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짱구는 못말려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표제어를 '짱구는 못말려'로 존치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표제어를 '짱구는 못말려'로 존치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1993년 3월 3일 [[테레비 아사히]]가 봄 프로그램을 맞이하여 봄이다! 일본 제일의 애니메이션 축제라는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테레비 아사히]]에서 방영한 캐릭터들이 출연하면서 자신들이 출연하는 해당 프로그램을 곧바로 시작하기 전에 자신들의 프로그램을 미리 보여주고 곧바로 만화를 보여주기 시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당시 [[도라에몽]], [[노진구]], [[도라미]]가 진행자 역할을 맡았고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세일러문]] 등 여러 캐릭터들이 출연했다. 이 외에도 [[아빠는 요리사]]의 [[일미(아빠는 요리사)|일미]], [[슈퍼 빅쿠리맨]]의 피닉스, 남국소년 파푸와군(南国少年パプワくん)[* 국내에서는 투니버스에서 '파푸아'라는 이름으로 방영했다.]의 파푸와가 출연했으며, 해당 영상 중에서 짱구가 출연한 장면이 있었고 [[노하라 미사에|짱구 엄마]]도 중간에 출연을 한 장면도 있었다. [[https://youtu.be/ncDXjbJUqPs|영상]] * 일본의 사회 현상, 문화, 사는 모습 등을 그대로 반영한 일상물이고 특정 인물들의 특이한 말투를 제외하면 등장인물 대부분이 모두 실제 일본어 회화에서 쓰는 말들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아따맘마]]와 함께 이 짱구는 못말려를 일본어 공부에 가장 적합한 만화 작품으로서 추천을 많이 하는 편이다. * 도라에몽과는 달리[* 도라에몽은 자체 비밀 도구를 통해 스토리가 전개되며, 근원적인 이유는 '원작 회귀'라는 복고주의와 함께, 현실에서 기술의 급속한 발전 때문에 도라에몽의 도구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사태가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시대별로 바뀌는 문화나 트렌드를 잘 따라가는 경향을 보인다. 대표적으로 1990년대에 방영한 에피소드에는 [[삐삐]]를 사용하다가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초반까진 폴더폰을 사용했으며, 2010년대 중반에 짱구 엄마와 아빠가 스마트폰을 사는 에피소드를 기점으로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스마트폰을 들고다니기 시작했다. * 본작의 특이한 점으로, 신노스케가 '엉덩이별 외계인'을 시전하는 장면 등의 몇몇 개그씬에서는 일본 특유의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이 아닌 초당 24프레임의 풀 애니메이션을 사용한다. * 초대 감독인 [[혼고 미츠루]]가 하차한 이유는 [[노하라 히마와리]]를 등장시키는 것에 반발했기 때문'이라고 후임 감독인 하라 케이이치가 발언한 바 있지만, 정작 혼고 본인은 이를 블로그에서 부정하였다. 콘티도 짜고 각본도 짜고 극장판도 만들고 하는 등 너무 일이 많아 힘들어서 하차했다고. 어쨌든 히마와리의 탄생(1996년)을 기점으로 혼고 감독이 하차, 하라 감독이 취임하게 된다. * 같은 [[테레비 아사히]]계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과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경우가 있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에서 특별 출연하기도 했으며, [[가면라이더 덴오]], [[가면라이더 포제]]와 [[신 가면라이더(영화)]][[https://blog.naver.com/ptj0969/223041768892|#]][* 이 셋은 특이하게 '''애니 & 특촬'''의 캘래버인 케이스다.