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팝 데몬 헌터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14205554, IMDb_user=7.7,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로튼토마토=kpop_demon_hunters, 로튼토마토_tomato=97, 로튼토마토_popcorn=92,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kpop-demon-hunters, 메타크리틱_critic=76, 메타크리틱_user=8.2,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kpop-demon-hunters, 레터박스_user=3.7,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왓챠=mW42oMq, 왓챠_user=3.5,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43536, 키노라이츠_light=95.33, 키노라이츠_star=3.6,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케이팝 데몬 헌터스, 네이버영화_audience=9.67,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M000120637,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91011, 알로시네_presse=없음, 알로시네_spectateurs=4.3,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2025/kpop-demon-hunters, MYmoviesit_MYMOVIES=이탈리아미개봉, MYmoviesit_CRITICA=없음, MYmoviesit_PUBBLICO=없음,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8043830, 키노포이스크_user=7.9,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TMDB=803796, TMDB_user=84,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k-pop-demon-hunters, 무비파일럿_user=7.1,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JustWatch=keipab-demon-heonteoseu, JustWatch_user=91,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 야후재팬_user=, ## 야후재팬_highlight=display, Filmarks=117010, Filmarks_user=3.8,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391124, 도우반_user=6.6,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무비스=, 무비스_user=, ## 무비스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파리부시네벌스=, 파리부시네벌스_user=, ## 파리부시네벌스_highlight=display)] ## 메타크리틱의 표본이 지나치게 적기 때문에 왓챠로 하이라이트 교체합니다. >'''기획을 제대로 관철시키는 스타일과 귀에 쏙쏙 꽂히는 수록곡의 파워.''' >---- >[[이동진]] (★★★) >'''단순히 [[K-POP]]에 대한 러브레터가 아닌, [[K-POP]]을 둘러싼 문화에 대한 예리한 관찰, 그리고 흔들리지 않는 시선''' >---- >- 데이비드 티자드(David Tizzard) / [[코리아 타임스]] 리뷰 中 *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제목에 '케이팝'이 대놓고 들어가는 것부터 [[한류]]의 인기에 편승하려는 것, 또는 흔한 국뽕 계열 미디어가 아니냐는 냉소적인 인식이 있었다.[* 동시에 공개된 [[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movie/2021/03/09/CJX7B5KR75GCRPOU4ZWUYHSFEU/|컨셉 아트]] 역시 국적 불명의 이상한 복장을 입은 아이돌들이 등장해서 [[김치 전사]] 같은 괴작을 연상시킨 면도 있다.] 게다가 2021년에 제작을 발표한 이후로 4년간 소식이 없기까지 해서[* 공개 후 감독 매기 강의 [[https://x.com/maggiemkang/status/1925608824498790816?t=L9UsqzNn_OdTycZ_Sh5Y8Q&s=19|코멘트]](7 years later, it lives.)를 보면 그보다 긴 7년 동안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즉, 2018년부터 디벨롭한 것. 소니에서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언급(This journey started with a random idea to mash demon hunters and K-Pop together and now, '''almost seven years later, we have a movie.''')