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오시프 스탈린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개요문단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개요문단
토론
- 리다이렉트 중 이오씨프 쓰딸린, 조지프 스탈린, 강철의 대원수 동지를 삭제하기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국내 비정발 저작 === * 로이 메드베데프는 여러 저작물. * 에드바르트 라진스키의 스탈린 정신병자설에 관한 저작물. * 대중 역사관을 모아다 만든 것으로 학술적 가치는 없다고 평가 받는다. * 2014년 프린스턴 대학의 스티븐 코트킨 교수가 내놓은 총 3부작으로 예정된 스탈린 평전. * 그러나 출간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 제임스 해리스 교수의 거대한 우랄 산맥, 스탈린의 철도 시리즈 등 * 스탈린 시대의 철도와 중공업에 대해 다뤘다. * 아치 게티의 대숙청과 대기근에 대한 2세대 수정주의적 연구를 담은 저서들. * 현 나무위키의 [[대숙청]] 문서는 아치와 로베르타 매닝이 공저한 저술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 루도 마르텐스의 스탈린 전기(Another View of Stalin) * 스탈린을 변호하는 입장에서 서술된 스탈린 전기로 소련 해체 이후인 1996년에 출간됐다. 저자 루도 마르텐스는 역사학자[* 역사학자로써 프랑스어권의 아프리카와 소련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몇몇 단행본들을 썼다. 참고로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기 전에 최후로 만난 외국인이기도 하다. 김일성 또한 마르텐스가 쓴 스탈린 전기에 대해 매우 좋게 평가했고, 그 책을 읽어보겠다고 했었다.]이자 [[벨기에 노동당]] 당수였다. 따라서 사회주의자가 쓴 <스탈린 전기>라고 봐도 무리는 없다. [[https://stalinsocietypk.files.wordpress.com/2013/05/another-view-of-stalin1.pdf|Another View of Stalin]] 다만 국내 사회운동 단체인 노동사회과학연구소에서 연재글로 책의 전문을 완역하긴 했다. 책은 주로 스탈린의 사회주의 및 혁명적 업적을 방어하고 옹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스탈린의 과오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대기근이나 대숙청 그리고 독소 불가침 조약과 핀란드 침공 등에 대한 서방학계의 주장을 반박하고, 스탈린이 단행한 공업화의 성과와 사회주의 혁명의 성과를 재평가한다. 또한 트로츠키에 대해서도 매우 비판적이며, 티토와 흐루쇼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비판적이다. 나무위키에서 스탈린 전기로 언급된 이오시프 스탈린의 전기 중에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를 내리는 서적이라 볼 수 있다. [[https://www.dbpia.co.kr/author/authorDetail?ancId=1030064|번역본은 디비피아에서 볼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