[* 그 전에도 사실 자잘하게 등장하기도 하는데, 국내판 기준 2기에선 벼룩시장에서 장난감을 교환할때 이때 가면라이더 장난감이 들어있었고, 철수가 가진 피규어 중에는 무려 [[가면라이더 아마존즈]]의 피규어도 있었다.] 포제는 특별히 신노스케가 준 "신짱 스위치"로 '''직접 2D로 변한다.''' 스위치를 빼면 다시 실사로 복귀. [[https://blog.naver.com/ptj0969/223514469420|#]]] [[아따맘마]], 그리고 같은 방송사는 아니지만 [[명탐정 코난]] 등과도 콜라보레이션을 한 적이 있다. 정작 방송사의 간판 애니인 [[도라에몽]]과는 '엉덩이 헬리콥터'[* 도라에몽의 간판 도구인 '[[대나무 헬리콥터]]'의 패러디. 1996년에 방영했던 콜라보레이션 영상에서 신노스케가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과 [[노진구]]로 분장해 상황극 놀이를 하다가 꺼내든 도구가 '엉덩이에 끼우는 헬리콥터'였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Cn7K1MHGHz8|(영상)]], 이것이 후지코 프로덕션의 엄청난 분노를 사서 사이가 엄청나게 나빠졌다고 한다. 참고로 범인은 당시 본작의 연출을 담당하고 있었던 [[미즈시마 츠토무]].] 사건으로 사이가 나빠져서 그 이후 한 번도 컬래버레이션이 되지 않았다. 다만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이 리뉴얼된 후 (신도라)에는 공동 이벤트라는 방식으로 콜라보레이션을 하고 있다. 매년 봄에 3시간 영화 스페셜[* 보통 도라에몽 극장판 개봉 시기에 내보내며, 크레용 신짱이 먼저 스페셜 방영을 하다가 도라에몽 극장판이 방영된다. 2015년부터는 매년 4월 크레용 신짱 개봉 시기에도 3시간 영화 스페셜 파트2로 도라에몽 스페셜과 크레용 신짱 극장판을 방영하였다.]을 하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8월에 여름방학 대축제를 했었다.[* 에피소드 내의 물건을 찾아 경품을 받는 이벤트가 있으며, 어린이가 속해있는 기관을 찾아가 오프닝 노래를 부르는 이벤트도 있었다. 이 이벤트에서 노래 부르는 건 후에 오프닝으로 영상을 교체해 내보냈다. 2014년에는 [[도라에몽: 스탠바이미]]의 개봉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2015년에도 이 이벤트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실상 사장된 듯. 2016년에는 8월 5일에 애니메이션 대축제의 일환으로 1시간 스페셜을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케부쿠로에서 하는 50주년 가면라이더 기념전과 30주년 크레용 신짱전을 홍보하려고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기츠]]와 신짱이 방영 에피 엔딩 이후 잠깐 나와서 멘트를 했다. [[프리큐어 시리즈]]는 20년이 넘도록 직접적[* [[프리큐어 Splash Star]]에서 프리큐어 측에선 신노스케와 미사에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와 특별 엔드 카드를, 크레용 신짱에선 키구루미 엔딩 댄스를 방영했다. 하지만 양측이 본편에 직접 등장하는 원더풀 프리큐어!와는 달리 SS는 양측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콜라보가 아니었기에 그 당시에는 간접적인 콜라보로만 끝났다.]인 콜라보가 이뤄지지 않다가, 2024년 방영작인 [[원더풀 프리큐어!]]와의 공통점이 생긴 덕인지 드디어 이뤄지게 됐다.[* 신노스케와 [[이누카이 이로하|이로하]]는 둘 다 애완동물을 기르는 입장이다. 그와는 별개로 [[큐어 윙|남성 프리큐어]]가 [[펼쳐지는 스카이! 프리큐어|작년]]에 나왔기에 암묵적으로 피해왔던 프리큐어 시리즈와의 직접적인 콜라보가 뒤늦게나마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 [[사자에상]]과 [[마루코는 아홉살]]을 연달아 방송하는 [[후지 테레비|경쟁 방송사]]처럼 짱구도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과 편성이 이어져 있다. 당시 도라에몽은 금요일 오후 7시, 짱구는 7시 30분.