이 확인되었다.] 진짜 [[베이퍼웨어]] 아니냐며 불안해하는 의견도 커졌다. 하지만 예고편 공개 후 높은 퀄리티로 기대치가 반등했고, 'K-POP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주인공들이 저승사자 보이그룹으로부터 팬들을 지켜낸다'는 콘셉트도 재밌다는 평이다. 악령을 사냥하는 퇴마 아이돌은 [[굿]]을 행하는 [[무당]]을 현대 어반 판타지 히어로로 재해석[* 메인 보컬이자 악령과 무당의 혼혈인 루미는 반인반귀 [[비형랑]]이 모티브로 보인다.]한 것으로, [[남산서울타워]], [[한국 요리]], [[사인검]], [[일월오봉도]], [[까치호랑이|까치호랑이(작호도)]] 스타일의 [[호랑이]], [[기와집]] 등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 문화가 자연스럽게 묘사되어 있다는 점도 호평받았다. 즉, 제목을 유치하게 지어서 진입장벽을 스스로 만든 것이 문제이지 퀄리티는 준수한 작품이다.[* 오히려 자칫 유치할 정도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제목이 기대치를 낮춰놔서 더욱 호평을 받은 것이라는 의견도 꽤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 업계에서 30년을 일한 미국의 [[https://www.linkedin.com/in/eric-calderon-2162b9/|에릭 칼데론]]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똑같이 2025년 6월 20일에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인 본작과 디즈니의 [[엘리오]]를 비교하는 영상을 통해[[https://youtu.be/0tXr6UtyQzw&t=88s|#]] 단순히 주인공의 이름 외에 그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 엘리오와 달리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용사가 되지 못한 나는 마지못해 취직을 결심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암살자, 이세계 귀족으로 전생하다]] 등의) [[문장형 제목]]이 유행하는 사례를 언급하면서 본작의 직관적인 제목이 (예의 문장형 제목에 익숙한) 관객의 몰입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 공개 이후에는 탄탄한 이야기 구조와 등장인물 서사, 그리고 장르적 문법을 충실히 따르는 정통 [[왕도물]]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시청 국가와 관람층을 불문하고 고른 호평을 받고 있으며, 해외 영화 평론 사이트에서도 평점이 고공행진 중이다. * 연출과 사실성 구현 외에도 주요 등장인물들의 서사를 관통하는 자기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비단 아이돌뿐만 아닌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 과거 동양을 소재로 한 해외 자본의 작품에서 한중일 3국의 요소가 마구 혼재되어 이도저도 아닌 배경의 어색한 작품들이나 그냥 동양권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요소들을 적당하게 섞은 동양풍의 작품들이 많이 나왔고[* 대표적으로 [[쿵푸팬더 시리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한 시대를 풍미한 중국/홍콩권 무협 영화들에 대한 헌정격 레퍼런스가 가득한 작품으로, 무술을 주요 소재로 삼는 해당 영화들에 등장하는 중국적인 관념 및 분위기를 잘 보여주어 큰 찬사를 받았지만, 그 배경으로 등장하는 마을, 지역, 주민 등은 작중에서 분명히 '중국'이라는 언급이 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그 양상이 지역 불명, 시대 불명, 중국적인 문화라기보다 서양에서 상상하는 동양인 사회나 마을의 모습에 가깝다는 식의 비판이 존재한다. (분위기상으로는 이미 청나라 성립과 함께 여러 변화가 정착한 근대 중국의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애매모호하고 두루뭉술하게만 묘사가 된다) 특히, 무술과 관련된 요소를 제외하면 '일상'의 모습에서 드러나는 중국적 요소는 먹는 음식이나 입는 복장 정도를 제외하면 상당히 드문 편.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많아서, 동양권에서 만드는 서양 판타지는 온갖 시대의 오만가지 문화의 잡탕인 경우가 많다.], 실제와 다른 구현 오류가 넘쳐났던 것과 다르게 '''매우 실감 나는 묘사를 보여주고 있어 호평을 받았다.''' 분명 제작사는 미국 기업이지만 작중 배경과 콘셉트 자체는 완전히 한국적인 작품으로, 젓가락 밑에 휴지를 깐다거나 노랑 파랑 선이 그어진 문 닫힌 상점의 셔터 등 사소한 요소 하나하나에서 한국적인 스타일이 진하게 드러난다. 