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카츄샤(노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히브리어]]([[이스라엘]]) === ||<-2><tablebordercolor=#0038B8><tablebgcolor=white><tablecolor=black><tablealign=center> [youtube(cjfbm6l1YLQ, width=432, height=240)] || ||<-2><rowbgcolor=#0038B8><rowcolor=white> 히브리어 특유의 발음과 유대 전통 연주방법으로 신비한 느낌을 준다. || || [youtube(0s8R-TrNJMY, width=432, height=240)] || [youtube(xgReGrAiBgs, width=432, height=240)] || ||<rowbgcolor=#0038B8><rowcolor=white> 1, 2절 || 1절만 || {{{+1 קטיושקה}}} 이 노래는 의외로 [[이스라엘]]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아예 민요의 지위에까지 올라 있다. 원곡의 제목 그대로 카츄샤(קטיושקה) 또는 가사 첫 줄을 따서 리블레부 아가스 베감 타푸아흐(לבלבו אגס וגם תפוח: 배꽃과 사과꽃이 필 때)를 제목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가사는 [[벨라루스]] 출신의 유태인 노아 프니엘(Noah Pniel)이 1940년 당시 [[리투아니아]]에 머물러 있을 당시에 [[히브리어]]로 __[[압운]]까지 살려가며__ 번역했다. 이후 그가 신생 이스라엘로 이주하면서 유태인 청년운동가들 사이에 이 노래가 대거 유행하게 되었다. 이스라엘 내부의 각종 커뮤니티의 애창곡으로 자리잡은 경향은 21세기에도 변함이 없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안쓰는 단어들이 많이 나온다. ||<tablebordercolor=#0038B8><tablebgcolor=white><tablecolor=black><rowbgcolor=#0038B8><rowcolor=white><colbgcolor=#0038B8><colcolor=white><table align=center> 절 || 히브리어 || 한국어 해석 || || {{{+1 '''1'''}}} ||לבלבו אגס וגם תפוח ערפילים כיסו את הנהר וקטיושקה אז יצאה לשוח אלי חוף תלול ונהדר||배나무와 사과나무는 꽃을 피웠고, 안개가 강 위를 뒤덮었네. 카츄샤는 그때 거닐러 나갔다네, 가파르고 훌륭한 강기슭으로.|| || {{{+1 '''2'''}}} ||העלמה שרה בלב כמיה את שירה זה הערב מכל על אהוב נפשה המתגעגע איגרותיו לה יקרות מכל||아가씨는 갈망하며 노래 불렀네, 이 노래를, 모든 것보다 감미롭게. 그리운 영혼의 사랑하는 이에 대하여, 무엇보다 귀한 그이의 편지에 대하여.||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