[* 도라에몽의 두 번째 에피소드와 엔딩 사이에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이 "자, 다음은~?"(じゃ、次は~?)이라고 외치며 짱구의 예고편이 나온다.] 2019년 10월 이후에는 방영 시간대가 옮겨지면서 짱구가 토요일 오후 4시 30분, 도라에몽이 오후 5시에 방영 시작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25년 기준 한국에서는 일부 에피소드를 제외하면 인터넷 매체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 작품 자체가 워낙에 유명하다 보니 드라마나 영화와 컬래버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특히 같은 [[테레비 아사히]] 계에서 방영하는 드라마와 컬래버가 잦은데 2019년도만 따져도 [[하얀거탑]][* 2019년에 개국 60주년으로 만든 5부작 스페셜 버전.]의 [[오카다 준이치]], [[과수연의 여자]]의 사와구치 야스코, [[닥터-X ~외과의 다이몬 미치코~]]의 [[요네쿠라 료코]]가 각각 드라마에서 맡은 역할로 출연했다. * 3대 감독인 무토 유지는 유난히 인터넷상의 까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취임 후 초기 1~2년간은 그야말로 가루가 되도록 까였지만 몇몇 팬들이 "무토 감독을 재평가하라!"라는 주장을 펼치고 그가 감독한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의 호평과 흥행 성공으로 과거에 비하면 까의 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많은편. 정작 애니메이션의 주 시청자인 어린이층에게는 크게 어필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저런 호불호에도 불구하고 짱구 감독을 20년 넘게 담당하며 전임감독들을 아득히 뛰어넘었다. * 수많은 애니메이션 회사가 하청업체로 참여했었으며, 그중에서 대표적으로, [[교토 애니메이션]]과 [[Production I.G]], [[스튜디오 딘]]이 하청에 참여하였다. * [[스페인]]에서는 2000년부터 방영을 시작해 이후 스페인어를 쓰는 다른 나라(남아메리카)에도 수출하였다.[* 물론 유럽 스페인어 더빙판과 중남미 스페인어 더빙판이 따로 제작된다.] 초반에는 에피소드 진도가 늦다가(1996년 등장한 히마와리는 2000년에 한국판에서도 등장했는데 스페인에서는 2003년에야 등장했다.), 이후 한국이 2000년 종영 후 2003년까지 새로운 에피소드가 안 나오는 와중에도 지속적으로 새 에피소드를 편성하다가 한국이 4기를 방영할 때쯤에는 한국과 스페인의 진도가 비슷해졌다. 한국에서 2007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예전 에피소드만 들여와 결국 스페인이 추월, 2002~2005년 방영분은 스페인에서는 2006~2008년에 이미 방영했는데 한국에서는 2010년에 10기로 들여왔다. 이후 15기에 가서야 어느 정도 진도를 맞추게 되었다. 2016년 6월 25일부터는 2013~2014년 방영분을 방영하고 있었으며, 2020년 현재는 2016년 방영분을 방영 중이다.[* 특이하게도 한국에서는 20년도에 20기 21년도에 21기 이런식으로 년도 끼워맞추기 식으로 방영한다. 아마 2025년에는 25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스페인판은 히마와리가 말을 한다. [[https://youtu.be/WGaRMCBzrX8|참고.]] * [[인도네시아]]에서는 크레용 신짱이 아동 포르노라는 이유로 방송시간을 제한하고 일부 장면을 편집하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69&aid=0000124158|#]] * 국내 방영판에서는 짱구의 행동들을 따라 하던 경우가 많아서 한때 말이 많았던 탓인지 투니버스에서 방송 시작 전에 ''''절대 따라 하지 마세요.''''라는 언급을 담은 영상을 먼저 송출한 뒤 방송을 시작한다.[*7기~9기 신영식: 짱구야, 너 만화에서 나오는 거 따라 하고 그러면 안 된다?[br]짱구: 아빠는 참... 아직도 날 어린애로 본다니까? (삑) 투니버스 친구들도 이런 건 안 따라 한다구요.[br]신영식: 응응, 그럼. 당연하지.][*12기~19기 채성아: 투니버스 친구들~ 이제부터~[br]짱구: 고구마 방구! 