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인기 == [include(틀: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트렌드를 역행하는 [[러브 코미디]] 장르임에도[* 2010년대 초반까진 [[라이트 노벨]]쪽에서 관련된 작품이 쏟아졌지만, 지금은 [[일본식 이세계물]] 등으로 트렌드가 넘어갔다.] 비슷한 시기에 [[5등분의 신부]]와 함께 가장 크게 성공한 러브 코미디 만화다. 2023년도 기준 누계부수 2100만부를 넘어가며 21세기 러브 코미디 작품 중 가장 높은 누계부수를 기록하였다.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아져서 [[만화 갤러리]] 등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이후 언급량이 폭발적으로 늘더니 [[만화 갤러리]]에서 1화를 중계하는 등 큰 인기를 끄는 중. 애니화 당시엔 5등분의 신부의 평이 나쁜 반면, 카구야는 [[원작초월]]을 논할 정도로 애니메이션이 잘 나와서 픽시브 1위도 카구야짤이 차지하는 등 엄청나게 떡상하면서 흥행 기폭제가 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애니 3화의 [[후지와라 치카]] 엔딩씬. Animax Plus 계정으로 올라온 [[https://www.youtube.com/watch?v=xMmbLJcnp0s|영상]]의 조회수는 600만을 넘겼고, 일본에선 '''2000만 조회수'''를 돌파하면서 성우인 [[코하라 코노미]]가 직접 감사멘트를 전했다.] 다만 연재 초반에는 러브 코미디 중에서 독보적인 판매량까진 달성하지 못했다. 21세기 러브 코미디로 한정해도, 오리콘 판매량으론 동시기에 애니화됐던 [[5등분의 신부]]가 거의 2배 격차로 이겼고, 권당 판매량은 [[오타쿠에게 사랑은 어려워]]도 2배로 이기며 1위를 차지했다.[* 동시기 경쟁작 외에도 누계로는 장기 연재로 누계 발행부수 2천만 부를 찍은 [[마법선생 네기마]]와 [[하야테처럼!]]이 있다.] 아무래도 다른 러브 코미디에 비해 접근성과 대중성이 떨어지는게 원인으로 보이는데, 카구야 님은 제목 그대로 카구야란 1명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연애 두뇌전'이란 '''독특한 컨셉'''이라 이게 안 맞으면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분석.[* 5등분의 신부는 1명의 남주인공에게 5명의 개성있는 히로인들이 비슷한 비중으로 해프닝을 만드는 정석적인 러브 코미디라 쉽게 읽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요즘 러브 코미디에는 흔하지 않은 단순한 작화나 복잡한 설정들도 호불호가 갈리는 요소. 그러나 [[치카댄스]]를 위시한 애니메이션 1기의 대히트로 [[후지와라 치카]]를 대표로 한 조연들이 대거 홍보가 되고, 원작 스토리도 문화제 편 이후 연애 두뇌전의 비중이 줄어들고 정석적인 순애물 스토리로 전환되면서 인기가 더욱 올라갔다. 작품 자체는 남성향 러브 코미디물에 가깝지만, 전개 자체는 [[순정만화]]의 레파토리와 상당히 유사하고[* 전반적인 설정이나 전개가 순정만화 [[그 남자! 그 여자!]]랑 유사한 구석이 있다. 남녀 주인공이 전교 1-2등을 다투는 우등생이고, 얼핏보면 유복한 집안에 뛰어난 학생처럼 보이지만 실은 가정사와 관련해 암울한 과거와 성격을 지닌 자([[아리마 소이치로]], [[시노미야 카구야]])와 평범한 집안 출신이지만 부단한 노력으로 정점에 오른 자([[미야자와 유키노]], [[시로가네 미유키]]) 간의 밀당 로맨스, 가문과 관련된 심각 노선의 전개가 그렇다.] 