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최대 정수 함수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표제어를 최대 정수 함수로 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표제어를 최대 정수 함수로 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수학 교과과정에서 ==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수준으로 등장하는 개념이다. [[수학I]]의 지수와 로그 문제에서 연습문제로 간간이 나오는 것을 시작으로, [[수학Ⅱ]]의 함수의 극한과 연속 파트에서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극한'이 연습문제에서 나오고, 이후에도 '불연속함수' 및 '사잇값 정리'의 예시로 등장한다. 각종 모의고사의 수학 영역에서도 해당 기호에 관한 설명과 함께 간혹 등장한다. 아래와 같은 형태로 등장하며, 저 기호와 설명을 제외하고는 다른 설명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가우스 기호'라는 이름은 정식 명칭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 [math(f(x)=\left[x\right])] (단, [math(\left[x\right])]는 [math(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 사실 조작 자체는 초등학교에서도 [[어림]]으로 배웠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실제로 [math(f(x; m) = 10^{m} \left\lfloor 10^{-m}x \right\rfloor)] 같은 식으로, 십진법에서 [math(m)]번째 자리 버림 등을 생각할 수는 있다. 다만 음수일 경우에는 상술한 예시([math(\left\lfloor-3.5\right\rfloor=-4)]) 처럼 흔히 생각하는 '버림'과는 패턴이 달라진다. 즉, 양수에선 올림이 최소 정수 함수와 같고 버림은 최대 정수 함수와 같지만, 음수에선 반대로 올림은 최대 정수 함수와 같고 버림은 최소 정수 함수와 같다. 부호에 따른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절댓값]]과 [[부호 함수]]를 이용해 [math(f(x; m) = \mathrm{sgn}(x) \, 10^{m} \left\lfloor 10^{-m}|x| \right\rfloor)]로 버림을 정의할 수 있겠다. 고등학교 문과 수학에서 문과 수험생의 머리를 빠개놓는 데에 일가견을 담당하고 있다. 문과 수학은 범위가 제한된 만큼 변별력 확보를 위해 함수에다가 가우스 기호를 씌워놓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데, 함수의 성질과 가우스 기호 성질을 같이 응용해야 해서 문과 수포자들을 울리곤 한다. 한편으로는 고교수학에서의 기호([math([x])])와 대학 수학에서의 기호([math(\lfloor x \rfloor)])가 달라서 대학 수학을 접할 때 혼선을 일으키기 때문에 대학 쪽의 기호이자 표준인 [math(\lfloor x \rfloor)]로 통일하자는 의견이 나오곤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