발사!![br]채성아: 에티켓을 지켜주세요![br]훈이: 괴롭히지 마~!![br]채성아: 친구를 괴롭히지 마세요![br]짱구: 여기가 더 스릴 있는데~? 으아아!![br]채성아: 만화는 만화일 뿐, 따라 하지 마세요![br]짱구: 에이~ 투니버스 친구들도 지킬 건 지킨다고요~[br]두 번째는 12기에서 잠깐 짱구를 맡은 [[정선혜(성우)|정선혜]]의 목소리로 녹음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정선혜 버전으로 영상을 송출하고 있다.] 이는 투니버스판부터 시작됐으며 대원판도 영상과 내레이션만 다를 뿐, 해당 메시지를 담은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하여 송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작중에서도 현실에서 하면 위험한 행동들을 종종 하기 때문에 그때마다 따라하지 말라는 자막이 뜬다.] 기타 애니를 다 찾아봐도 국내 방영시에 이런 영상을 송출하는 건 크레용 신짱이 유일한 케이스였으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에서 나왔다. 하지만 왠지 요즘은 이 영상이 나오지 않는 모양새이다. * 일본 성우 [[후치가미 마이(성우)|후치가미 마이]]가 광팬으로 유명하다. * 오징어는 말릴 수 있지만, 짱구는 못 말린다는 유머와 '[[독일]] 국기를 쉽게 외우는 방법'이란 짤이 있다.[* 당장 짱구 머리 색깔이 검은색, 옷 색깔이 각각 빨강, 노랑인 것이 독일 국기의 색상과 똑같다.] * 한국어 더빙판 중 20기에서는 [[사이코지만 괜찮아]]가 '[[사이비]]지만 괜찮아'로 패러디됐다. 그리고 19기에는 [[방탄소년단]]이 방탄청년단으로 패러디됐다. * [[웃짜가족]]에서 애니메이션에 얽힌 괴담이 소개되었다. * 캐시비가 [[이즐]]로 리브랜딩되고 출시한 이즐카드의 1차 도안들 중 하나로 결정되어 발매되었다. 짱구 이즐은 2가지 디자인이 존재한다. * 2024년 5월 22일부터 8월 28일까지 [[테일즈런너]]와 콜라보를 맺어 테일즈런너에 짱구와 친구들이 콜라보 캐릭터로 출시되었다.[* 5월 22일에 [[노하라 신노스케|짱구]]를 시작으로 6월 19일에 [[보오|맹구]]와 [[사쿠라다 네네|유리]], 7월 17일에 [[카자마 토오루|철수]]와 [[사토 마사오|훈이]]가 출시되었다.] * 신한카드의 일부 체크카드 상품에 짱구와 관련 인물들이 도안으로 선정되었다. * Pick I 체크카드에 흰둥이가, E 체크카드에 짱구가 들어갔다. 이후 I 체크에 맹구가, E 체크에 오수가 들어간 상품이 추가되었다. * Point Plan 체크카드 도안 중 하나로 초코비 공룡 옷을 입고 있는 짱구의 도안이 있다. * SOL 트래블 체크카드 도안 중 하나로 액션가면 옷을 입고 있는 짱구의 도안이 있다. * 국내판 기준 10기를 기점으로 작화가 밝아졌다.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인지 극장판 역시 작화가 밝아졌다. * 원작 만화 [[크레용 신짱]]의 작가인 [[우스이 요시토]]가 [[친한]]이라서, 원어인 일본판에 [[대한민국]]과 관련된 요소가 나오거나 [[한국어]]가 나오는 등이 있다.[* 예시로 [[배용준]]이나, [[장근석]]과 같은 한국 유명 연예인들을 언급한 적이 있다.] * 국내판에선 12기부터 제목이 나오는 장면은 연노란색 바탕에 장난감들이 놓여져 있는 장면으로 지정되어 나온다. * 현재 유튜브를 통해 일부 영상을 볼 수가 있다. 하지만 저 영상들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올린 게 아니기 때문에 저작권이 신고되면 언제든지 삭제될 우려가 있는 상태이다. * 한국에서는 현재 [[투니버스]]에서 방영을 하고 있는데, [[신비아파트 시리즈]], [[명탐정 코난]], [[흔한남매]], [[버섯도리]]와 함께 투니버스가 크게 밀어주고 있다. 매년 한 작품씩 나오고 있다. * 한국에서는 성공한 [[정치적 올바름|PC]]의 사례로 이야기를 하면 항상 짱구는 못말려가 언급된다. 그만큼 짱구는 못말려가 [[오카마]] 등의 소재를 잘 활용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 2021년 4월 1일 만우절 날 뜬금없이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스쿠페스]]와 콜라보를 진행했다. [[https://bbs.ruliweb.com/family/3094/board/181035/read/9510626?search_type=subject&search_key=%ED%81%AC%EB%A0%88%EC%9A%A9|참고.]] 