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오시프 스탈린/평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종교 정책 == * 이 챕터의 내용은 고려대 노어노문과 석영중 교수의 <러시아정교 -역사 신학 문학>을 참조함. [[파일:external/www.tatveteran.ru/777.jpg|width=400]] 정교회 성인들이 그려지는 [[이콘]]에 그려지기도 했다. 이 이콘은 [[독소전쟁]] 당시 모스크바에 거주하던 성녀 마트로나 니코노바(Матрона Дими́триевна Ни́конова, 1881/1885~1952)와 비밀리에 만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마트로나는 [[툴라]] 주의 가난한 농민 집안에서 태어나 선천적으로 눈이 안 보이는 [[시각장애인]]이었으나 소녀 시절부터 예언을 하거나 치유하는 기적을 일으켰다고 전해진다. [[러시아 혁명]] 이후 모스크바로 이사와 동료들이나 친척들이 사는 여러 집을 옮겨다니며 은거하는 생활을 이어갔고 한참 정교회를 열심히 때려잡고 있던 소련 당국의 눈을 피해 지하로 숨은 정교회 신자들은 계속해서 기적을 일으키는 그녀에 의지하며 신앙 생활을 이어갔다. 당국은 마트로나를 잡기 위해 지하교회 신자들을 대대적으로 잡아들여 [[시베리아]]로 추방하거나 [[굴라크]]에 처넣었지만 그들 중 한 명도 마트로나의 위치를 발설하지 않았고 심지어는 공산당원들까지 마트로나를 찾아오는 지경에 이른다. 마트로나는 1999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독소전쟁이 터지고 독일군이 파죽지세로 모스크바를 향해 진격해오는 암울한 전황에 절망한 스탈린은 모스크바를 버리고 동쪽으로 후퇴해야할지 고민하다가 마트로나의 예언이 영험하다는 얘기를 듣고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지 물어보기 위해 비밀리에 그녀를 찾아갔다고 한다. 그러자 마트로나는 스탈린에게 "당신이 모스크바를 사수하는 한 소련은 반드시 승리를 거둘 것이다"는 예언을 남겼다고 한다. 스탈린은 그녀의 말을 따라 모스크바 사수를 선언했고 예언 그대로 소련은 독소전쟁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는 전설이다. 그리고 신앙의 위력을 실감한 스탈린은 이후 정교회에 대한 탄압을 어느 정도 풀어주었다고 한다. 스탈린부터 정교회 신학교 출신이긴 하나,유럽에서 가난한집 수재들은 신학교가 학비가 면제되기에 진학하는 일은 흔했다. 스탈린은 신학교 시절 일치감치 공산주의자로서 훗날 공산주의 이론서적도 여러 권 펴낸다. 앞서 레닌시절 러시아 정교회는 박멸수준으로 탄압을 받았는데 우선 러시아 제국의 국교였던 정교회의 지위가 법적으로 박탈되며 교회의 재산도 몰수되었다. 총대주교 제도를 용인해주긴 했지만 신학교는 폐쇄되어야 했고, 적백내전당시 초법적으로 교회에 대한 약탈과 사제 살해등이 이어졌다. 특히나 1918년 키에프 수좌 대주교를 비롯하여 주교 교구사제 부제 수도자 평신도등 1만 2천명이 집단 살해되고 교회와 수도원은 약탈당했다. 내전이 끝난후 볼셰비키 지도부는 마르크스의 가르침에 충실하였는데, 레닌은 직접적인 교회에 폭력을 선호했고 트로츠키는 교회 내부를 분열시킨다음 장악하는 방법을 썼다. 1922년 신경제정책 이후에 교회에 침투한 볼셰비키 추종자들이 '''교회의 반혁명적 행태'''를 항의하며 소련정부 체제를 찬양하고, 교회를 장악하려 했는데 이를 반대한 총대주교는 체포 구금 당했다가 영국의 개입으로 석방되나 1925년에 사망했고 17년간 총대주교좌는 공석이었다. 물론 교회에 침투한 '진보'들이 교회 탄압과 성직자 처형과 추방을 긍정한것은 아니나 무신론을 표방한 공산주의에서 자유 평등 정의를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교회에서도 이런 가치를 추구하면 공산당에서도 교회를 용인할 것이라는 순진한 발상이었다. 스탈린 시기인 1929년부터 1930년 말까지는 이미 교회는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200~300여 개를 제외한 모든곳이 폐쇄 당했고 4만 명의 사제와, 비슷한 수의 수도자와 수녀, 수백만의 신도들이 추방내지 유배, 처형당했다. 어용화된 기존 교회를 대체하여 상당수의 신자들은 지하교회로 숨어들었다. 무엇보다 '''스탈린은 신학교 출신이라서 정교회의 본질과 러시아 민중의 전통적 신앙심을 잘 알고 있었다. 오히려 그런만큼 그의 교회 탄압은 전례없이 잔인하고 가혹했다.''' 기존의 공산당 종교 정책에서 정치 깡패 노릇을 했던 무신론자 연맹을 1929년 전투적 무신론자 연맹으로 개창하여 인민을 위해 봉사한다는 명목으로 교회를 부수고 이콘을 불태우며 교인들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앞에 있는 스탈린 이콘은 러시아 정교회에서 생존을 위해 굴욕적으로 제작한것으로 진지하게 스탈린을 성인으로 추존한 건 아니다. 