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인공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예술어(artistic language) ==== '미적인 만족감을 위해 만들어지는 언어'가 기본 정의이다. 일반적으로 공학 언어나 국제 보조어가 그 목적상 불규칙적인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과 달리, 예술어는 되려 '자연스러운 언어'를 만들기 위해 자연어의 복잡성과 불규칙성을 모방하려는 경향이 짙다. 한 인공 언어가 어느 분류에 속하는지 애매한 경우, 특별한 목적 없이 그냥 '멋있어서', '좋으니까', '미학적인 이유' 등으로 불규칙성을 가지면 대체로 예술어로 분류된다. 물론 불규칙성을 가지지 않더라도 미학적인 목적을 띈다면 예술어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설속의 기계 종족이나 감정 표출이 적은 민족이 사용할 법한 무미건조한 느낌의 언어를 만들기 위해 불규칙성을 최대한 배제하여 언어를 창조한다면, 미학적인 목적을 위해 불규칙성을 배제한 것이므로 예술어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어울릴 것이다.[* 하지만 모든 층위의 불규칙성을 철저히 제거하는 언어 구조에 대한 실험이 목적이라면 공학 언어로 분류 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가공의 언어]] 참고.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그론기어]]: [[가면라이더 쿠우가]] * [[페므신므어]]: [[가면라이더 가이무]] * 가운데땅의 언어들 * [[퀘냐]]: [[톨킨]]의 작품 전반에 걸쳐 나오는 언어. [[반지의 제왕]] 시점에선 [[라틴어]]와 비슷한 위치를 차지한다. * [[신다린]]: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인공어. * [[암흑어]]: [[모르도르]]에서 쓰는 언어로, [[사우론]]이 부하들과 정복된 피지배민들이 쓰도록 만들었다. * [[나비어]]: 영화 [[아바타(영화)|아바타]]에 나오는 외계인 [[나비족|나비]]들이 쓰는 언어. * [[미니언(슈퍼배드)#s-2.7|미니언니스]]: 영화 [[미니언즈]] 시리즈에 등장하는 [[미니언(슈퍼배드)|미니언]]들이 사용하는 언어다. * [[바벨어]]: [[대한민국]]의 예능 프로그램인 [[바벨 250]]에서 제작된 인공어. 예능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언어라는 의의가 있다. 특이하게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언어가 아니라, [[피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방해서 촬영 와중에 자연스레 만들어지도록 한 언어다. 출연자들끼리의 합의로 도입된 어휘나, 다양한 국적의 출연자들의 [[제1언어|모국어]]에서 차용한 어휘로 구성되어있다. * [[심리시]]: [[심즈 시리즈]]와 [[심시티 시리즈]]의 인간들인 [[심]]들이 사용. * [[아브어]]: [[성계 시리즈]] 에서 [[아브]]가 사용하는 언어 * [[에녹어]]: 16세기 잉글랜드에서 천사와 소통할 목적으로 에드워드 켈리(Edward Kelley)에 의해 고안된 오컬트 성격의 언어. * [[왕좌의 게임]] 언어 * [[도트락어]] * [[발리리아어]] *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리메이크 시리즈 언어 * [[가밀라스어]]: 대 [[가밀라스]] 제성에서 쓰이는 언어. 모티브는 [[독일어]], [[러시아어]], [[영어]]. 유형은 SVO형 [[고립어(언어유형학)|고립어]]. * [[이스칸다르(우주전함 야마토)|이스칸다르]]어: 신성 가밀라스어라고도 불린다. 가밀라스어와 거의 유사하다. 멕시코어와 브라질어의 차이 정도. * [[백색혜성 제국|가틀란티스]]어: [[백색혜성 제국|가틀란티스 제성]]에서 쓰이는 언어. 모티브는 [[몽골어]]. 유형은 SOV형 [[교착어]]. 가틀란티스어라고 불리지만 가틀란티스라는 종족 자체가 제뮤리아인들이 전투병기로 쓰기 위해 만들어진 인조인간들이라 사실상 제뮤리아어라고 봐도 된다. * [[볼라 연방|볼라]]어: [[볼라 연방]]에서 쓰이는 언어. 작중 등장인물들이 입으로 구사한 적 없는 유일한 언어다. 다만 언어 자체는 군함 내 모니터에 띄워지는 방식으로 등장. 모티브는 [[리투아니아어]]. * [[칼라니어]]: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프로토스]]가 쓰는 언어. * [[클링온어]]: [[스타트렉]]의 [[클링온]]들이 쓰는 언어. * [[킬리키어]]: 영화 [[바후발리: 더 비기닝]]에 나오는 언어 * [[플래닛 코스터|플랭코]] * [[하이랄]]어 * [[고대 이스나미르어]] * 고대어: 원작자 안제이 사프코프스키의 작품 [[위쳐 시리즈]]에 널리 쓰이는 켈트어 기반의 가공어로, 엘프, 드라이야드, 닐프가드 제국에 걸쳐서 쓰이는 언어. * 아르카어 * 마이크로네이션의 언어 * 탈로사어 * 대체역사언어 * 브리터니그 * 베네딕 * 개인 인공어: 개인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인공어를 말한다. * 록시안어: [[아일랜드]]의 [[시인]]인 로마 라이언이 아일랜드의 싱어송라이터인 [[엔야]]의 곡인 'The River Sings'의 가사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든 언어다. 개인 인공어이면서도 예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특이한 사례인데, 현재 록시안어의 구사자는 제작자인 로마 라이언 본인 이외에는 엔야 밖에 없다고 한다. * 벤더굿: 측정 역사상 가장 높은 IQ를 가진 [[윌리엄 제임스 사이디스]]가 '''8살 때''' 지은 언어이다. 하지만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벤더굿은 [[12진법]] 수사를 사용하여 몰래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쓰였으며, 한 관찰자는 '일본어 동사보다 더 복잡하다'고 설명했다. [[https://www.morebooks.de/shop-ui/shop/product/9783639919653]] * 맨티: [[영국]]의 [[시인]]이자 번역가인 [[대니얼 태멋]]이 만든 인공어로, [[공감각|공감각자]]인 자신이 느끼는 감각을 따라서 만들었다고 한다. 공감각자가 만든 인공어라는 점에서 [[언어학|언어학자]]들의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 농담 언어 * 유로판토 * [[Kay(f)bop(t)]] * Oou * --팔름어-- * [[언어 순화 운동]] * [[앵글리시]]: [[영어]]의 어휘들 중에서 비(非) [[게르만어파]] 계열 언어에서 유래한 것들을 전부 게르만계 어휘로 대체한 언어다. * 하이 아이슬란드어: 안 그래도 적은 [[아이슬란드어]]의 외래어들을 전부 [[고대 노르드어]]의 어휘에서 유래한 것으로 교체한 언어다. 이에 음차도 전부 금지되어서, 고유명사조차 몽땅 의역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경우는 옛 이름인 [[조선]]의 뜻인 '[[고요한 아침의 나라]]'를 번역해서 'Árróarland'라고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