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챔피언 풀 === >'''페이커 선수는 뭐든 다 잘해요. [[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공격적인]]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을 잡으면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공격적]]으로,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서포팅]]도 [[갈리오|서포팅]]대로, [[트위스티드 페이트|운영]]은 말할 것도 없죠!''' >----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CloudTemplar) 페이커는 '역대 최고'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 선수답게 챔피언 운용에서도 가히 압도적인 선수이다. 이는 단순 즐겜용으로 선택되었던 챔피언 픽이 아닌, 그간 프로로서 오랜 경력을 쌓으면서 더욱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매우 넓은 챔피언 폭을 가지게 된 것이라는 점에서 놀라운 부분을 가지기도 한다. 즉 과거부터 지금까지 마법사, 암살자, 전사, 서포터, 원거리, 탱커 등 소위 역할군으로 분류되는 챔피언들을 폭넓게 다룬다는 것이다. 거기에 본인의 주류 픽이 아닌 챔피언들을 사용하더라도 그야말로 무시무시한 숙련도를 때에 따라 선보이기도 한다.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3주차#s-2.3|2015 롤챔스 서머 VS KOO Tigers 승자 인터뷰]]에서 페이커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 현존하는 모든 챔피언이 미드로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밝혔고, 실제로 그것을 실현했던 선수였다. 그리고 몇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age(2013-04-06)]주년차 프로게이머로서 수많은 메타와 전략들을 거치며 다양한 챔피언을 선보이고 있는 데다가 종종 예측이 불가능하면서도 중요한 순간 기상천외하면서도 다양하고 폭넒은 조커에 가까운 챔피언 픽을 선보이기도 한다. 2024년 월즈 종료 기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만으로 한정하면 총 '''80개''', LCK 외에 MSI와 월즈 선발전 및 월즈까지 포함할 시 '''81개'''[* 노틸러스, 아우렐리온 솔, 자크는 MSI에서만 사용했고 올라프는 월즈에서만 사용해서 76개에서 4개가 더 추가된다.], [[http://lol.inven.co.kr/dataninfo/proteam/progamer.php?code=135|인벤 대회 전적실]]을 기준으로 한 기용한 총 챔피언 수는 '''87개'''이며 올스타전을 포함한 모든 대회별 경기에서 기용한 챔피언 수가 무려 '''93개'''[* 챔피언 기용 여부 주석의 각주의 경우 ALL은 리메이크 이전 이후 포함, AR은 리메이크 이후에만, BR은 리메이크 이전을 의미한다.[br][br] [[가렌]], [[갈리오]][*ALL 리메이크 이전과 이후 모두 기용 전적 있음], [[갱플랭크]][*AR 리메이크 이후에만 기용 전적이 있음], [[그라가스]], [[니달리]], [[니코(리그 오브 레전드)|니코]], [[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노틸러스]], [[녹턴(리그 오브 레전드)|녹턴]], [[누누와 윌럼프]][*AR], [[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다리우스]], [[다이애나(리그 오브 레전드)|다이애나]],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ALL],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럭스]],[[럼블]], [[레넥톤]], [[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루시안]],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룰루]],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리 신]],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리븐]], [[리산드라]], [[마스터 이]], [[말자하]], [[모데카이저]][*AR],[[바루스]], [[베이가]], [[벡스(리그 오브 