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조선공산당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주요 활동과 몰락 === 1945년 8.15 광복 이후 미군정기 초기 조선공산당은 미군정 당국으로부터 합법적인 정당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온건하게 군정청에 협조했다. 조선공산당은 지금은 사회주의 혁명의 시기가 아니며 선거를 통해 평화적으로 국가를 수립해야 한다는 평화혁명론을 채택했다. >해방 후 조선공산당 중앙이 공식 채택한 8월 테제는 무엇보다 사회주의 세력의 전통적 혁명론을 수정하여 평화혁명론, 곧 평화적인 사회주의 이행전략을 구체화하였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제시기 이래 사회주의 세력의 일반적인 혁명노선은 무장봉기 노선이나 폭력혁명론이었다. 일반적으로 사회주의세력의 전략전술에서 평화혁명론의 가능성은 극히 제한적이거나 부정되어 왔지만, 해방 후에는 조선공산당의 혁명이행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평화혁명론은 기존의 전통적인 무장봉기전략을 철회하고, 평화적인 방식의 국가건설 전망을 도출하는 근거가 되었다. >(중략) >평화혁명론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국가권력 장악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선거주의 이행노선에 가까웠다. 실제로 사회주의 세력은 정부수립의 방식으로 선거를 고려하고 있었다. 곧 인공수립이나 미소공위를 통한 정부수립의 마지막 절차도 총선거였다. >----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94706350bbdc52acffe0bdc3ef48d419&keyword=%EC%A1%B0%EC%84%A0%EA%B3%B5%EC%82%B0%EB%8B%B9|김무용, 해방 후 조선공산당의 노선과 국가건설 운동]], 2005, p55~57 >사회주의혁명의 과업과 성질을 운운하는 것과 같은 극좌적 경향과 싸워야 한다. (중략) 우리가 부르주아민주주의 혁명의 중요 과업(완전 독립과 토지 혁명)을 완전 해결은커녕 이제 시초의 첫걸음을 내디디고 있는 처지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후략) >----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 8월 테제 다음은 [[신탁통치 오보사건]] 이후 존스턴 기자회견 오보사건 당시의 기자와 박헌영의 실제 문답이다. >기자: 조선은 소비에트화하지 않는가? >박헌영: 조선은 그런 단계에 이르지 않았다. 조선은 현재 민주주의 변혁 과정에서 봉건 잔재를 청소하는 과정에 있다. > >기자: 조선에 소비에트국이 건설되면 소련에 편입되는가? >박헌영: 현 계단은 봉건적 잔재를 청소하는 민주주의 변혁 과정에 있으므로 사회주의 조선이 언제 건설될지 모르나 10년 혹은 20년 후에 건설된다 하더라도 조선은 언제나 독립한 나라로 자립한다.[[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eongpansa&logNo=222266576698&referrerCode=0&searchKeyword=%EC%98%A4%EB%B3%B4|출처]] 한편 질문이 상당히 악의적이며 실제로 대답엔 그다지 문제가 없었는데도 질문 내용 자체가 존스턴 기자회견 오보사건의 오보 내용이 된다. 이에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미국인 기자 로버트 콘월이 다음과 같이 존스턴에게 반박했었다. >나는 박헌영이 1월 5일 회견에서 조선인에 의해 조선인을 위해 통치되는 민주주의 조선 이외의 다른 어떠한 것을 원한다고 말하는 것도 듣지 못했다.[[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eongpansa&logNo=222266576698&referrerCode=0&searchKeyword=%EC%98%A4%EB%B3%B4|출처]]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조선공산당은 사실상 불법화된다.[* [[위조화폐]] 항목에서 알 수 있듯이 위조화폐를 이용해 적국의 경제를 교란시키는 것은 2차대전때 나치독일에 의해서 시행된 작전이며, 미군정이 발행한 통화가 100억 원이라면 천분의 1인 1000만 원은 결코 적은 액수가 아니다. 현대의 통화량과 대비하자면 2022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본원통화는 276조원 규모인데 그 천분의 1은 2760억원으로 그 정도 액수의 위폐가 시중에 돌아다닌다면 한국경제는 엉망진창이 된다. 정판사 위조지폐사건이 재판과정에서 부당하게 진행되었다는 것, 미군정이 경제정책에서 실패를 했다는 것과는 별개로 1000만원의 위조지폐발행이 진실이었다면 국가전복수준의 죄가 맞는 것이다.] >조선공산당은 7월 22일 하지에게 장문의 서한을 보내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은 공산당에 대한 가장 악질적인 파괴공작이라고 비판하고, 8개 요구조건을 제시하고, 자위적 수단을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김무용, 해방 후 조선공산당의 노선과 국가건설 운동, p151 조선공산당은 정판사 사건의 공판기일을 너무 이르게 잡음으로써 변론 준비 기간을 주지 않으려는 것에 분노하여 7월 '신전술'이라는 방식을 채택해서 강경 노선으로 전환한다. 초창기 미군정에 온건한 노선을 취했던 조선공산당은 정판사 사건을 전후로 '대중적인 투쟁'을 결의하면서 [[9월 총파업]]으로 미군정에 맞섰다. 정판사 사건 이전까지만해도 조선공산당은 대중들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운동에 있어서 사회주의 계열이 주류였으니까. 하지만, 이 정판사 사건으로 대중들로부터 '공산당'에 대한 이미지가 급격히 매우 나빠지기 시작한다. 경남 하동군의 또 다른 농부는 다음과 같이 편지를 썼다. “나는 인민공화국과 공산당이 조선의 재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해왔다. 하지만 나는 ‘위조지폐 사건’에 대해 듣고서 충격을 받았다. 당신들은 당신들의 행위에 대해서 할복으로 사죄해야 한다.” 그러나 조선공산당 간부들에 대한 체포령은 대중의 통념과 달리 정판사 사건 때문이 아니다. 박헌영의 경우 적대적 선전활동이 맥아더 포고령 위반이라며 체포령을 내렸다. 그런데 당시 이주하도 비슷한 혐의로 체포되어 6개월 형을 받았다. 이렇게 체포해도 몇 개월 못 가둬두면서 탄압하는 인상을 줘 정치적 부담만 되는 체포령을 내린 것은 현대사의 미스터리 중 하나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서중석]]의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가 의문을 제기한다. 9월 총파업 도중 노동자에게 발포하자 대구 시민이 분노해서 [[대구 10.1 사건]]이 일어난다. 조선공산당은 대중적인 정당이 되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1946년 11월 23일,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과 3당 합당을 추진했다. 결과적으로 공산당 대회파(=반박헌영파)는 [[사회노동당]]을 결성하였고 같은 시기에 공산당 간부파(=박헌영파)는 남로당을 결성하였다.[[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180|자세한 정보]] 대회파의 요구는 박헌영 측근 위주로 밀실정치하지 말고 당대회를 열어서 당의 노선을 결정하자는 것이었다. (대회파에 우호적이었던) 고준석에 따르면 대회파는 공산당에서 40% 정도의 지지를 얻었다고 한다. 합당 이후의 조선공산당의 행보는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참고.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