빠르게 지나가서 놓치기 쉽지만 헌터의 역사를 훑는 장면에서 황금 혼문의 범위가 주변으로 펼쳐지는 와중에 '''[[군사분계선|휴전선]] 구간은 제대로 펼쳐지지 않는''', 분단된 한반도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한 묘사도 있다. 즉, 작중 헌터의 역사에 등장한 황금 혼문은 불완전한 황금 혼문일 가능성이 있다. 이 외에 초대부터 시작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작은 고을에서 시작된 혼문이 세대를 거쳐서 점차 세계로 영향력을 뻗어가는 K-POP의 위상으로 연출된 것에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바비, 셀린 같이 이름이 영어식인 경우가 많다. * 한국문화뿐만 아니라, 특히 오히려 외국인들은 얼핏 고증오류 아닌가 의문을 표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작 한국인들이 고증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부분은 옷차림에서도 드러난다. 온대기후에 사계절이 뚜렷하다 못해, 겨울은 시베리아를 방불케 하는 엄동설한, 여름은 더 습하고 더운 동남아에서 온 사람들도 더 힘들어 할만큼 극단적이면서, 특히 이 사이 환절기에 해당하는 봄 가을에는 패딩 점퍼, 스웨터, 하와이안 반팔, 민소매 탱크탑, 얇은 후드와 두꺼운 후드티나 집업 등이 모두 같은 시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제대로 표현한 것 역시 고평가 요소이다. 당장, 베이비의 스웨터, 애비의 하와이안 반팔 티셔츠, 미스터리의 팔토시, 조이의 탱크탑, 루미의 터틀넥+두꺼운 후드 및 중간중간 드러나는 일반인들의 패딩점퍼 차림과 반팔 또는 여성 민소매 패션 등등이 그것. 심지어, Han의원 방문 때의 헌트릭스 멤버들의 복장을 보면 더 가관이다. 바로 직전에는 미라가 하의실종 롱스웨터, 조이가 팔꿈치 반팔 박스티, 루미는 터틀넥+후드티였으나 다음날 미라는 아예 민소매 조끼 한 겹에 박스핏 팬츠, 조이는 봄가을용 두꺼운 라운드티에 두꺼운 린넨 점퍼 두 겹에 반바지, 루미는 터틀넥+후드티+린넨 트랜치 코트로 세 겹에 조거팬츠다. 아예 봄 가을에는 기분, 컨디션, 날씨, 체질에 따라 완전히 서로 다른 옷을 입는 실제 상황을 그대로 재현한 것에 가깝다. * 본래는 죽은 자들을 저승으로 인도한다는 [[저승사자]]가 인간들의 영혼을 노리는 악역으로 나오는 부분은 공개 전후를 통틀어 호불호가 갈렸는데, 단지 인간이었다가 악귀가된 자들이 저승사자의 '모습'만 띄고 있을 뿐 실제 설정상 저승사자는 아니라고 한다. * 다만 좋은 평가만 받는 것은 아니다. 루미를 제외한 다른 구성원인 미라와 조이의 서사가 지나치게 추측에 의존하는 면이 있다는 점, 혼문 자체에 갑작스레 절망하게 된 루미가 돌연 개심하는 등 절정부의 플롯이 급작스럽게 전개되어 매끄럽지 못하다는 점에서는 혹평이 있다. 이 부분은 추후 후속작이 제작되거나 감독판이 발표된다면 수정될 수 있다. * 한국 문화 재현이나 이야기만 좋은 것에 그치지 않고, 뮤지컬 영화로서 가장 중요한 음악적 완성도가 큰 호평을 받았다. 해외 한국계 예술가들이 한국계의 자존심을 걸고 다 같이 모여서 혼을 갈아 넣은 품질의 기획과 작사·작곡을 선보인 데다 헤메코와 안무와 카메라 워킹까지 더해지면서 플롯의 설득력을 크게 끌어올렸다. 모든 사운드트랙이 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공개 일주일 만에 스포티파이 최상위권에 OST 전곡이 올랐다. 기존 뮤지컬 영화가 이야기 전개 도중에 음악이 삽입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아이돌을 다룬 애니메이션이기에 작중에서도 실제 뮤직비디오 형태 또는 안무를 동반한 무대로 노래를 선보였는데, 뮤직비디오 및 무대 모두 기억에 남을 만큼 멋지게 뽑았다는 반응이 많다. 특히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무대는 남자 아이돌에 관심 없던 남성 시청자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 이 사운드트랙 호평에 힘입어, 2025년 7월 4일에는 미국 스포티파이 데일리 송 차트에서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Your Idol('''1위''')과, Soda Pop(10위)이, 그리고 [[HUNTR/X|헌트릭스]]의 Golden(2위)과, How It's Done(8위)이 나란히 차트 최상위권에 차트인했고, 이어서 7월 9일에는 헌트릭스의 Golden이 사자 보이즈의 Your Idol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하며 현실에서 가상의 두 아이돌 그룹이 영화 내용처럼 엎치락뒤치락하며 차트 경쟁을 벌이는 기현상까지 낳았다. 이는 그룹 명의로 발표된 K-POP 장르 곡 중 역대 최고의 성적으로, 기존의 [[방탄소년단]]이나 [[BLACKPINK]] 등의 최정상 K-POP 아이돌도 달성하지 못했던 기록이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514140001677?did=NA|기사]]). 