레전드)|벡스]], [[벨코즈]], [[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블라디미르]],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 [[뽀삐(리그 오브 레전드)|뽀삐]][*AR], [[사이온]][*AR], [[사일러스]], [[세라핀]], [[세트(리그 오브 레전드)|세트]], [[소라카]][*BR 리메이크 이전에만 기용 전적이 있음], [[스몰더]], [[스웨인]][*AR], '''[[신드라]]''', [[신지드]],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 '''[[아지르]]''', [[아칼리]][*AR], [[아트록스]][*ALL], [[애니(리그 오브 레전드)|애니]], [[애니비아]], [[야스오]], [[에코(리그 오브 레전드)|에코]],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 [[오른]], [[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올라프]], [[요네]], [[우르곳]][*AR], [[이렐리아]][*ALL], [[이즈리얼]], [[자르반 4세]], [[자크(리그 오브 레전드)|자크]], [[잭스(리그 오브 레전드)|잭스]],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 [[제라스]][*AR],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 [[조이(리그 오브 레전드)|조이]], [[직스]], [[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질리언]], [[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카르마]], [[카밀]], [[카사딘]], [[카서스]],[[카시오페아]], [[카이사]], [[카직스]],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카타리나]],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 [[케일(리그 오브 레전드)|케일]][*BR], [[코그모]], [[코르키]], [[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키아나]], [[퀸(리그 오브 레전드)|퀸]], [[크산테]], [[타릭(리그 오브 레전드)|타릭]][*AR], [[탈론(리그 오브 레전드)|탈론]][*ALL], [[탈리야]], [[트리스타나]], [[트린다미어]], '''[[트위스티드 페이트]]''', [[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판테온]][*AR], [[피즈]], [[흐웨이]], [[아우렐리온 솔]][*AR]]이다. 5전 미만의 경기 기록을 보유한 챔피언들을 제외하면 무려 46개의 챔피언을 기용했다.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이 150여개가 넘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는 개인으로나 팀으로나 매우 큰 메리트이다. 오래전 페이커가 막 신인으로 데뷔했을 당시, 프로팀의 에이스를 막는 방법이 밴카드 세장을 모두 투자하는 것이었고 실제로도 효과를 쏠쏠히 보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페이커는 이미 아마추어 시절부터 저격 밴이 불가능한 수준의 매우 넓고 유동적인 챔피언 폭을 자랑했다. 첫 공식전의 해설에서는 '''아마추어 시절부터 저격 밴이 의미가 없다'''고 이야기할 정도. 또한 솔랭에서 그를 상대했던 수많은 플레이어들이 상대편에 고전파가 매칭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또한 소위 가갈갱 밴[* [[가렌]], [[갈리오]], [[갱플랭크]]로 밴 없이 가나다순 가장 윗 챔피언인 셋을 밴한 것. 현재는 클라이언트가 밴을하지 않는 노밴을 시스템적으로 지원하지만 과거에는 그런거 없었으므로 얄짤없이 밴카드를 골라야 했다. 그래서 페이커는 노밴의 방법으로서 그냥 가나다순 정렬 가장 위에있는 셋을 밴했던 것이다. [[갱플랭크/5.14 업데이트 전|갱플랭크]]가 리메이크된 2016년 프리시즌 전까지 저 셋은 상위 티어 비주류 챔피언이기까지 했으니 노밴 의도에 아주 잘 맞았다.]일 정도로 본인은 밴을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 밴을 하지 않으면서 모든 챔피언을 사용하는 미드 라이너이니 당시에는 챔피언 폭을 짐작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이커가 더 선호하는 챔피언은 25년 롤드컵을 5번째 우승한 현재 시점에서는 어느 정도는 알려져 있다. 