그렇게 만우절 장난처럼 끝나는가 싶었는데... 4월 2일 갑작스럽게 [[러브 라이브! 선샤인!!]]과의 콜라보를 발표해 버렸다. [[https://youtu.be/xfmZRqfdPc0|홍보 영상]] [[https://a-onstore.jp/shop/shinchan-llsunshine/|링크]][* 굿즈는 6월 25일에 발매되었다.] 사실 짱구와 러브 라이브는 우연히 서로 잘 엮이는 편인데, 두 작품 모두 스폰서가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반다이 남코]][* 상술했다시피 짱구는 못말려의 영상물 매체의 발매를 담당하고 있다.]와 [[부시로드]]로 같은데다가, [[물장판]]에서 등장했던 [[오하라 마리]]의 [[러브 라이브! 선샤인!!/등장인물#마리의 어머니|엄마]]의 성우가 바로 짱구 일본판 1대 성우였던 [[야지마 아키코]]였기 때문이다.게다가 [[러브 라이브!/애니메이션|러브 라이브!]] 또는 [[러브 라이브! 슈퍼스타!!/애니메이션|러브 라이브! 슈퍼스타!!]]의 감독인 [[쿄고쿠 타카히코]]가 [[짱구 극장판 28기]]의 감독을 맡았다. * [[로스트 미디어]]가 존재한다. 해당 에피소드는 93화로 [[1994년]] [[4월 18일]]에 방영되었지만 이후 어째선지 DVD에 수록되지 않았고 공식 아카이브 사이트에서도 이 93화만 빠져있다.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첫 방영 기록말고는 93화에 대한 정보가 없어 재방송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 더빙판에서도 93화는 방영되지 않았다. 당시 방영된 에피소드는 '書道で心をめにするゾ(서예로 마음을 비워요)', 'こたつを片づけるゾ(코타츠를 정리해요)', 'ブリブリ映画紹介だゾ([[부리부리 왕국의 보물|부리부리 영화]] 소개예요)' 총 3편으로 이중 첫번째 에피소드는 2020년 한 스페인 팬에 의해 유튜브에 올라와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f9borDDyS7E|보기]] 2024년 11월 18일 한 [[레딧]] 유저가 93화를 [[인터넷 아카이브]]에 업로드하였다.[[https://archive.org/details/shinchan-93|보기]] 유저의 설명에 따르면 [[하와이]]의 일본어 방송국 KIKU TV에서 방영된 영어 자막판으로 부모님이 90년대에 친구에게서 받은 VHS 비디오에서 발견했다고 한다. 어째서 93화만 유실된 건지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대한 설로 세번째 에피소드가 당시 개봉을 앞두고 있던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을 소개하는 내용이라서 DVD에 수록되지 않은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실제로 [[https://ja.wikipedia.org/wiki/%E3%82%AF%E3%83%AC%E3%83%A8%E3%83%B3%E3%81%97%E3%82%93%E3%81%A1%E3%82%83%E3%82%93%E3%81%AE%E3%82%A2%E3%83%8B%E3%83%A1%E3%82%A8%E3%83%94%E3%82%BD%E3%83%BC%E3%83%89%E4%B8%80%E8%A6%A7_(1992%E5%B9%B4_-_2001%E5%B9%B4)|일본어 위키백과]]를 보면 이 편만 각본, 콘티 란에 이름이 없고 연출에 [[미즈시마 츠토무]]의 이름만 있다. 이후 2025년 5월 12일에 93화 첫 번째 에피소드인 '書道で心をめにするゾ(서예로 마음을 비워요)'가 공식 아카이브 사이트 '부리부리 CLUB'에 디지털 리마스터링되어 업로드되었다. * 짱구는 못말려로 짱구는 못말려 나의 주사위 놀이 대작전 이름의 웹게임이 발표되었다. 현재 공식 홈페이지 및 카톡 채널에서 사전예약 중이다 [[https://g123.jp/game/shinchan?lang=ko|공식 홈페이지]] [[http://pf.kakao.com/_MGXrn|공식 카톡 채널]]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