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온(영화)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번역 문제 === [include(틀:스포일러/문단)] 한국 개봉판의 번역 상태는 상영용 자막뿐만 아니라 포스터, 팜플렛 등 전체적으로 정말 심각하다. ||<width=5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ff2400><tablebgcolor=#ff2400><tablecolor=#ffffd0><nopad> [[파일:attachment/movie_image_9.jpg|width=100%]] ||<nopad> [[파일:더 무비 케이온 포스터.jpg|width=100%]] || ||<-2> 개봉 전 포스터(좌)와 실제 영화관에 배포된 포스터(우). || 개봉 전 공개된 포스터와 개봉 후 영화관에서 배포한 포스터 하단에 출연진이 적혀 있다. [[나카노 아즈사]]의 성우 [[타케타츠 아야나]]의 이름 'AYANA TAKETATSU'가 'AYAN'''O''' TAKETATSU'로 잘못 표기되어 있었으며, 개봉 후 배포한 포스터에서도 이 오타는 수정되지 않았다. 이후 [[2025년]] 재개봉 포스터에도 수정이 되어 있지 않았으나, 개봉하기 전 피드백이 반영되어 수정되었다. [[파일:attachment/IMG_3446.jpg|width=400]] 극장판 공식 팜플렛의 CHARACTERS 부분에 아즈사의 이름을 '아스나'라고 적어 놓은 데다가 경음부를 '케이온 클럽'이라고 소개했다. STORY 부분에는 '경음부'로 제대로 번역을 해놨다. 경음부를 케이온 클럽이라는 영단어로 번역하면서 [[타이나카 리츠|리츠]]도 '부장'이 아니라 '리더'가 되었다. 번역 문제가 아닌 부분을 지적하자면 팜플렛의 캐릭터 설명도 이상하다. [[코토부키 츠무기|츠무기]]는 고지식하다기보다 서글서글하고 융통성 넓은 면모를 많이 보여주며 이야기가 진행된 이후에는 [[히라사와 유이|유이]], 리츠랑 같이 노는 거 좋아하는 장난기 많은 캐릭터이고 오히려 후배인 아즈사가 깐깐하고 고지식한 캐릭터이다.] 상영용 자막은 한층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https://nagato.co/445|#]] * 의미를 다르게 번역하여 잘못 이해하거나 아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유이를 제외한 [[방과 후 티타임]] 멤버가 아즈사를 '아즈사'라고 부르는데도, 유이가 아즈사를 부를 때 쓰는 별명인 '아즈냥'으로 통일하여 표기하였다. * 아즈사가 선배들에게 반말을 한다. * 아즈사가 놓고 간 기타를 보고 유이가 "'''뭇땅'''([[Mustang(Fender)|무스탕]]의 별칭) 놔두고 갔다"고 한 것을 그냥 "'''기타''' 놔두고 갔다"고 번역했으나, 이 뒤에 [[아키야마 미오|미오]]가 "'''무스탕'''이겠지" 하고 정정하는 부분은 그대로 살렸다. * 위와 같은 장면에서 무기가 미오에게 "미오 거('''베이스''')는 (이름이) 엘리자베스지?" 하고 묻는 대사를 "미오 '''기타'''는 엘리자베스지?"로 번역하였다. 팜플렛에는 미오의 악기가 '베이스'로 제대로 적혀있다. * 삽입곡인 '[[ごはんはおかず|밥은 반찬]]'을 '밥은 대단해'로 번역하였다. * 대사 중 일부를 누락시키거나, 대사에 없는 수식어를 추가했다. * 사와코가 "중요한 회의가 있다"며 "출석일수가 모자라지 않은지, 낙제점을 받은 과목은 없는지에 대한 회의를 한다"고 이야기하는 부분에서 낙제점에 대한 이야기를 누락시켰다. * 영어 대사를 영어 발음 그대로 놔두는 경우와 해석을 해주는 경우가 공존한다. * 감독의 이름을 '나오코 야마다'로 이름을 먼저, 성을 나중에 표기하였다. 사실상 대사 몇몇이 문제가 아니라 대부분의 대사에 문제가 있는 수준이다. 몇몇 문제는 이후 [[2025년]] 재개봉 시에도 똑같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자막의 번역 상태는 극장 개봉용 자막이라는 특성상 대사가 너무 길어지지 않게 줄여야 한다는 제약[* 하단에 나오는 가로 자막 기준 20자 이내, 우측 세로 자막은 13자 이내라는 규칙이 있다.]을 감안한다해도 대사의 의미부터가 다른 오역이 곳곳에 포진한 수준이라 일본어를 아는 관람객의 불만이 높았다. 그리고 이렇게 된 이유는 [[영어]] 자막을 [[중역]]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즉, [[일본어]]→[[한국어]]가 아닌 일본어→영어→한국어의 중역이라는 것. 이 사실이 밝혀진 과정을 정리한 [[http://hahpum.tistory.com/57|블로그]]. 드러난 사실에 따르면 이번 작품의 번역을 담당한 번역가는 일본어 번역가가 아닌 [[영어]] [[번역가]]였으며 번역을 위해 받은 스크립트 역시 [[영어]]였다고 한다.[* 수입사가 일본어판보다 저렴한 영어판 판권을 사서 수입 및 배급한 것으로 추측된다. 일례로 국내에 정발된 [[썸머 워즈]] 블루레이 영상은 일본판이 아닌 미국판이었다.] 아울러 팜플렛, 보도자료 제작에는 본편 번역가가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양쪽이 서로 다른 설명이 있는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이 문제는 물론이지만 [[중역]]은 번역가의 실력에 관계없이 높은 번역질을 보여주지 못하는 걸 알면서도 이를 강행한 수입사 탓이다. 하지만 번역 조건을 따지지 않고 닥치는 대로 일해야 하는 번역가들의 위태로운 생계나 영화의 수입 및 유통 과정이 잘 알려지지 않다보니 애꿎은 번역가가 모든 비난을 뒤집어 쓰고 이후 일련의 논란에도 [[https://x.com/janehyejinyoon/status/347196659144458240|번역가가 대신 사과]]하는 등 십자포화를 맞았다. 여담으로 비슷하게 밴드를 주제로 한 만화인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의 영화판에도 동일한 중역 문제가 있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