어떠한 챔피언을 잡아도 [[헬퍼]]를 연상시키는 압도적인 반응 속도에서 나오는 무빙, 논타겟팅 스킬의 정교하면서도 높은 적중률에서 나오는 고도의 게임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통해 아예 상대를 농락하고 본인은 폭딜을 쏟아붓거나 상대의 노림수를 회피하는 등의 본인의 압도적인 피지컬을 100% 살려 적에게 어그로를 끌거나 실피로 살아가면서 성과를 내는 스타일에 특화되어 있으며, 따라서 챔피언에게 순간적인 이동속도나 적이 반응할 수 없는 수준의 CC기나 DPS를 가지고 있다면 미드로 활용해보는 편이고, 혹은 혼자서 다수를 상대로 넓은 공간을 마크할 수 있는 존 컨트롤 메이지 챔피언을 선호한다. 따라서 페이커가 선호하는 대표적인 챔피언들로는 시대별로 다양한 '''AP 암살자'''[*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을 필두로 한 [[카사딘]], [[피즈]],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 같은 챔피언], 아마추어 고전파 시절부터 이미 명성이 자자했던 정통 '''AP 메이지'''[* 월즈 두 번째와 세 번째, 네 번째 스킨인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 [[신드라]],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 최근에는 [[조이(리그 오브 레전드)|조이]] 같이 때에 따라 순식간에 많은 데미지를 우겨넣을 수 있는 챔피언 내지는 메이킹에 특화된 [[아지르]], [[리산드라]]정도.]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AD 암살자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 자신의 첫 번째 월즈 스킨인 주력 AD 암살자]를 비롯한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룰루]] 같은 서포터, [[이즈리얼]]을 비롯한 원거리 딜러, 안티 캐리, 브루저, 탱커 등등 게임 내 존재하는 분류에 따라서 세밀하게 나뉘는 다양한 역할군별 챔피언들을 폭넓게 다룬다.[* 2023년 이스포츠매니저 카드 출시 인터뷰에서 페이커는 제드,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 3개의 챔피언을 자신을 상징하는 챔피언으로 꼽았다.] 그리고 이처럼 다양한 챔피언을 사용해 승리하는 모습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 2013 LCK 스프링 [[삼성 갤럭시 블루|MVP Blue]]와의 그룹 스테이지 경기에서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을 픽해 상대에게 20분 서렌을 받아내도록 만들고 승리하여 직후부터 인기가 급상승했고. [[http://www.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1cj4rg/faker_on_leblanc_skt_t1_2_vs_mvp_blue_ogn_spring/|활약 영상 및 하이라이트]]는 [[레딧]]에도 올라와 답글이 무려 500개 이상 달렸다. 그런데 본인은 인터뷰에서 르블랑은 시즌 3 배치고사 이후 쓰지 않은 챔피언이었다고 밝혔다. 그냥 경기 하루 전날 '르블랑 해야지' 정도로 마음만 먹고서 플레이한 거라고 언급했다. * 시즌3 월즈 [[Lemondogs/리그 오브 레전드|Lemondogs]], [[TSM/리그 오브 레전드|TSM]]과의 그룹 스테이지 경기에선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리븐]]으로 당시 초 OP 챔피언이었던 제드를 솔로킬내고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당시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1~2위를 차지했을 정도였고, 해당 경기 이후부터 한국 서버 솔로 랭크에서는 미드 리븐이 줄곧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Lemondogs와의 월즈 그룹 스테이지 A조 2경기 승리 직후 인터뷰에서는 "리븐은 한국에서는 거의 안 해봤다"라며 '''"(월즈를 대비한 전지 훈련을 위해) 미국에 온 뒤 솔로 랭크에서 써보니 재미도 있고, 여러모로 좋은 챔피언이기에 대회에서 골랐다"'''라고 밝혔다.