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
(r2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위상 및 상징성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e2012d, #e2012d)" {{{#!wiki style="margin: -13px -8px -13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1 '''{{{#212529,#dddddd 독립적인 위원회가 2024년 첫 헌액자에 오를 다양한 잠재 후보 명단을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결국, '''모든 길은 하나로 이어졌습니다.'''}}}''' }}} ---- {{{-2 '''[[전설의 전당]]'''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e2012d, #e2012d)" {{{#!wiki style="margin: -13px -8px -13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1 '''{{{#212529,#dddddd [[중국]]의 모 매체는 [[봉준호]], [[방탄소년단|BTS]], [[김연아]], [[손흥민]], 그리고 페이커를 ‘5대 국보‘라고 했고, [[미국]]의 모 스포츠 매체에서는 손흥민, BTS, 봉준호, 그리고 페이커를 ’엘리트 포‘라고 했습니다. '''그는 이미 어떤 종목, 어떤 스포츠라는 장르에 머무르는 그런 선수가 아닙니다. '''}}}''' }}} ---- {{{-2 '''[[전용준]]'''[* 봉준호, BTS, 김연아, 손흥민 모두 세계적인 인지도와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과 비교되는 페이커 역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대한민국]] e스포츠의 최고참인 스타크래프트의 [[임요환]], [[홍진호]] 선수들도 롤모델로 페이커를 뽑았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의 본사인 [[라이엇 게임즈]]에서도 LoL e스포츠에서 페이커가 세운 기록들을 인정해 [[전설의 전당]] 최초 헌액자가 되었고, 월즈 우승을 제외한 최초의 전용 스킨[*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와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출시]을 헌정받기까지 했다. 2020년 2월 18일에는 3년 재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파트 오너 계약을 통해 T1의 지분을 일부 받게 되면서 프로게이머 은퇴 시 회사 임원 자격으로 경영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수 은퇴 이후부터는 T1의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했다. [[https://espn.com/esports/story/_/id/28724101/faker-groundbreaking-new-contract-t1-superstar-part-owner|ESPN 기사]]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41&aid=0003005096|네이버 뉴스]] 그리고 [[https://youtu.be/KbNL9ZyB49c|2020 월즈]] 주제곡인 Take Over 공식 MV에서도 다른 우승자 출신 선수들이 모두 주인공이 꺾고 올라가야 할 대상으로 그려진 반면 페이커는 주인공에게 처음 토큰을 던져주고 주인공이 페이커 해외 팬 별명인 "The Demon King (大魔王)"이란 간판이 달린 장소로 들어서게 한다. 이어 페이커는 게임에서 계속 패배하는 주인공에게 계속 기회를 제공하며 지켜보는 세계관 최강자급 역으로 등장했다. 영상에선 3분 45초 동안 6번이나 등장하고, 아웃트로 또한 페이커가 모바일 기기로 그를 지켜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2018 월즈]] 주제곡인 [[RISE(리그 오브 레전드)|RISE]],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2023 월즈]] 주제곡인 [[GODS]] 모두 전년도 월즈 우승자인 앰비션과 데프트에 대한 헌정곡인데 결승전 상대가 페이커였기 때문에 두 곡의 뮤비 모두 정상에서 페이커를 만나 승리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소환사의 컵|소환사의 컵]]을 쟁취하는 장면으로도 등장한다. 그리고 2021년 Burn It All Down 뮤비에서도, 전 시즌 월즈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Eternal King of The LCK"[* LCK의 영원한 왕]라는 칭호와 함께 초반부에 등장했다. 2022년에는 [[위쯔한#한국 서버 솔로 랭크 고의 트롤 사건|칭티안 페이커 솔로랭크 트롤링 사건]]에서의 발언으로 순식간에 많은 프로게이머 동료들의 동조와 트롤링을 저지른 선수 및 게임단 측의 빠른 피드백이 나오며 그 영향력 또한 엄청나다는 사실을 재각인시켰다. 2025년 5월 2일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 100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https://youtu.be/m6ONxLtti_k|#]] [[https://theqoo.net/square/3719525619|#]]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