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조선(고종, 군밤의 왕)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학교 === * [[성균관]] 조선의 최고 고등교육기관으로 고시 급제자들이 관직으로 나아가기 전 거쳐가는 곳이다. 프랑스의 [[그랑제콜]]과 비슷한 방향으로 발전할 듯하다. [[노벨상|노씨권학상]]의 심사가 이곳 명륜당에서 이뤄진다. * 엄익관 군제개혁과 함께 1872년 무관 육성을 위해 세워진 사관학교. 중국, 서양의 여러 병서들을 들여와 가르치고 있다. * [[서원]] 면세 혜택을 잃었지만 제수를 내려준 덕분에 오히려 그 수가 늘어나 일종의 사립 [[중등교육기관]]으로 거듭났다. 나라의 풍속이 어떤 재주든 깊게 배우면 그것으로 먹고 사는 것을 그리 천하게만 여기지 않게 바뀌어 현판만 서원이라고 하고서 이런저런 기술을 가르치는 곳이 큼직한 고을이라면 하나씩 있다. 개중에는 농학을 일으켜 고을에 배 곯는 이 없게 하겠다는 곳도 있다. 정축년 북벌을 통해 군졸마다 서원에서 배운 내용이 달라 학력 격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조에서 교육과정을 통일하였다. 그 결과 향시가 서원 졸업시험에 가까워졌다. 한때 예조 담당자의 실수로 유대인이 세운 서원에도 타 서원과 같은 제수를 내렸었는데, 이 일이 [[코셔 푸드|논란이 되자]] 예조 승인 하에 유대인 학교를 따로 세우기로 결정하였다. * [[향교]] 서원과 함께 중등교육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 경일학당(리세 시메옹 프랑수아 베르뇌) 을축양요 때 선종한 베르뇌 주교를 기리기 위하여 조선과 프랑스가 협력해서 세운 학당. 인천에 있다. 청, 일본에서 유학생들이 많이 온다. 예를 들어 [[손문|손덕명]]이 경일학당에서 의학을 배웠다. 가타야마 센 또한 경일학당에서 전봉준과 함께 [[공산주의|공사론]]을 공부했다. 전-마르크스 부부가 경일학당 바로 바깥에 야학 등을 세워 이를 중심으로 이론을 전파해나가고 있다. * 공학원 숙련공을 육성하기 위한 학교. 안동 김문이 인천 제물포에 세운 공학원이 대표적이다. * 대학원(大學院) [[이항로]]와 기정진의 제자들이 차린 화서학원과 노사학원 등 각종 학원들이 [[고등교육기관]]으로 자리를 잡았다. 다른 학원들과 구분하기 위해 앞에 큰 대가 붙었다. 유럽의 학위제도를 본떠 저작(=석사), 박사 과정을 두었다. 하지만 제자들은 [[대학원생/밈|박사과정을 밟으라고 하면 식겁하며 도망치는 듯]]. * 화서학원 장동 김문의 후원을 받은 화서 [[이항로]]의 제자들이 스승의 호를 붙여 세운 [[대학]]. 경기도 양평 양근리에 있다. 조선에서 으뜸가는 대학원으로 정평이 났다. 1902년 [[고당전쟁]]의 본말을 정리한 '동사신편'을 내놓았다. 최익현의 주도로 세계 최초로 종횡학([[국제정치학]]) 학과를 설치했다. 옛 제월대에서 바라보이는 공터에 제월당이라는 큼직한 양옥 강당이 있다. * 노사학원 흥선대원군의 후원을 받은 [[전우(학자)|전우]]와 노사 [[위정척사파|기정진]] 문하의 서생들이 스승의 호를 붙여 세운 대학. 충청도 가야산 자락에 있다. * 한주학원 한주 [[위정척사파|이진상]]의 호를 붙여 세운 대학. 원래 이진상이 자신의 서재 '조운헌도재'에서 이름을 따온 운도학원이었으나 최근화를 보면 이진상 사후 이름을 바꾼 듯하다. 경상도 성주 성산리에 있다. 소백산에 한주학원 소유의 관성대(천문대)가 있다. * 여학 만민공산당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전국 군현 향교 옆에 여학 하나씩은 존재한다. 다만 가르칠 교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향시가 경의 뿐 아니라 여러 과목을 보게 되고, 시범적으로 선안(선다형)을 도입함에 따라 서당과 여학에서 가르치는 내용이 비슷해져 향시 응시자 비율이 크게 늘고 있다. * 안정여숙 북촌 과부와 대갓집 며느리들이 한두 푼씩 모아 세운 여학교. * 자육원 민자영이 루이즈 미셸의 말을 듣고 마포에 세운 고아원 겸 여학교이다. 원 역사에서 [[이화학당]]을 창설한 감리회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이 교사로 일하고 있다. 안양대군의 본처인 창녕부부인 조별단이 이 자육원의 근로장학생이었다. * [[서당]] [[초등교육기관]] 역할을 한다. 문교참판이 짜임새 있게 관리하여 훈장이 주먹구구로 학동들 가르치던 예전과 천양지차지만, 서양 물 먹고 들어온 이들 보기에는 영 올바르지 못한 상황이다. * 야독당 일종의 야학. 만민공산당이 서당에 가기 어려운 집안 아해들을 위하여 경일학당 앞 야학을 본떠 이곳저곳에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