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나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유래 ==== 이름이 이나리(イナリ)인 이유를 가장 대표적인 이나리 신사인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길, 야마시로국 풍토기(山城国風土記) 기록 일부에서는 '[[벼]]가 다 되었다(稲が生った, 이네가 낫타)'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는데 농경신답게 [[벼]][[농사]]와 관련된 추측이 눈에 띈다. [[우카노미타마]]와 이나리를 동일시하기도 하지만 15세기 [[무로마치 시대]] 이전에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다. 아마 이나리와 우카노미타마 둘 다 농경신이라 세월이 흐르며 신앙이 합쳐졌으리라고 추측한다. 일본에서 [[불교]]가 전래한 뒤 불교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신토]]가 불교와 합쳐져 1000년 넘게 신불습합(神仏習合) 시기였을 때는 다기니천(茶枳尼天)[* 티베트 불교 등에서 말하는, 하늘을 날아다니며 밀교 수행자를 돕는 여자 호법신들. 다기니천 신앙이 티베트 불교에서는 매우 활발하고 일본 불교에도 일부 있다.] 과 이나리를 동일시하기도 했다. 다기니천과 우카노미타마가 습합된 것으로 보는 논문도 있다. 원래 기존 [[일본 신화]]에서 이나리란 신격 자체는 나타나지 않았다. [[후시미이나리타이샤|이나리 신사]]의 기원은 지금의 [[교토]] 지역으로 이주해 온 [[하타]]씨족이 711년 자신들의 씨족신(조상신, 수호신)을 모시며 제사를 지내던 것에서 비롯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하타씨족이 [[백제]]계[* [[일본서기]] 출처] 또는 [[신라]]계[*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교토시]] 공식 홈페이지 출처] [[도래인]]이라는 점과, 이들이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해 올 때 농경기술을 포함한 각종 문물 전반을 전수해 주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나리 또한 신사를 세우기 이전부터 있었던 한반도계 도래신이거나 또는 이나리와 비슷한 신이 한반도에서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알고 보면 [[한국]]도 여러모로 [[여우]]와 인연이 참 많은데, 자세한 건 [[구미호]] 문서를 같이 참고하길 추천한다. [[단군 신화]]의 마이너한 버전으로 여우가 등장하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실제로 위와 같은 점들을 반영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에서도 이나리 신앙의 역사는 이나리 신사의 역사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추측한다. '원래 농경신'의 제사는 [[여우]]굴에다 지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는데, 언제부터 여우 자체를 농경신으로 떠받들었을지는 알 수 없지만, 일본 민간에서 여우를 이나리신의 사자나 신체(神體)로 여기기 시작한 것은 나라 시대부터이다. 일본 조정이 [[교토]]로 천도할 때에 이나리 신과 관계된 [[하타]]씨들이 [[교토]]를 개척하는 데 큰 공을 세운 것이 이나리 신앙의 확산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란 말도 있으나, 실제론 헤이안 후기부터 이나리 신앙이 퍼져 나가기에 하타씨의 교토 건설 참여와 이나리 신앙의 흥성은 큰 관련성이 없다. 헤이안 시대 후기부터 이나리 신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사람들은 이나리 신의 상징을 여우로 믿기 시작했다. 무로마치 막부 시대부터는 신앙이 더욱 강해져서 이나리 신은 기존에 담당하던 농업과 양잠 외에도 상업과 생산 그 자체를 담당하게 될 정도로 그 격이 높아졌다. 현대의 일본에서 부자와 서민을 가리지 않고 가장 대중적으로 믿는 신들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나리 신을 '이나리 씨(お稲荷さん, 오이나리상)'이라고 친근하게 부르는 경우도 있고,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나리 신앙을 '서민 신앙(庶民の信仰)'이라고 표현하였다.][* 물론 성공의 신인 만큼 돈 있는 사람들도 많이 믿는 듯하다. 신사에 늘어선 수많은 토리이들 하나당 가격을 생각해 보면... [[http://inari.jp/gotinza1300/|대형 토리이 봉납 금액]] [[기독교]]식 용어로 비유해서 표현하자면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서 헌금을 하고 해당 금액에 맞는 크기의 토리이에 헌금한 사람의 이름이나 회사명을 새긴 뒤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도록 신의 가호를 바라며 신사에 세워두는 식이다.] 오곡 풍요, 사업 번창, 가내 안전, 교통 안전, 예능 발달, 소원 성취 등의 분야도 담당하는 등, 막부 시대보다 더 중요성이 높아지고 [[신토]] 신들의 위계 질서에서 가장 높은 계급의 신으로 승격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