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후 === [[파일:CIT Iran.png|width=700]] {{{#!folding [ 이란의 지역별 기후 그래프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272931><width=25%><nopad>[[파일:Cfa RashtKOR.png|width=100%]]||<width=25%><nopad>[[파일:BSk TehranKOR.png|width=100%]]||<width=25%><nopad>[[파일:BWk IsfahanKOR.png|width=100%]]||<width=25%><nopad>[[파일:BWh ZahedanKOR.png|width=100%]] || ||<rowbgcolor=#272931><rowcolor=#fff> 이란 [[라슈트|{{{#fff 라슈트}}}]]의 기후 그래프 || 이란 [[테헤란|{{{#fff 테헤란}}}]]의 기후 그래프 || 이란 [[이스파한|{{{#fff 이스파한}}}]]의 기후 그래프 || 이란 [[자헤단|{{{#fff 자헤단}}}]]의 기후 그래프 ||}}} 국토의 대부분이 건조 기후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막|사막 기후]](BWh)와 [[스텝(지리)|한랭 반건조 기후]](BSk)가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카스피해]]와 접하는 일부 도시들만 [[지중해성 기후]](Csa)와 [[온난 습윤 기후]](Cfa)로 분류된다. 넓은 나라인만큼 기후가 다양하여 엄청나게 더운 [[사막]]성 기후를 띠는 지역도 있는가 하면, 지중해 지역처럼 온난하고 쾌적한 기후를 띠는 곳도 있고,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날씨를 가진 곳도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여름에 섭씨 50도가 넘어가 더운 사막국가라는 인식이 있지만, 추운 곳은 한국의 [[강원도]]만큼 추워지며 최저 기온은 섭씨 -36.0도를 기록한 적도 있다. 또한 사계절이 뚜렷하고[[https://m.youtube.com/watch?v=oPh3nFMuKqY|#]] 숲이 우거진 지역도 꽤 있다.[* [[배틀필드 3]]의 카스피해 접경지대 맵이 이란/투르크메니스탄 국경 주변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비행기 타고 높이 올라가 보면 알겠지만 이란 쪽으로도 지평선 끝까지 초록색이 펼쳐져 있다.] 북쪽 알브로즈 지역으로 갈수록 고산 지대가 많고 추워지는데,[* 때문에 이란의 [[스키장]]들은 모두 이란 북부 알브로즈 산맥 지역에 몰려 있다.] 그곳에 위치한 이란의 최고봉 다마반드 산은 겨울엔 온통 눈으로 뒤덮여 그야말로 [[히말라야]]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다. 이란 북부 지역은 [[대한민국]]과 거의 같은 위도에 있고, 이란 최북단은 [[북한]]의 중남부 지역인 [[평안남도]]와 비슷한 위도이다. 이란 서북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만 하더라도 대한민국 중부지방과 비슷한 위도이고 우르미아와 [[타브리즈]]는 [[서울]]과 위도가 같다. 그리고 이란 최북단은 [[평양]]보다도 북쪽에 있다. 당장 수도인 [[테헤란]]만 해도 일본의 [[도쿄]], [[전라북도]] [[전주시]],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과 거의 같은 위도에 속한다. 다만 남쪽은 대한민국보다 분명히 남쪽에 있으며 최남단이 위도상으로 대략 [[대만]]이나 [[방글라데시]] 북쪽과 비슷한 저위도이다. 이란의 남동부에 위치한 [[루트 사막]]은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최고 기온이 자그마치 '''섭씨 70.6도'''라는 엄청난 맹더위로 위용을 떨쳤다. 이 사막에서 방치된 금속 물질을 맨손으로 잡았다가는 화상을 입고, 걷다보면 신발의 밑창이 녹아서 떨어져나갈 정도로 뜨겁다. [[우유]]를 놔둬도 [[박테리아]]들이 자동으로 멸균되어 상하지 않을 정도이다.[* 다름이 아니라, [[롯데푸드 파스퇴르#저온 살균|파스퇴르우유 저온살균]] 온도가 '''63도'''다. 여기 기온은 그것보다 더 높은 셈이다.] 이렇게 더운 이유는 분지 지형인데다가 페르시아 만으로부터 계속 더운 바람이 유입되고 지천에 태양빛을 흡수하는 어두운 현무암질의 자갈들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살 수 없을 정도로 그야말로 '살인적'으로 덥기 때문에 아무도 살지 않으나, 몇몇 생물들은 이런 곳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기후 분포가 여러 가지 섞여 있다 보니 대부분 도시들이 점이지대에 놓여 있다. 수도인 [[테헤란]]의 경우, [[스텝(지리)|한랭 반건조 기후]](BSk)와 [[지중해성 기후]](Csa)의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도시인 [[마슈하드]]도 [[사막|한랭 사막 기후]](BWk)와 [[스텝(지리)|한랭 반건조 기후]](BSk)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고지 지중해성 기후]](Dsa, Dsb, Dsc) 지역도 있으나, 이는 단순히 해발 고도가 높아 최한월이 영하로 떨어지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