭스의 횡포로 보일 수 있겠지만, 제작사가 리스크를 지지 않기에 과감한 작품 도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구조 덕분.] 이 때문에 오리지널 컨텐츠가 흥행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주체는 거의 대부분 넷플릭스 측이다.[* [[오징어 게임]]의 경우도 배우들의 인터뷰 영상 같은 추가 컨텐츠들도 전부 넷플릭스 공식 계정으로 업로드 된다. 오징어 게임과 같은 실사 작품들은 배우들을 불러서 비하인드 이야기를 나누거나 하는 식으로 2차 컨텐츠를 만들어내기 쉽지만,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 상 제작 에셋이 전부 제작사에 있는 만큼 넷플릭스가 단독으로 컨텐츠를 생산해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물론 2차 컨텐츠를 넷플릭스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계약하여 이에 대한 제작비를 보장받으면 추가적으로 생산할 수는 있겠지만, 3D 애니메이션이라는 영상 특성상 제작 단가와 제작 기간이 상당할 수밖에 없는 만큼 이는 단순히 유튜브용 컨텐츠가 아닌 넷플릭스의 정식 컨텐츠 혹은 2편의 제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본작이 흥행한 데에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해외 팬들 사이에서는 그간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와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픽사]], [[드림웍스 애니메이션|드림웍스]]를 비롯한 미국 애니메이션 3강 체계를 담당하는 3사가 작품성보다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거나 이미 사용한 소재를 또 사용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정체된 사이 소비층 사이에서도 누적된 이러한 불만을 케데헌이 어느 정도 해소해주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라는 영어식 제목을 한국어로 풀어서 '우리가락 [[마라 파피야스|마구니]] 사냥꾼'이라고 풀이하기도 하는데, 이는 한국 버추얼 유튜버 [[향아치]]의 본작 리뷰 영상인 [[https://youtu.be/t9zuDgfkyFw|우리가락 마구니 사냥꾼 후기]] 제목에서 따왔다. * 오리지널 컨텐츠가 한정적이라서 2차 창작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327|비밀을 밝힐 수 없는 루미]],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342|아이돌 경험이 있었던 귀마]],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407|헌트릭스 짤]],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354|집을 잘못 찾아온 미스터리]],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58649|조이는 두번 묻지 않는다]] * 작중 등장하는 루미의 팔찌는 국화매듭, 생쪽매듭, 도래매듭, 그리고 평매듭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https://youtu.be/najVS7TzVGg|#1]] [[https://www.instagram.com/p/DL_-pXmpE2g/|#2]] * [[삼성전자]]와 [[넷플릭스]] 협업의 결실로 공식 케이팝 데몬 헌터스 테마와 배경화면이 공개되었다. 삼성 갤럭시폰 사용자면 누구든지 내려받을 수 있으며 [[갤럭시 스토어]]에서 [[넷플릭스]] 앱을 설치하고 이벤트 페이지로 이동하면 내려받을 수 있다. * [[한국경제신문|한국경제]]에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81267211|'케데헌' 1조 잭팟 터졌는데…수익은 美·日이 '싹쓸이']]란 기사를 올렸다. 당연하지만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다. 애초에 이 작품은 한국적 소재를 다룬 [[미국 애니메이션]]이다. 작품 자체의 수익은 공식 콜라보를 하지 않은 이상 한국과는 전혀 무관하다. 또한 본작의 흥행으로 인한 한국 관련 컨텐츠의 인지도 급상승이라는 간접적인 이득을 전혀 고려하지 못했으며 앞서 말했듯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은 미국에 위치한지라 본작의 흥행으로 일본이 보는 이득은 크게 없다. * 작품의 흥행 이후 케데헌이 미국 애니냐 일본 애니냐를 두고 언론이나 웹상에서 큰 논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모기업인 소니가 일본 기업이므로 일부 일본 네티즌들은 '일본 애니의 쾌거'라고 주장하지만, 정작 제작한 스튜디오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는 미국 기업이므로, [[칼리스토 프로토콜#s-8.1|칼리스토 프로토콜 국적 논란]]에서도 이미 잘 서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국적 논란은 보통 모기업이 아닌 스튜디오 위치로 판단하므로 [[미국 애니메이션]]으로 분류하는게 옳다. 케데헌이 일본 애니라는 논리라면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산하의 [[인섬니악 게임즈]]의 [[Marvel's Spider-Man]] 시리즈나, [[번지(게임 회사)|번지]]의 [[헤일로 시리즈]], [[데스티니 시리즈]] 등을 일본 게임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수준이다. 반대로 일부 [[국뽕|자극적이고 과격한 애국]] 성향의 네티즌은 한국인/한국계 비중이 높으니 사실상 [[한국 애니메이션]]이라며,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거나 조롱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제작 주체가 한국계라고 한국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은 [[트랜스포머 더 무비]]가 [[넬슨 신]]과 ACOM에서 만들었으니 사실상 한국 애니라는 반응과 같다. * 소니 픽쳐스 애니메이션 유튜브 채널의 영상들 중에서 케데헌 영상만 유독 조회수가 월등히 높은 위엄을 보여준다. 다른 영상들은 조회수가 많아도 500만을 넘기는 게 무척 드문데 반해서 케데헌은 트레일러만 600만을 넘고 트레일러를 제외한 모든 영상들이 수천만~1억 이상의 조회수를 보여주고 있다. 조회수가 낮아도 2천만대이며 골든은 무려 1.9억 회로 2억을 바라보는 수준이다. 넷플릭스에서 올린 영상들도 수백만~수천만대의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