자극적인 서비스신이 적고 매력적인 남성 캐릭터들도 많아서 여성층에게도 인기를 얻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5등분의 신부]]도 여성 독자가 많은 것을 생각하면, 두 작품 모두 트렌드를 역행하는 작품임에도 크게 흥행한 이유중 하나가 성별을 가리지 않고 인기를 끌은 것도 한 몫하는 듯. 캐릭터를 필두로 한 [[모에 토너먼트]]에서는 '''가장 성공한 진영''' 중 하나로 군림했다. 미유키x카구야 커플은 [[BGC]]나 [[국사모]]같은 외국 대형 투표의 우승을 가져갔고, 이시가미-하야사카-치카도 이보단 덜하지만 준수한 성적을 거두는 등 작품의 체급 자체가 높음을 과시하였다.[* 또한 진영이 거대해서인지 높은 레벨에서 팀킬이 자주 일어나는데, 하야사카의 경우 포스트시즌에서 주인인 카구야에게만 3번 만나(20년 국사모 8강, 21년 국사모 16강, 20년 BGC 4강) 모두 졌고, 이시가미도 미유키를 2번 만나(20년 국사모 4강, 21년 BGC 결승) 모두 졌다.] 특히 [[Best Girl Contest|BGC]]에서 역대 최강의 진영으로 군림했는데, 일례로 그 영향력이 절정에 이른 22년 여성부 예선에서는 카구야 없이 '''무려 9명(!)'''이나 지명받았다. 심지어 작품별 출전 인원 제한 때문에 본선 진출자는 치카(1위), 하야사카(6위), 이이노(9위), 케이(12위), 마키(32위)에서 끊겼다. 그 희생자들은 츠바메(46위), 나기사(77위), 오사라기(226위), 모에하(...)(332위). 물론 이 이상의 진출자를 내고 있는 진영은 많았지만, 여기는 '''일상/청춘물의 무덤'''인 BGC라는 점을 상기하자.[* 실제로 이번 대회에서 카구야 이상의 진출자를 낸 작품은 코노스바, 리제로, 페이트, 진격의 거인, 나히아 같은 양덕계의 작품들이다.] 결국 해당 대회에서 [[하야사카 아이]]가 우승하였고, 이듬해 남성부에서 [[이시가미 유우]]까지 '''총 4명이 우승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최소한 BGC에서는 적수가 없는 역체 진영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카구야 캐릭터들이 처음 나온 2020년부터 거의 매년 우승자를 배출했다. 차레로 2020 여성부 카구야, 2021 남성부 미유키, 2022 여성부 하야사카, 2023 남성부 이시가미.] 이렇게 작품 외적 [[인기 투표]]에선 '''[[역내청]], [[타입문]], [[어마금]], [[케이온!]]''' 진영[* 심지어 저들은 카구야 진영보다도 훨씬 큰 팬덤이나 서사를 가지고 있는데, 어떤 진영도 카구야님처럼 [[국사모]]에서 4명의 [[분기탑]] 수상(카구야, 이이노, 하야사카, 케이)을 내놓을 만큼 신캐라인이 강하지 않았다.]에 버금가는 대단한 활약을 선보였다. 그러나, 22시즌 [[울트라 로맨틱]] 버프를 받고도 [[Best Girl Contest/연도별 기록/2019-2023#s-4.4.1|BGC 디스코드 게이트]]에 팬덤이 엮이고, 부실한 완결로 동력이 없어진 카구야 진영에게 이후 영광은 옛 일이 되고 말았다.[* 여기에 비견될 만한 사례는, [[Bilibili Moe]]에서 '''4회 우승'''을 가져가고 18년 조별리그에 '''17명'''을 진출시킨 [[타입문]] 뿐이다. 여기도 똑같이 팬덤이 [[Bilibili Moe#s-4.3.2.0.1|8.17사태]]의 주동자가 되면서 진영 전체가 기울어졌다.] 재미있는 점은 훗날 [[아카사카 아카]]의 후속작 [[【최애의 아이】]] 또한 전작의 바톤을 이어받아 23시즌 중반부터 모토계를 지배하였고, 24년 말 완결을 말아먹은 탓에 모토에서 광속으로 몰락하며 과거 카구야 진영의 모토 행적을 압축한 역사를 되풀이하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