[[https://www.wikitree.co.kr/articles/138758|#]]] 그리고 이후 2013-2014 LCK 윈터 결승[* 당시까지만 해도 줄곧 기본 스킨만을 사용하던 페이커가 전투 토끼 리븐을 사용하는 단순 해프닝이 발생한 경기였다. [[이상혁#s-9.1|관련 내용]]][* [[그라가스]]를 상대로 극초반 솔킬을 만들어내고 이후 팀의 전승 우승을 만들어냈다.], 2015 LCK 서머 결승[* 3경기 2차 타워 앞에서 [[김상문|나그네]]의 [[카시오페아]]의 석화의 응시를 반응 속도로 피하는 엄청난 슈퍼 플레이를 선보였다. 이후 인터뷰도 참으로 충격적이었는데, '''원래는 완전 뒤돌려고 했는데 실수로 반밖에 못 돌았다'''고...] 역시 때에 따라 리븐을 픽해 엄청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2015 서머에서 등장했던 [[마스터 이]], 해당 연도 월즈에서 등장했던 [[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올라프]] 역시 이와 의미가 일맥상통하다.] 그리고 밴 카드로 챔피언 폭을 제한시킬 수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특성상 상대의 밴 카드를 하나 이상은 거의 먹어주는 페이커는 팀의 밴픽 싸움에 크나큰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2017 시즌까진 팀별로 각 3장의 밴 카드가 주어졌는데, 2016 월즈 당시 [[신드라]]와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 당시 메타 기준으로 OP 미드챔.]를 풀어줬다가 하이퍼 캐리를 여러 번 당해서 꾸준히 밴하도록 만들고,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포스트시즌#s-4|2017 서머 플레이오프]]에서는 kt가 카시오페아, 루시안을 4세트 내내 밴하도록 만들었다. 특이사항으로 정규시즌에서는 적당한 메타 챔피언 서너 개 위주로만 플레이하다 플레이오프나 국제 대회처럼 다전제 시즌이 되면 준비해둔 다양한 픽을 꺼낸다. 특히 페이커는 특정 챔피언을 밴될 때까지 플레이하는 기조를 고수하고 있어서 팀적 합의나 전략이 아닌 이상 시즌별, 토너먼트별로 메타 챔피언 몇 개의 리스트 안에서 플레이하다가 상대 팀들이 밴 카드를 소모하는 순간 다른 픽으로 확 틀어서 흐름을 뒤바꾸는 모습을 매우 빈번하게 보여준다. 이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결승|2023 월즈 결승]]에서 아주 극단적으로 나타났는데, 토너먼트 내내 메타 픽인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 [[아지르]], [[사일러스]] 셋만 플레이하다 결승에서 저격 밴으로 셋이 모두 닫히자 갑작스럽게 한 번도 플레이하지 않은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 [[아칼리]]를 꺼내 우승한 것이 대표적이다. 밴픽적으로 본인이 무난한 픽을 하는 대신 아군에게 변수 픽을 꺼낼 기회를 주는 위크 사이드를 맡는 셈이다. 이 때문에 월즈에서 페이커의 챔피언 풀은 평소 페이커의 명성과는 약간 다르게 챔피언 3~4개 정도로 고정되는 편이다. 이것은 페이커가 챔피언의 높은 숙련도와 라인전 이해도를 바탕으로 어떤 챔피언을 상대해도 무리없이 자신이 하려는 플레이를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애초부터 미드라인은 대격변 수준의 패치가 아닌 이상 메타마다 OP, 또는 1티어라고 불릴 만한 챔피언들이 2~3개로 고정되고 이 모든 것이 밴이 될 경우 선수들이 각자 선호하는 챔피언들을 꺼내는 경향이 잦다. 페이커는 항상 진행중인 시즌의 주류 챔피언을 잘 사용하는데, 미드 메타에 따른 좁은 챔피언 풀과 상술된 페이커의 성향 때문에 '페이커의 챔피언 풀 자체가 좁다' 는 말도 안되는 비난을 듣기도 한다.] 또한 페이커의 챔피언 풀에 있어서 또 다른 장점은 설령 자기 손에 맞지 않고 잘 선호하지 않는 스타일이더라도 그것이 메타픽이고 필요하다면 결국 깎아온다는 점이다. 팀과 맞지 않는 메타가 상당히 오래 지속된 2024 서머에서도 갈수록 적응되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24 월즈에 들어선 시점에서는 이를 칼픽하여 활약하는 수준까지 숙련되었다. [* 단순히 프로로서 당연히 해야하는 일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그건 이론적인 이상론이며 현실은 그러한 메타적응력을 폭넓게 갖춘 선수를 찾기 매우 드물다. 메타적응력과 챔프폭은 팀의 밴픽과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러한 능력을 10년이 넘는 세월동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왜 최고의 선수로 꼽히는지 알 수 있는 면모이기도 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