흔히 한국에서 주목하는 빌보드는 앨범 구입 등 팬덤파워가 작용할 수 있는 반면 스포티파이나 애플뮤직에서 선전하는 것은 대중적 관심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 주역 3인방의 맥락 없는 [[얼굴개그]]가 은근한 병맛을 자랑하는데[*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팅은 얼굴 표현이 다양하지만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처럼 얼굴을 가린 캐릭터들이 다수거나, 시리어스 노선의 작품이 많았던 특성상 얼굴 포징이 다소 제한되어 있었는데, 본작에서는 얼굴 포징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를 많이 한 느낌이다. 악역 캐릭터들 또한 개그신이 하나씩은 존재하며, 진우는 아예 주역 3인방처럼 얼굴개그 '''단독 샷''' 장면이 있다. 목욕탕에 악령들을 풀어놓고 혼자 실실대며 도망치다가 루미에게 추격당하는 장면.], '케이팝 아이돌'이라는 존재 역시 무대 위 모습 외 인간적인 면모가 넘치는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점을 보여준 부분도 호평을 받았다. "여성" 캐릭터들의 얼굴 표정이 코믹하게 표현됐다는 사실 자체가 상당한 특이점이자 장점이란 의견도 존재한다. * 아이돌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보니 시청자들이 실제 아이돌 팬덤처럼 덕질하는 특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HUNTR/X|헌트릭스]]와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팬이 되어 서로를 견제하는 듯이 말다툼하는 등의 상황극에서 나아가, 소다팝이나 Your Idol 아이돌 멤버별 직캠을 따로 업로드한다거나 기존 케이팝 곡들에 많이 있던 '한국어 한글 표기 - 한국어 로마자 표기 - 영어 해석' 형식의 가사 영상이 업로드되거나, 챌린지 영상들이 만들어지는 등. * '''아이돌'''을 다룬 '''애니메이션'''이다 보니 양쪽 덕후들이 모두 유입된 것 또한 특징이다.[* [[일본 아이돌]]을 다룬 일본 애니메이션은 많지만, 한국의 애니 시장 특성상 [[한국 아이돌]]을 다룬 아이돌물 애니메이션은 매우 드물다. [[샤이닝 스타(애니메이션)|샤이닝 스타]]가 케이팝을 다루긴 했지만 음악을 제외하면 일본식 [[아이돌물]]에 가까운 편.] 아이돌 덕후들 사이에서는 "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지 알겠다"라는 반응이, 애니메이션 덕후들 사이에서는 "왜 아이돌을 좋아하는지 알겠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그만큼 작품 내에서 아이돌과 그들의 음악, 무대를 현실에 가깝게 멋지게 표현해냈으며 애니메이션 자체의 완성도도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 * 게다가 대흥행에 힘입어 실제 케이팝 아이돌들도 본 작품을 감상하고 나서 Soda Pop 등의 안무 챌린지 영상을 직접 찍기도 했다. * 도입부를 굉장히 잘 만들어서 시청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기대를 한껏 높였다는 평이 많다. 조선시대 [[무당]]에서 이어져 오는 서사를 통해서 왜 케이팝 가수가 퇴마를 하는지 명료하게 설명해주었고, 비행기에서의 전투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How It's Done|How It's Done]] 공연을 통해서 작품의 뛰어난 노래를 소개해주는 동시에 헌트릭스의 전투력을 보여줘서 왜 악령 측이 아이돌 작전으로 나서는지에 대한 개연성도 깔끔하게 설명해주었다.[* 물론 진우와 다른 사자보이즈의 외모를 보여주면서 아이돌 데뷔의 성공률이 100%일 것이라는 것도 한방에 해결한다.] * 무엇보다 넷플릭스 1위를 석권하고 사운드트랙이 빌보드 1위까지 가는 엄청난 흥행을 하면서 생긴 현상은 한국 이미지 자체의 흥행과 문화, 관심도를 높히는데 큰 역할을 한 작품으로 등극했다는 점이었다. 최대 1조원의 IP가치와 영화 자체의 수익은 미국의 [[넷플릭스]]와 일본의 소니 측에서 번 것을 감안해도 한류에 대한 전세계적 열풍은 방탄소년단에서 끝일줄 알았으나 또 한번 정점을 찍었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수십 조원을 투자해도 달성하기 어려운 국위선양을 톡톡히 했다. 개봉 2달이 지난 시점에서 구글 검색어 트렌드부터가 8월 말 한국 전반에 관한 검색량이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당시 수준을 넘었을 정도였으며 관광업계, 식품, 전자, 뷰티업계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관련한 마케팅을 이용하면서 크게 활성화되었다. 각종 한국적 요소들과 캐릭터들로 문화 자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은 연일 최다 관람객을 돌파했고 [[이재명|대통령]]도 국제 외교무대에서 마음 편하게 이야기를 꺼낸뒤 감독을 만나 지원을 약속했을 정도. 여러모로 단순 흥행작을 넘어 [[오징어 게임]]처럼 한류열풍을 이끈 대표적인 작품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