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최고지도자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아시아]] ===== * [[훈 센]] - 삼데크 악카 모하 세나 파데이 데코 훈 센(សម្តេចអគ្គមហាសេនាបតីតេជោហ៊ុន-សែន, "[[총리]]이자 최고 군 사령관이신 훈 센 [[각하(호칭)|각하]]")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 전 [[투르크메니스탄]]의 [[독재자]]. 스스로 Türkmenbaşy(튀르크멘바시, 모든 투르크멘인의 지도자), 또는 Serdar(지도자)라고 지었다.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카자흐스탄]]의 전직 [[대통령]]([[1990년]]~[[2019년]])으로 [[2010년]]에는 의회의 결정으로 '''민족의 지도자'''(Ұлт Лидері)라는 칭호까지 얻었다. * [[에모말리 라흐몬]] - 현직 [[타지키스탄]]의 독재자로 Пешвои Миллат(페슈보이 밀라트, 민족의 지도자) 칭호를 사용한다. * [[수카르노]] - Pemimpin Besar Revolusi (혁명의 위대한 지도자) 및 Bung Karno (카르노 동지)라는 칭호가 있었다.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Pinuno ng Bansa(국가의 지도자)라는 칭호가 있었다. * [[압둘카림 카심]] - [[이라크]]의 독재자로 알-자임(الزعيم, "지도자")이라고 불렸다. * [[사담 후세인]] - 알 카림 카심과 마찬가지로 알-자임(الزعيم, "지도자")으로 불렸다. * [[폴 포트]] - [[민주 캄푸치아]]의 국가원수는 국가주석 [[키우 삼판]]이었지만 실권은 공산당 총비서인 폴 포트가 잡고 있었다. 하지만 키우 삼판의 실권도 폴 포트 못지 않았다. * [[아프가니스탄]] - 1996년 ~ 2001년 [[무함마드 물라 오마르]]가 집권하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기 시절에는 아프가니스탄 최고지도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오마르는 권좌에서 쫓겨난 이후에도 해당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 2021년 [[탈레반]] 재집권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국가원수는 탈레반 최고지도자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이나, 사실상 대리인이자 제1부총리 겸 탈레반 부지도자인 [[압둘 가니 바라다르]]를 최고지도자로 내세운다. * [[파키스탄]] - [[파키스탄]]의 국가원수는 [[파키스탄 대통령|대통령]]이고 [[파키스탄 총리|총리]]가 정부수반이지만, 실질적인 지도자는 [[육군참모총장]] 아심 무니르이다. 파키스탄 1대 국무총리 [[리아콰트 알리 칸]]은 "민족의 지도자"와 "민족의 순교자" 칭호를 받았다.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는 '''엄연한 전제군주제 국가'''이나,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국왕]]이 너무나도 고령이라서 사실상 왕세자 겸 국무총리인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가 통치하고 있다. 이에 나오는 반대 의견도 2017년 왕족들을 [[구타의 밤]]으로 찍어 누르고 와하브파 성직자들에게 사형 구형 협박을 하며 일소시킴으로써 무소불위의 권력자로 등극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