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전승훈장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수훈자 목록 === [[모스크바]] [[붉은 광장]]의 [[크레믈린]] 벽에는 [[http://mondvor.narod.ru/OPobedaDosk.jpg|전승훈장 기념명판]]이 있다. 총 수훈자는 17명이고, 2회 수훈자는 3명이며 총 수여횟수는 '''20회'''이다. 훈장은 총 20개가 수여되었다. 목록은 수여 순서대로 나열한다. ||<-5><:><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CC0000><bgcolor=#CC0000> '''{{{#FFE400 전승훈장 수훈자}}}''' || || 수여일 || 국적 || 이름 || 수훈 사유 || 비고 || || 1944년 4월 10일 || 소련 || [[게오르기 주코프]] || [[우크라이나]] 우안(右岸) 해방 || || || 1944년 4월 10일 || 소련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 || || || 1944년 4월 10일 || 소련 || [[이오시프 스탈린]] ||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 || || || 1945년 3월 30일 || 소련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폴란드]] 해방 || || || 1945년 3월 30일 || 소련 || [[이반 코네프]] || 폴란드 해방 및 [[오데사]] 탈환 || || || 1945년 4월 19일 || 소련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동프로이센]] 해방 및 [[쾨니히스베르크]] 탈환 || 2회 수훈 || || 1945년 4월 26일 || 소련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점령지 해방 || || || 1945년 4월 26일 || 소련 || [[표도르 톨부힌]] ||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점령지 해방 || || || 1945년 5월 31일 || 소련 || [[레오니트 고보로프]] || [[발트해]] 근교와 [[레닌그라드]] 해방 || || || 1945년 5월 31일 || 소련 || '''게오르기 주코프''' || [[베를린]] 점령 || 2회 수훈 || || 1945년 6월 4일 || 소련 || [[세묜 티모셴코]] || 전선의 성공적 조정 및 작전입안 || || || 1945년 6월 4일 || 소련 || [[알렉세이 안토노프]] || 전선의 성공적 조정 및 작전입안 || || || 1945년 6월 4일 || 미국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연합국]]의 일원으로 군사작전의 성공적 지휘 || || || 1945년 6월 5일 || 영국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연합국의 일원으로 군사작전의 성공적 지휘 || || || 1945년 6월 26일 || 소련 || '''이오시프 스탈린''' || '''[[승리의 날|대독승전]]''' || 2회 수훈 || || 1945년 7월 6일 || 루마니아 || [[미하이 1세]] ||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수훈자 중 유일한 왕족 || || 1945년 8월 9일 || 폴란드 ||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 폴란드 동맹군의 일원으로 군사작전의 성공적 지휘 || || || 1945년 9월 8일 || 소련 || [[키릴 메레츠코프]] || [[일본 제국]]과의 전쟁의 공훈 || || || 1945년 9월 8일 || 유고슬라비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연합국의 일원으로 군사작전의 성공적 지휘 || || || --1978년 2월 20일-- || --소련--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개소리|독소전쟁의 조국수호, 기타 국방, 세계평화 등에 공헌]]-- || 1989년 '''박탈''' || [[소련군]] 소속 수훈자들의 계급은 거의 소련 [[원수(계급)|원수]]였고 사후 훈장을 박탈당한 브레즈네프도 원수였다.[* 이 사람은 자뻑이 너무 심해서 [[소비에트 연방 영웅]]은 4번(게오르기 주코프와 함께 최다 수훈자), [[사회주의노력영웅]]은 1번 셀프수여해 총 5중 영웅이 되었으며, 생전에 한 200개(...)쯤 훈장을 받았다. 전승훈장까지 셀프수여하는 만행을 저질렀지만, 이 사람이 사망한 후에 소련 지도부가 보기에도 이건 정말 아니었는지 1989년 박탈된다. 그 외에도 영웅 칭호는 1회 초과 수상을 금지해버렸다.] 아이젠하워와 몽고메리, 티토, 롤라-쥐미에르스키 같은 외국인 수훈자도 모두 원수 계급이었지만, 안토노프는 유일하게 상장이었다.[* [[대원수]]까지 올라갔지만 사실상 군인이기 보다는 [[통수권|군 통수권자]]에 가까웠던 스탈린을 제외한 다른 원수들이 야전 사령관이었던 것과 달리, 이 사람은 [[참모총장]] 업무를 주로 맡았던 바실렙스키와 함께 [[스타프카]]에서 근무한 참모차장이다.] 그리고 [[국왕]]이었던 [[미하이 1세]]는 전쟁 말기에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당시 [[루마니아]]를 지배하고 있던 [[독재자]] [[이온 안토네스쿠]]를 축출하고 [[추축국]] 진영에서 [[연합국]] 진영으로 전환시켜준 데 대한 정치적 선물로 수훈한 사례에 속한다. 전승훈장 수훈자 중 세기가 바뀐 뒤에도 생존해 있던 루마니아 국왕 [[미하이 1세]]가 2017년 12월 5일 타계하면서, 전승훈장 수상자는 모두 고인이 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