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브온라인/장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미사일(Missile) === 다른 무기들과 가장 다른 특징을 갖고있다. 데미지 적용 방식, 명중률 등이 독특하게 계산되어 사거리가 다소 가변적이다.[* 상대방과의 거리가 빠르게 줄고 있다면 보다 먼 거리에서 먼저 발사해도 명중할 수 있지만 아무리 가까워도 상대방이 빠른 속도로 거리 벌리면 연료 부족으로 미사일이 중간에 소멸해 버린다.(이브에서는 우주가 [[유체]]로 가득 차 있는 것으로 보고 우주 공간의 운동을 연산하기 때문.)] 미사일 폭발반경과 적함의 시그너쳐, 미사일 폭발속도와 적함의 이동속도등에 의해 정해진 데미지 이하로 감소된다. 쉽게 말해 폭발반경이 큰데 적함 시그너쳐가 작다면 데미지가 깎이고, 폭발 속도가 느린데 적함이 그보다 빠르게 움직인다면 데미지가 또 깎인다. 하지만 반대로 폭발반경이 시그너쳐보다 작고 폭발속도가 이동속도보다 빠르다고 해도 데미지가 다 들어갈 뿐 크리티컬처럼 더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터렛에 비해 '''Base_Damage * MIN(MIN(sig/Er,1),(Ev/Er * sig/vel)^(log(drf)/log(5.5)))'''라는 간단한 공식으로 데미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사용하기 쉽다. 참고로 [[http://i.imgur.com/E2FQDNS.png|터렛의 명중률 공식]]. 물론 이렇게 데미지 다 계산해서 쏘는사람은 아무도 없다. 또한 미사일이 다가가는 시간이 느리기에, 대규모 함대전에서는 최우선 목표물 보다는 2차 목표물을 목표로 발사해야 명중한다는 단점도 있다.(최우선 목표들은 전투 시작후 십몇초만에 녹아버리는 경우가 많은 관계로, 미사일이 날아가는 와중에 터진다!) 이점은 미션을 할때 실질 DPS 감소라는 부작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미사일은 자체 체력을 가지고 있어서 디펜더 미사일 등으로 요격당할 수 있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스마트 밤이라는 광역 근거리 폭발 무기를 이용하여 적의 미사일들을 녹여버리는 엽기 전략도 펼쳐진 적이 있었다.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이 존재한다. 크기는 여타 터렛처럼 스몰/미디엄/라지/엑스라지 급이, 용도로는 장거리와 근접으로 나뉘어 총 8 종류의 미사일이 존재한다. 터렛과 달리 모두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 처음 접하면 헷갈릴 수 있다. 장거리와 단거리가 같은 탄창을 쓰는 터렛들과 달리 미사일은 모두 각자만이 쓸수있는 미사일이 있고 그 외로 미사일을 막아내는 디펜더 미사일, 조준할 필요없이 그냥 발사하면 미사일이 알아서 주변의 목표를 찾아가는 오토 타게팅 미사일[* 구 FoF(Friendly or Foe) 미사일]이 라이트, 헤비, 크루즈 3개 종류에 속성마다 존재한다. 하지만 디펜더 미사일은 공격을 위한 슬롯을 방어를 위해 사용해야 하고 그 방어 성능도 구리며, 오토 타게팅 미사일은 보통 미사일보다 더 DPS가 낮고 무조건 가장 가까운 적에게 날아가기 때문에 화력 집중이 되지 않아서 유저들은 거의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다. 결정적으로 적함 뿐만 아니라 미션지에 널려있는 온갖 쓰레기까지 공격하기 때문. 예전에는 아군도 구분못하고 심지어 미션지에서 중립건물인 사다리(엑셀레이터게이트)까지 공격하여 '''콩형[* Concord. 일종의 우주경찰 개념으로, High Security 지역에서의 무력충돌을 발견하면 즉시 달려와서 가해자 측을 [[개발살]]내는 단체. [[EVE 온라인/등장 세력 및 단체]] 참고.]님을 소환'''하는 대참사까지도 일으켰었다. *장점: *1. 수치상 한 방 데미지가 높고, 사거리에 따른 데미지 감소가 없다. *2. 타겟이 미사일보다 빠르지 않고, 사거리를 벗어나지만 않으면 명중률은 100%다. 터렛같은 경우는 대구경으로 빙빙 도는 작은 함선을 쏘면 맞질 않는데 미사일은 일단 맞기는 한다. *3. 전자전에서 트래킹을 느리게 하는 트래킹 디스럽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 점은 산샤와의 전투에서 좋은 장점이다. *4. 캡을 먹지 않는다. *5. 4가지 데미지 속성탄이 완전히 딱 구분되어 있어서 랫에 따라 골라 쓰기 좋다. 데미지 속성 구분이 불완전한 프로젝타일과는 달리 100% 그 속성으로만 데미지가 집중된 미사일을 쓴다. *단점: *1. 미사일이 날아가는 시간 때문에 목표물에 데미지가 늦게 가해지고, 미사일이 날아가는 도중 목표가 터져버리면 허공으로 사라져버린다.[* 오디세이 패치에서 버프가 됐으나 여전히 거리가 멀면 미사일이 날아가다 랫이 먼저죽는다.] *2. 발당 탄환 값이 제일로 비싸고 부피도 크다.[* 팩션 탄이나 T2탄을 쓰기 시작하면 더욱 심해진다. 다만 이런탄을 쓸때쯤이면 플레이도 어느 정도 익숙해 지고, 수익이 크기 때문에 부담할만 해지는 것일 뿐. 미션한번 끝내고나면 거의 프리깃한대 풀 피팅값이 미사일값으로 나간다.] *3. 런쳐가 장전하는 탄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렇다고 재장전 시간이 짧은 것도 아니여서 미션 도중의 DPS 손실이 크다. *4. 데미지가 폭발반경과 폭발속도 계산으로 정해진 만큼 딱 들어가거나 감소당할 뿐, 터렛류처럼 크리티컬로 더 많이 들어가는 경우가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