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팝 데몬 헌터스/등장인물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호랑이(더피) ===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 width=550><nopad> [[파일:케데헌 호랑이.gif|width=100%]] || 진우가 데리고 다니는 호랑이. [[까치호랑이]]에 나오는 --짝눈--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붉은색/검은색 색상이 배정된 악령들과 달리 헌터들처럼 [[블루 타이거|푸른색 계열 색상이 배정되어 있으며]] 일부 장면에서는 헌터들의 역사를 설명하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s-2.12|Score Suite]]의 일부가 연주된다.[* 진우의 편지를 전달한 뒤 사라지는 장면.] 본작 최강의 [[씬스틸러]]. 쓰러져 있는 물건을 도로 세우는 것에 집착하며, 때문에 [[강박증 |화분이나 쓰레기통 등이 '넘어져' 있으면 만사 제치고 어떻게든 도로 세우려고]] 하지만 발이 통통해서 그런지 성공한 적이 없다.[* 고양이과 동물들이 실뭉치를 던져주면 그걸 가지고 노는 것에 정신이 팔리는 것과 비슷하게 보인다.][* 보통의 고양이들은 화분 같은 걸 넘어뜨리는 걸 즐긴다는 것과는 정반대의 습성이라 근본적으로 선한 존재이기 때문에 망가진 것을 다시 고쳐놓고자 하는 본능이 있어서라는 추측과, 귀신에 속하는 존재라 보통의 고양이가 하는 [[설공찬전|행동을 거꾸로 하는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미라가 와서 가야 할 때에도 쓰레기통 하나만 보고 다시 올 정도로, 이러한 행동(원상복구)이 더피의 우선순위로 보이며 누군가에게 들키거나 경계받는 건 비교적 신경 안 쓰는 듯. 루미 앞에 처음 나타났을 땐 풀 사이 어두운 곳에서 붉은 눈빛을 빛내며 나타나는 무서운 분위기를 풍겼다 보니 루미는 적이 보낸 습격자라고 여겨 칼까지 빼어드는 등 경계하지만, 이내 루미에게 접근하다가 화분을 실수로 넘어뜨리고는 루미에게 다가가는 것도 잊고 쓰러진 화분을 어떻게든 도로 세워놓으려고 하지만 매번 실패하는 웃픈 모습을 보인 이후로는 루미도 긴장을 풀고 동료인 서씨조차도 그런 더피를 바보 보듯이 본다. 초반에는 입안에 편지를 넣어 루미와 진우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이후에는 아무렇지도 않게 루미 방에서 엎드려 잠을 자고 있기도 하고, 자연스럽게 루미를 태우며 이동 수단이 되어주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 혼문에 의해 악령들이 전부 저승으로 되돌려진 와중에도 서씨와 아무렇지도 않게 이승에 머물러 있기까지 한다. 아트 디렉터 왈, 영화에서 설명하지는 못했으나 '설정상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7192632884822370|그 어느 공간에도 존재할 수 있는 영 또는 '''착한 요괴''']]'였기 때문이라고.[* 물론, 귀마가 있는 저승에서도 자유로이 돌아다닌 것을 보면 딱히 어느 한쪽을 적대하는 것이 아닌 [[중립(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중립적]] 위치에 있는 존재라 할 수 있다. 딱히 해를 끼치거나 자처해서 간섭하진 않기 때문인지 귀마 쪽에서도 기본적으로 방치하면서 이번처럼 전령으로 써먹을 때나 쓰는 듯. 까치는 행운과 복, 반가운 손님을 부르는 동물이고 조선시대 호랑이는 악귀와 액운을 쫓아내고 산신령의 심부름꾼으로 여기는 동물이다. [[호작도]]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당시 기득권을 풍자한 것도 있지만, 벽에 걸어 집안의 안녕을 비는 부적 같은 역할도 했다.] 포탈을 타듯 공간이동을 하는데, 가만 보면 공간이동을 할 때 아예 혼문을 매개체처럼 이용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다만, 이들이 마냥 순수한 전령 역할만 한 것이 아니라, [[스파이]] 역할을 했다는 의견이 있다. [[진우(케이팝 데몬 헌터스)|진우]]가 아직 공개된 적 없는 [[Takedown(케이팝 데몬 헌터스)|Takedown]]을 이용하여 함정을 만든 것이 그 근거. 이 곡을 제작하던 당시 더피와 서씨는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루미]]의 방에 드나들었던 데다, 더피가 쓰레기통을 주시하던 것도 그걸 세우려는 게 아니라 쓰레기통에 버려진 노래 가사를 노리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 이에 대해서는 제작진은 더피를 일관적으로 ‘선한 요괴’, ‘헌트릭스와는 잘 지내고 있다.’ 라고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해석은 잘못된 해석이거나, 해당 해석이 맞더라도 더피의 선의를 진우가 악의적으로 이용하였을 확률이 높다. 기본적으로 중립에 위치한 존재로서 헌터와 악령 간의 항쟁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그저 진우 그리고 나중의 루미처럼 친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에만 신경 쓰는 것으로 보이는데, 진우와 루미의 데이트를 몰래 따라다닌다던가 진우가 악령으로서 루미와 싸우게 되자 그동안의 무표정과는 달리 안쓰러운 표정으로 진우에게 루미와의 커플 팔찌를 들이대면서 진우를 만류하는 모습을 보인다. 