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연혁 ==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카카오페이지(기업)시절, 문서명1=카카오엔터테인먼트/스토리부문, 앵커1=연혁)] 2021년 3월 8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rogram Provider·PP) 진출을 준비한다.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에 더해 기성 편성 채널로 사업영역 확장에 나서는 것이다. 합병 후 통합(PMI) 작업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050951248000101490|#]] 2021년 3월 25일, [[SK브로드밴드]]와 콘텐츠제휴 계약을 체결하면서 카카오TV 오리지널 콘텐츠를 [[IPTV]]인 [[B tv]]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https://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2103250953003&sec_id=540101&pt=nv|#]] 2021년 5월 7일, 북미 웹툰 서비스인 '[[타파스(플랫폼)|Tapas]]'와 북미 웹소설 서비스 '래디쉬'를 각각 한화 6천억, 5천억 원을 들여 인수했다. [[https://zdnet.co.kr/view/?no=20210511084804|#]] 2021년 5월 27일, 영상 스트리밍 기술 업체 아이앤아이소프트를 인수하였다. 이번 인수는 OTT 플랫폼 개발과 사업 진출을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내년 본격 진출을 목표로 자체 영상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52774851|#]] 2021년 6월 17일, [[카카오(기업)|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지분 인수가 임박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4960813|#]] 2021년 8월 17일, 이전부터 지분을 사들인 바 있는 [[안테나(기업)|안테나]]의 남은 지분 전량을 매입해 자회사로 인수하였다. 이로써 [[유희열]], [[유재석]] 등과 함께하게 되었다. [[http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177169|#]] 2021년 9월 13일, [[롯데카드]]와 함께 자사 콘텐츠 리워드 혜택을 주력으로하는 신용카드(PLCC)를 선보이기로 합의하였다. 예를 들면, 콘텐츠 결제 금액 일정 비율을 포인트로 돌려주어 추후 재결재시 콘텐츠 구매 비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09/882838/|#]] 2021년 10월 25일, 넷마블F&C의 자회사인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에 120억원을 투자하면서 파트너십을 체결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가상 아이돌 그룹을 함께 만들 예정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025074200017?input=1195m|#]] 2021년 12월 16일, 세계 최대 무협(아시아 판타지) 웹소설 플랫폼 '우시아월드'를 45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북미(정확히는 미국)에서 타파스와 래디쉬를 이어 3번째로 인수하는 콘텐츠 플랫폼 기업이다. 향후 타파스, 래디쉬 그리고 우시아월드의 삼각편대로 영미권에서 매출을 3배이상 올릴 계획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216062100017?input=1195m|#]] 2021년 12월 21일, 광고 제작사인 [[돌고래유괴단]]과 [[스튜디오좋]]을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스토리텔링 커머셜 콘텐츠 IP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게 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4529559|#]] 2022년 1월 28일, 인도네시아 기반 웹툰 자회사였던 네오바자르를 흡수합병하면서 청산하였다. 네오바자르의 웹툰서비스 '웹코믹스'를 직접 운영하고 향후에 카카오웹툰으로 통합 운영하기 위한 사전 작업인 듯하다. [[https://www.news1.kr/articles/?4570177|#]] 2022년 1월 28일, [[강은경]] 작가를 중심으로 한 크리에이터 집단인 [[글라인]]과 '[[검은 사제들]]', '[[국가부도의 날]]' 등을 제작했던 [[영화사집]]을 인수하였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74246632202312&mediaCodeNo=258|#]] 2022년 6월 2일, 드라마 제작사 [[하이그라운드]]에 1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유일한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해 [[카카오TV]] 등 자사 플랫폼 또는 기존 인수한 연예기획사 등에 제작 역량을 접목해 시너지를 꾀할 것으로 보인다. [[https://marketinsight.hankyung.com/article/202206020250r|#]] 2022년 6월 15일, [[박재범]]이 설립한 [[MORE VISION]]에 다양한 형태의 파트너십을 위해 투자를 하였고, 지분 약 20%를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6/524859/|#]] 