공산당에선 실제로 정교회에서 거의 유일한 자체수입인 양초 판매 수익을 끊기 위해 초 불매 운동을 벌이고, 이콘과 성물 십자가 때려부수기를 멈추지 않았으며 종종 교회에 방화를 저질렀다.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받은 전투적 무신론자 협회 운동은 '''"무신론을 통해서 공산주의로, 종교와의 전쟁은 사회주의를 위한 투쟁"''' 같은 호전적인 구호로 미화 되었다.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의 무신론자 동맹은 러시아를 무종교 국가에서 반종교 국가로 만들라는 지령을 받아 모스크바를 무신론의 수도로 만들자는 계획까지 세웠다. 한때 러시아 정교회에서 러시아 제국의 국가적 성원을 받아 만들려는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은 스탈린의 계획에 따라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했고 부지는 '[[소비에트 궁전|소비에트 인민대궁전]]'으로 마개조할 예정이었으나 2차대전 때 모스크바 방어를 위해 철골을 뜯어가자 미완성 상태로 방치된다. 2차 대전은 러시아 정교회에 숨돌릴 틈을 주었다. '''다만 스탈린은 종교 뿐만 아니라 러시아 문화 전반에 걸쳐 완화책을 쓴것이지 특별히 종교정책을 유화적으로 한게 아니다.''' 러시아 정교회가 탄압이 완화된건 애국심을 고취시키려면 그동안 러시아 역사와 밀접한 정교회를 끌어들어야 하는 실용적 목적 때문이었다. 1943년 교회의 지지를 공식 요청했는데 이는 유물론자들이 2차 대전 승리를 위해 믿음의 힘을 믿을리는 없고 그해 12월 [[테헤란]]에서 루즈벨트와 처칠과 만나기로 약정이 되었는데 영국 성공회 주교단이 소련교회를 방문하기로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부랴부랴 스탈린은 러시아 정교회의 숙원이던 17년간 공석이던 총대주교 선출을 승인하고 사제 석방, 교회 신학교 복구도 승인했다. 이과정에서 총대주교는 스탈린에게 감사를 표시했고 정교회는 소련과의 굴욕적인 밀월관계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스탈린이 교회 탄압을 그만둔것은 아니었다. 이전의 무신론자 그룹과 유사한 즈나니에(Znanie) 협회를 창설했는데 이번엔 과학자와 교수집단들을 이용하여 종교를 무지몽매로 몰아가는 전략이었다. 러시아 정교회 수뇌부는 전쟁 직후 그리구 전후 잠시 동안은 외국 귀빈이나 단체가 방문시 스탈린 동무와 함께 접대하는 역할을 맡았다. 1957년 모스크바에서 세계 청소년 축제가 개최되었는데 공산당에 포섭된 정교회의 어용 사제 평신도들에게 환대받은 멕시코 기자단들은 "소비에트 정부와 국민들 덕분에 종교는 이 나라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술회 할 정도였다. 마치 1930년대 서구 좌파에서 소련을 지구상 최초의 남녀 평등 실현, 노동자의 천국으로 묘사한 선전에 낚인 것과 같다. 스탈린 사후 흐루쇼프 시절 다시 정교회는 스탈린 격하운동이 일어나면서 다시 탄압당한다. 반정부 성향 사제는 암살되거나 쥐도새도 모르게 체포되어 사라지고, 수도자들은 정신병자로 취급되어 강제수감 되었으며, 정교회 신자 개인은 직장에서 진급과 급여에서 차별 대우를 받았다. 이 같은 탄압은 브레즈네프 시절까지 계속되었다. 1970년대 중반에도 소련 공산당은 그 동안 여러번 시도했지만 끝내 실패로 끝난,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 박멸 정책의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기존의 반 종교 정책을 전환하진 않았으나 소련 내부에서도 러시아 정교회를 이용하여 슬라브 민족주의와 러시아 역사 문화 부흥이라는 목적으로 교회 탄압의 수위를 낮추려는 시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소설)|동물농장]]에서는 [[큰까마귀]] 모지스에 대한 돼지들의 대접 변화로 패러디되었다. 스탈린과 소련 시대 반(反) 종교, 반(反) 기독교 정책에 대해선 다음도 참조 바람. * [[https://en.wikipedia.org/wiki/USSR_anti-religious_campaign_(1928%E2%80%9341)|소련의 반 종교 정책(1928~1941)]] * [[https://en.wikipedia.org/wiki/Persecution_of_Christians_in_the_Soviet_Union|소련 시대 기독교 박해]] * [[https://en.wikipedia.org/wiki/League_of_Militant_Atheists| 소련 전투적 무신론자 연맹]]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