공개된 설정에서는 진우가 편지 보내기 등 시킬 일이 있으면 해태상을 두드려 소환한다는데, 그래서인지 루미를 진우와 만나게 하는 일을 마친 후, 해태상 안으로 사라지며 퇴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듯 본작에서는 바보 같고 귀여운 모습으로 대부분 나오지만 초반 장면을 잘 보면 시뻘겋게 뜬 눈과 그르렁대는 숨소리로 악귀들을 공포에 떨게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원본인 [[호작도]]가 전통적으로 잡귀들을 쫒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해석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초안에서 작호도의 디자인은 귀마를 창작하는 데 필요한 레퍼런스로서 고려되었으며, 한편으로는 귀마와 별개의 악령 디자인이 구상되기도 하였지만, 최종적으로 어느 세상에서나 존재할 수 있는 선한 요괴로서 더피가 완성되었다. 공간이동이 가능한 것과 입꼬리를 올린 듯한 표정을 보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체셔 캣]]의 모티브도 어느 정도 차용한 듯. 본작의 마스코트가 되었다. 맹한 눈과 고양이 같으면서도 강아지 같은 맹한 행동, 통통하고 짧둥한 생김새 때문에 행동 하나하나가 귀여워서 인기가 많다. 개봉 이후 팬아트가 쏟아져 나왔고, 굿즈 출시를 바라는 요청도 자주 보인다. 실제로 개봉 시 제작진들에게만 '''인형'''이 배포되기도 했으며, 얼마 뒤 [[https://www.netflix.shop/en-kr/collections/kpop-demon-hunters|공식 상품 판매처]]에서 [[https://www.netflix.shop/en-kr/products/k-pop-demon-hunters-derpy-tiger-plush|상품 예약 판매]]가 개시되었다. 지금은 어느 정도 공식 굿즈가 공개되었지만, 개봉 직후에는 [[https://theqoo.net/square/3798716403|제작진 한정품]]으로만 언급되어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았다. 이때 '더피와 서씨' 말고 그 모티브인 호작도는 몇 백 년 전부터 유명한 민화인 데다 디자인이 꽤 귀여운 터라 그 모작 및 패러디 상품이 꽤 흔해서, 공식 굿즈 출시까지 기다리기 힘들어하는 팬들 중 일부는 호작도 굿즈 쪽으로 눈을 돌렸다.[* 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 기념품 샵에서 판매중인 [[https://www.museumshop.or.kr/kor/product/product_view.do?str_bcode=1002008&str_goodcode=202408300002|까치 호랑이 뱃지]]의 경우, 더피와 서씨와 매우 흡사하게 생긴 탓에 빠르게 매진되었다. 같은 모티브로 만들어진 것들이니 닮은건 당연한 것이긴 하지만... 이후 국립중앙박물관 인스타그램에서 이런 현상을 눈치채고 문제의 작호도 굿즈를 경품으로 걸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람인증 추첨 이벤트를 진행했다.] 넷플릭스 코리아 또한 인기에 힘입어 [[https://x.com/NetflixKR/status/1937073140993069327|장면 모음]]을 트윗했다. 한편 같은 민화풍 호랑이 캐릭터인 [[꿈에서 본 호랑이]]와 [[https://x.com/NDG_0_0/status/1936423548639379463|엮이기도 한다]]. [[https://x.com/govy9807/status/1938439333742264705|꿈에서 본 호랑이 원작자]]도 팬아트를 그렸다. 작중에선 진우, 루미가 '호랑이'라고만 부르고 이름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디자이너 래드포드 세크리스트[* [[키포와 신기한 동물들]]의 원작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euca&no=1561148|아내인 매기 강이 이번 작품의 감독을 맡은 인연]] 때문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래드포드가 키우는 애완 고양이 또한 호랑이의 모티브가 되었다.]가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https://x.com/radsechrist/status/1936656502242365633|더피(Derpy)]]라고 한다. 이름의 어원인 더프(Derp)는 [[사우스 파크]]의 등장인물인 Mr.Derp가 [[사시(질병)|사시]]눈을 뜬 모습이 밈이 되어, 이후 사시눈을 뜬 멍청해 보이는 얼굴에 Derp라고 자막을 붙인 것이 유래이다.[* [[Rage Guy#s-3|Herp Derp]]가 특히 유명하다. 같은 유래의 별명을 가진 [[더피 후브즈]]의 경우도 사시눈을 뜨는 캐릭터이다.] 까치호랑이에서 호랑이는 사시눈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고, 이를 의식하여 더피 역시 작중에서 사시눈을 보이는 캐릭터이기에 사시눈의 멍청한 얼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즉 한국어로 치면 사팔뜨기에서 따온 사팔이 정도 되겠다. 감독이 공개한 후일담에 따르면 주인이었던 진우가 사라진 뒤 홀로 남겨진 더피와 서씨를 루미가 거두어 함께 살게 되었고, 다른 멤버인 미라와 조이와도 알게 되면서 HUNTR/X와 함께 평화롭게 잘 지내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도 마지막 장면에서 조이가 더피의 모습이 그려진 노란 후드티를 입고 있다.[*감독_인터뷰 본작의 감독인 매기 강과 [[루미(케이팝 데몬 헌터스)|루미]]의 영어 더빙을 맡은 아덴 조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나온 내용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KVndGYHjp7U&t=281s|#]]]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