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자본론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거시경제학]]의 창시자격인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케인스]]는 당연히 자본론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물론 읽어보지는 않았다. > 그것이 역사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또한 그 책을 시대의 반석처럼 여기며 영감을 얻고 있는 사람들 중에 멍청이가 아닌 사람도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으로는 이런 책이 왜 이 같은 반향을 가져왔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 [[쿠란]]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떻게 이런 책들이 불 같은 기세로 세계의 절반을 휩쓸 수 있었을까요? ~ [[조지 버나드 쇼|선생님]]은 자본론과 쿠란을 둘 다 믿으십니까? 아니면 자본론만 믿으십니까? 하지만 자본론의 사회학적 가치가 어떻든간에, __경제학적 가치가 0__이라는 것은 확신합니다. 제가 읽어본다면 선생께서도 다시 한 번 읽어주시겠습니까?[* 1934년 케인스에게 자본론을 읽어 보라고 권한 [[조지 버나드 쇼]]에게 보낸 답장 중. 조지 버나드 쇼는 사회주의자였다. 그리고 편지내용에서 읽지 않고 비판을 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케인스 본인도 훗날 <고용, 이자,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을 펴낸 뒤에 당대의 주류경제학파들로부터 그가 사회주의자라는 [[색깔론]]에 시달렸다는 점이다. 실제로 그는 당시 영국 [[보수당(영국)|보수당]]과 대립하는 영국 [[자유당(영국)|자유당]][* 직계 후신은 [[2024년 영국 총선]] 직후 기준 영국 제3당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으로서 [[자유주의]]([[새자유주의]])자였다. 2008년 <교수신문>에서 지난 60년간 한국 사회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책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이때 응답자의 약 '''40%'''가 <자본론>을 꼽았다.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5888|관련 기사]] 대개, 자본의 생산과정 제1권 정도가 거듭 출판되는 양상이며 자본의 유통과정 제2권부터는 대중성이 극히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자본의 회전기간 및 리카도에 대한 경제비평까지는 어떻게든 따라간다 해도, 재생산과정 내 표식까지 독자가 온전히 소화하기까지는 상당한 인내심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제2권 내 가치 마멸분과 불변자본의 유동적 자본의 화폐와 생산 및 소비부문에서의 유통을 통한 보충 과정을 소화한다면 고정자본의 유지에 수반되는 자본주의의 필연적 과잉생산, 즉 단순재생산내 고정자본과 유동자본의 불비례로 인한 '''공황'''의 발생을 이해할 수 있고 이는 제3권의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2013년]]에는 [[경희대학교]]에서 교양수업으로 [[마르크스 경제학]] 등을 강의하던 [[임승수]]가 자본론을 가르친다며 [[자본주의]]를 부정하고 [[반미]] 사상을 가졌다는 이유로 학생에 의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신고되는 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380337?sid=102|#]] 자본론 강의를 개설한 대학을 찾기 어려운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경제학과와 정치교육학과의 전공필수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