2022년 9월 5일, 지난달 1일 타파스 미디어와 래디쉬 미디어의 전략적 합병을 완료하고, 신규 법인인 [[타파스엔터테인먼트]]를 출범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타파스 미디어와 래디쉬, 그리고 래디쉬 자회사인 무협 장르 IP 플랫폼 우시아월드가 하나로 뭉치게 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905155500005?input=1195m|#]] 2022년 9월 22일, 자회사 그레이고의 경영권을 원아시아파트너스측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이번 거래로 그레이고의 카카오엔터의 지분율은 기존 71.73%에서 30%대까지 줄고, 원아시아가 약 40%대 지분율을 확보해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https://marketinsight.hankyung.com/article/202209228236r|#]] 2022년 10월 4일, [[OTT]] 플랫폼인 [[Wavve]]와 새로운 콘텐츠 공급 계약으로 파트너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Wavve]]에 [[카카오TV]] 전용 프로그램관이 생기며 [[카카오TV]] 인기 오리지널 콘텐츠 26여 편을 공개, 신규 작품들 역시 추후 오픈할 계획이다. 자사 플랫폼인 [[카카오TV 오리지널]]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별도의 LIVE 채널을 개설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701005?sid=105|#]] 2022년 11월 1일, 최근 [[김호중]] 소속사인 [[생각엔터테인먼트]]에 70억원대 투자를 하였고, 지분 10%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투자한 목적은 음악 유통 등 사업적 협력을 위한 일부 지분 투자라고 한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211011503550410|#]] 그러나 2024년 5월 음주운전및 [[운전자 바꿔치기]] 지시로 인해 구설수가 오르고 '''생각엔터 대표가 구속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2024년 6월 초 생각엔터측이 사실상 폐업 수순을 밟고 있기에 카카오엔터는 잘못하면 투자한 70억이 날아갈 상황. 2022년 11월 30일,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피아오 얀리 '''중국 텐센트게임즈''' 부사장을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했다. 피아오 얀리가 [[재중동포]] 3세라는 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한중 가교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텐센트가 국내 ICT 기업에 투자할 때마다 핵심 역할을 한 인물이 이사진으로 합류하면서 카카오엔터 내 텐센트 입김이 세질 것으로 보이고, 카카오엔터 또한 중국 시장 진출에 교두보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85058?sid=105|#]] 2023년 1월 12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인 퍼블릭인베스트먼트(PIF)와 [[싱가포르투자청]](GIC)이 소유한 유한책임회사 피랩인베스트먼트 펀드로부터 각각 약 5770억원씩 1조 154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으며, 기업가치는 11조 3000억원으로 알려졌다. 투자 후 PIF와 피랩인베스트먼트 펀드의 지분율은 각 5.1%로 총 10.2%가 되며, 모기업인 [[카카오(기업)|카카오]]의 지분율은 66.1%로 떨어진다. 투자 유치로 확보한 자금은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1121547084640107310&lcode=00&page=1&svccode=00|#]] 2023년 1월 25일, 최근 드라마 제작사인 [[아크미디어]]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투자 규모는 350억원 규모이며, 이번 투자를 통해 탁월한 제작 역량을 갖춘 [[아크미디어]]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양사의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680515|#]] SM 엔터테인먼트의 현 경영진과의 협업 및 계약으로 시작된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이 2023년 1~3월까지 이어지다가 결국 주식 공개매수 영업일의 마지막날인 2023년 3월 24일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목표했던 40% 정도의 주식 매수에 성공하였다. SM엔터테인먼트의 인수를 확정하게 되면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던 아이돌 매니지먼트 사업을 완성하게 되었다. [[https://m.yna.co.kr/view/AKR20230328094500017|#]] 2025년 모기업 카카오가 카카오엔터의 잇다른 상장 실패 및 성장 정체 등을 이유로 자사 보유주를 주요 주주들에게 매각을 시도, 재무 건정성 확보를 위해 적자 자회사를 매각 및 청산하고 있다.[* IST엔터테인먼트, 쓰리와이코프레이션 매각, 상하이 레디 엔터테인먼트, 와이낫미프로덕션 청산]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