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충수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경과와 합병증 == [[수술]]로 충수를 절제하면 깔끔히 치료되는 질환이지만, 아직까지는 약물치료가 불가능한데다 자가 치유가 되는 질환이 아니므로 방치하면 '''반드시 사망한다'''. 실제로 수술이 개발되기 전까지 충수염의 치사율은 '''100%'''에 육박할 정도였다. 충수가 터져 오염물이 복강 내로 퍼지면 [[복막염]]으로 진행되고, 대장 천공이나 대장 조직 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 원인이 충수염은 아니었지만 [[신해철]]이 장협착 수술+위밴드 제거수술 의료사고로 인한 장천공이 발생해서 [[복막염]]+심낭염으로 숨을 거두었고 [[이재용]] 부회장이 충수염으로 인해 대장조직 일부가 괴사하여 대장을 잘라내야 했다.] 현대에야 신참 외과의사들의 입문 시험이 충수염이지만, 외과 수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엔 충수염을 치료하지 못해서 말 그대로 죽을 만큼 앓다가 사망한 사람들이 매우 많았던 터라 이런저런 역사서 및 소설에서 '급살'이란 병명이 많이 거론되는데, 멀쩡하던 사람이 급살을 맞고 죽었다는 식. 다양한 질환이 급살로 표현됐으나 가장 흔한 것이 충수염이었다. 충수염을 치료하지 않고(못하고) 놔두면 [[복막염]]이 되고, 거기까지 갔다면 지금도 장담 못 하는 상황인데 그 시절이라면 100%라고 해도 상관없을 확률로 사망. 옛 역사서에도 군주가 갑자기 죽어버리면 처리되는 병이긴 한데, 워낙 흔한 질병이다보니 신하가 왕을 살해하였을 때 핑계로 써먹은 병명이기도 하다. 충수염은 의외로 [[페니실린]] 발견 이후인 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만 해도 죽을 병이었는데 유태인, 포로 생존자들의 수기를 읽어보면 급성 충수염(맹장염)으로 시름시름 앓다가 죽은 주변 사람의 이야기가 간혹 나온다. 일단 수술을 하려면 개복을 해야 되고, 당시 전황으로 [[게토|시궁창이었던 의료환경을 생각해 볼 때]] 치료할 수 있는 확률은 바닥이었을 것이다. 물론 의료기술이 발달한 현대에는 제때 수술을 받으면 쉽게 나을 수 있는 질환이다. 입원 기간은 별탈이 없다면 사나흘 정도. 수술 후 많이 걸어야 된다고 의사가 말해준다. 그래도 요즘은 무통제 처방이 많아서 통증은 비교적 문제가 안 된다.[* 다만 아직 아픈데도 무리하게 걸으면 정작 좀 걷지도 못하고 쓰러질 수도 있다. 약빨이 돌 때까지 무리하지 말고 가만히 누워있는 게 상책.] 오히려 사람에 따라서는 수술 후 [[저혈압]] 때문에 더 고생하기도. 수술이 늦어져 충수가 터졌거나 수술 과정에서 염증이 새어나왔다면 수술 이후에도 고열에 시달릴 수 있고, 염증 치료 때문에 입원기간이 보다 길어질 수 있다. 배액관(카테터)를 복강에 삽입해 복강 내의 잔여물을 지속적으로 빼내기도 한다. 수술 후에는 [[방귀]]가 나올 때까지 물 한 모금 마실 수 없어서 환자들이 괴로워하기도 한다. 물론 사람에 따라 방귀가 나오는 시간이 달라서 6시간 만에 나온 사람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때 뀌는 방귀는 되게 독하다...[* 사실 이건 충수염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마취를 하는 모든 수술의 공통점이다. 마취에서 소화기관이 가장 늦게 풀리는데, 소화기관이 마취에서 깨어난 것을 확인하지 않고 음식을 섭취하면 큰일나기 때문이다.] 기다려도 가스가 나오지 않으면 [[좌약]]을 처방받아 강제로 가스를 빼내게 된다. [[무통증]] 환자들에게 무서운 질병이기도 하다. 감각이 없기 때문에 충수염에 걸린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하여 [[복막염]]으로 발전하여 사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충수염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질병이기 때문에 미리 충수를 제거해 놓기도 한다. 응급실+수술+4일+5인실=의료보험 적용 시 약 70만 원 선의 비용이 든다. 2025년 5월 17일 기준 응급실+수술+6일+4인실=의료보험 적용 시 약 150만 원 선의 비용이 들었다. 수술을 받고 병원에 입원한 사람에게, 친구로 추정되는 지인이 '맹장도 없고, 여친도 없고'라는 글이 있는 화환을 보낸 [[http://www.segye.com/newsView/20130427000438|일]]이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기사화]]가 되었다. '''비뇨기과가 없는''' 종합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는데, 합병증[* 일단은 감염성 염증이 강한 내장 조직을 절제하는 "개복" 수술이고, 그쪽 염증도 염증일뿐더러, 해부학적 위치도 묘하게 골 때리는 위치라, 은근히 이곳 저곳에 번져 문제가 커지기도 하는 게 충수염인지라, 다양한 골칫거리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인지, 수술 상의 사고였는지는 몰라도, [[방광]]이 마비(!)된 사례가 있다고 한다. 통증이 너무 심해서 소변을 배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강제적 방법으로 소변을 빼는 조치없이 수술한게 영 좋지 않았던 모양. 소변을 못 보니 당연하게도 퇴원까지 [[카테터|두 번 다시 겪고 싶지 않을]], [[요도]]관을 꽂고 지내야 했는데, 병원 측에서 '''비뇨기에 이상이 생겼다는 생각도 못해서''' 퇴원 후에도 문제는 여전했고, 결국 비뇨기과 전문 종합병원에 입원해 마비된 방광을 치료해야만 했다고. 당연히 치료 기간 내내 [[카테터|유치도뇨관]]을 또 꽂아야 했다. 수술 후 한동안은 [[설사]]를 하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장 기능이 한동안 정지되어 소화능력이 일시적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너무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퇴원 이후 한두 끼 정도는 소화가 잘 되는 음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