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청동기 시대의 풍백이 되었다/등장인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환웅부 === * 차우 : 사냥꾼들의 지도자, 운사. 이후 마상창을 선보이며 붉은 고깔이라는 별명도 얻는다. 성격은 괄괄하지만 단순하며, 풍백이 빙의 이전 차우에게 건 시비를 곡궁을 주자 바로 풀려버렸다. 그래도 사회생활은 잘한다.[* 족구 경기중 스승이자 환웅 한호에게 티안나게 져줬다.] 이후 말 길들이는 에피소드에선 불가능하다고 내기했다가 마을 한바퀴를 풍백 태우고 네 발로 돌기도 한다. * 을지 : 풍백의 수제자. 꼼꼼하고 성실하여 풍백의 아이디어를 일선에서 실현해낸다. 이후, 아사달 연방 행정부 산하 장인부의 수장이 되어 아사달의 기술 발전을 이끌고, 3대 통령이 되는 바랑과 겹사돈이 된다.[* 을지의 딸 귀리를 바랑의 아들 재모가 건드려서 혼전임신을 해서 사돈이 됐는데, 그 뒤로 을지의 아들 영실이 바랑의 딸을 임신시켰다고(...) 한다. 이에 바랑은 첫 결혼을 앞두고 을지에게 '''"연노 좀 만들어주게. (사고 친)내 아들 놈 죽여버림세."'''라며 간접적으로 을지에게 사과했으나, 이후 그 반대가 되자 연노를 들고 수신부로 날아가서 영실의 멱살을 잡고 20분 간 실랑이를 했다고.] * 후치 : 우사. 젊은 듀오 환웅과 풍백이 일으키는 개혁을 지지하고, 다른 대모들이나 유력자들을 설득해주며 큰 어르신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다만 무게 잡는 것을 싫어하여 풍백에게 툴툴대기도 하고 대놓고 강석에게 풍백 도우라고 보내기도 한다. 이후 한호가 통령에 오르자 5년 간 환웅부사를 역임하다 2차 선거 즈음에 서거한다. 서거할 때도 장례식에서 울지 말라고 말하고, 풍백한테 보내는 편지에도 우는 사람 있으면 한 대 때리라는 털털한 면모를 그대로 이어갔다. * 강석 : 풍백이 대마를 다 가져가 일이 없어진 바람에 풍백의 실험용 밭을 담당해준다. 그때부터 농경 관련 일을 전담하며 만주 벌판 개발, 풍백의 미래 농경 기술 적용과 개간 지도, 곰마을 운동 등을 맡는 실전파 농경 전문가가 된다. * 한진 : 수석사냥꾼, 조기족구에 푹 빠져 가장 바지를 잘 입고 다닌다. 그 외에도 말 길들이기, 특수병 훈련, 교범 저술[* [[무예도보통지]]에서 영감을 얻은 풍백의 제안을 받아 집필했는데, 완성 후 풍백이 지어준 '''"[[무예도보통지|아사달 무예의 이해]]"'''로 명명한다.] 등 군의 교육훈련에서 능력을 보여준다. * 응웅 박재 : 매 부족의 부족장, 성격 급하고 호쾌한 천생 장군이라 계속 전쟁에 나선다. 호주와의 성격 차이 덕에 서로 경쟁하는 악우 관계이다. 제-연 전쟁에서도 동관 전투, 내민부 방어전에서 활약한 뒤 내민부 족장들과 축하하다 잠들 듯 죽었으며, 풍백이 이를 기리며 우북평의 곶에서 장례를 치르고 '박재곶'이란 호칭이 붙었다. * 연웅 호주 : 원칙주의이되 급할 때조차 원칙에 함몰되진 않는다. 연방 결성 후에는 대법원장으로서 법관직에 종사했으며, 박재의 죽음 이후 그를 기리고 싶은 마음과 호승심이 섞여 화폐제도 준비, 법 정비 등에서도 열성적으로 종사했다. * 돌비 : 돌 씨족의 대모. 풍백을 처음 만났을 때, [[요리치|그의 요리 솜씨를 보고 기겁]]하여 자신이 직접 요리를 하겠다며 부엌칼을 뺏었다. * 개손 : 범족의 하급 씨족인 개 씨족의 포로 출신. 수신부 침공전에서 패해 아사달의 포로가 됐으나 살아남은 부족민들의 정체를 숨기기 위해 늑대 씨족으로 위장, 이름까지 '''들부'''[* '''꿰뚫는다''', '''찌른다'''라는 뜻으로 '''범족에 대한 복수심이 엿보이는 네이밍센스'''라고 풍백이 평했다.]로 바꿔가며 아사달 군에 투신, 자신의 처자식을 비롯한 씨족원들을 노예로 전락시킨 것도 모자라 노인들은 순장까지 해버린 범족을 향해 복수의 칼을 간다. 이후, 범족과의 전쟁에서 맹활약한 끝에 노예로나마 생존해있던 부인을 찾고 본명인 개손으로 돌아가고, 곰고려와의 전쟁 때는 비로 인해 진창이 된 전장을 이용하려는 불비에게 맞서 수레와 기병창을 이용한 간이 방벽을 쌓아 그 자체로 모루를 형성한다. 그 외에도 [[워게임|모형을 이용한 모의 전쟁]]을 진행하여 아사달이 적국들과 싸울 때 준비해야 할 부분들을 점검하는 등 그 시대 기준으로 돋보이는 지략 덕분에 '''여우장군'''으로 이름을 날린다. * 사미: 풍백 피셜 문과형 영재. 아직 고대 귀족공화정(정확힌 유지공화정)에 가까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어릴 때부터 주목받고, 다재다능하여 신시 유학생, 꼬마의원(참관 및 발언 정도), 시험 합격 후 연방 판사까지 거쳤다. 아사달 영재 듀오인 아골과는 친하지만, 비교적 원칙주의적이고 법제화에 관심이 더 크다.[* '비교적'이라 연방 판사 활동 때, 더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꼼수나 법 기반 극형보다도 연은분리법 작업장을 통한 사실상의 극형이 낫다는 점을 인정하는 등 꽉 막힌 성격은 아니다.] * 사울배 : 상인 출신으로 풍백이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기 앞서 파견한 상인들의 우두머리 역할을 시작으로 풍백과 [[제희공|강녹보]]와의 협상에 따라 내나라에 세운 아사달방(과 마작방)의 관리를 맡는다. 제 2차 제-연 전쟁 때는 내나라로 침투한 별동대에 맞서 양날 도끼를 휘둘렀다는 등 무력까지 갖춘 것으로 보인다. 전쟁 이후, 그의 활약에 감명받은 내나라 부족장들에게 대형으로 추대받고 제나라에게서 넘겨받은 내나라에서 이름을 바꾼 내민부의 안정관이 된다. * 영실: 을지와 다래의 아들. 풍백이 [[장영실]]의 이름을 따서 지어줬다. 바랑의 딸을 혼전임신시켜서 연노를 들고 수신부까지 쫓아온 바랑에게 20분간 멱살을 잡힌 끝에 혼인한다. * 귀리: 을지의 딸, 바랑의 아들 재모와 혼전임신으로 결혼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