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유리조노 세이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세이아가 한정으로 출시되면서 [[티파티(블루 아카이브)|티파티]]는 블루 아카이브 최초로 구성원 전원의 원본이 한정인 동아리가 되었다. * 사용하는 총기의 모티프는 영국제 [[웨블리 권총|웨블리 자동권총]]으로 티파티 멤버 중 유일하게 순수 영국제 총기를 사용한다.[* 나기사는 순수 독일제인 [[발터 PP]], 미카는 독일제 [[MP28]]의 영국 복제품인 [[란체스터 기관단총]], 엑스트라 티파티 임원들은 미국제인 [[M1 개런드]]를 사용한다.] * 헤일로의 형태는 [[성공회]]의 상징인 [[https://en.wikipedia.org/wiki/Canterbury_cross|캔터베리 십자가]]다. * 성인 [ruby(百合, ruby=ゆり)][ruby(園, ruby=ぞの)]는 백합밭을 뜻한다. * 최종편 3장에서 린이 우트나피쉬팀의 배 발진 전 연설을 하는 장면에서 이름이 '''유리[[노동조합|노조]] 세이아'''로 잘못 적혀 있었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2741636|#]] 원래 유저들끼리 장난삼아 유리노조 세이아라는 이름으로 부르고는 했는데 공교롭게도 공식에서 동일한 오타를 내고 말았다. * 글로벌 서버 업데이트 전까지 팬 번역에서 세이야가 많이 사용되어 '세이'''아''''와 '세이'''야'''' 두 가지 표기가 병행되었는데 일본어 표기상 이름이 セイヤ가 아닌 セイア이므로 '''세이아'''가 맞고, 글로벌 서버에서도 정식으로 세이아로 공개되었다. 아마도 비슷한 인명인 [[세이야]]와 혼동이 일어난 듯하다. * 상술된 예지 능력에 관련해서, 에덴조약 편이 완결된 시점에서 보면 예지몽이 후반부 전개를 끝까지 안 보고 해버린 예언이라 대부분 깨져 버린 엉터리 예언[* 사실 예언이 깨졌다기보다는 선생이라는 존재가 개입하여 실제로 일어난 예언을 전부 극복해낸 것에 가깝다.]이 되어서 이런 조절이 안 되는 능력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스포일러 폭스'''라는 별명이 붙었다.[* 프롤로그에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이러한 특징이 대놓고 발휘되는데 세이아가 말한 이야기들의 세 문장은 에덴조약의 서사를 관통하는 대사이다. 즉, 시작부터 세이아가 반쯤 스포일러를 한 거나 다름없다.] 다만 이후 시간이 지나며 [[유리조노 세이아/미출시 밈|미출시라는 이미지]]가 너무 강렬해져서 이 별명은 다소 묻혔다. * [[티파티(블루 아카이브)|티파티]] 멤버 중 유일하게 [[https://youtu.be/-Vs_AqhWhY8|3차 PV]]에 등장하지 않았다. * 일본 서버 한정으로 작중 꼬맹이가 어른이나 쓸 법한 말투를 구사한다는 점에서 [[쿠즈노하(블루 아카이브)|쿠즈노하]]와 비슷한데 쿠즈노하의 경우 일인칭은 '와라와'이며 어미도 '노쟈'로 끝나는 진짜배기 노쟈로리 말투를 쓰지만 세이아의 경우 위엄있거나 호탕한 누나가 귀여워하는 대상에게 격식을 살짝 내려놓고 친근하게 굴 때 쓸 법한 말투[* [[동방 프로젝트|타 유명 작품의 예]]를 들자면 [[야쿠모 란]], [[호시구마 유기]] 같은 [[강한 여성]]의 친근한 말투라는 이미지가 강하다.]다. 쿠즈노하는 할망구, 세이아는 이모 정도. * 글로벌 서버와 일본 서버간에 아예 다른 음성 파일을 사용하고 거기에 이벤트 전용 대사까지 별도로 존재하는 특성상 현재 블루 아카이브의 모든 캐릭터들 중 단순 오디오 파일로는 압도적인 차이로 대사량이 가장 많은 캐릭터가 되었다. 여기에 글로벌 서버의 경우 한국어 음성까지 있기 때문에 두 서버에서 사용되는 음성 파일 용량의 차이는 더 벌어진다. 만일 미래에 메인 스토리에서 일본어 음성도 지원하기 시작한다면 대사량의 차이는 그 누구와도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다.[* 메인 스토리 에덴조약 편에 있는 [[아지타니 히후미#s-6.4|연설 대사]]에 차이가 있는 히후미의 사례도 있지만, 세이아는 모든 대사가 양 서버에서 서로 다른 말투로 되어있어서 대사량 차이가 더 벌어졌다.] * 의상은 전체적으로 다른 트리니티 제복과 비슷하게 흰색 [[원피스]] + 흰색 타이츠의 조합이지만, 하단부가 숏 스커트에 가까울 정도로 기장이 짧고 품이 넓다. * 성격과 어울리지 않게 복장이 꽤 파격적인데, 정면에서는 평범해 보이지만 [[백리스|사실 등 쪽을 '''완전히 드러내는''' 상당한 노출이 있는 복장이며 자세히 보면 사실 정면도 가슴 부위의 옆이 트여 있어 겨드랑이 속성도 있다.]] 격식을 중시하는 트리니티에서 이상하리만치 애먼 복장을 입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세이아는 학생회장이고, 트리니티에서도 가장 점잖은 편에 속하는 학생인 걸 생각하면 더욱 아이러니하다. 근데 정작 본인은 평소에 입는 옷이 야하다는 자각이 없는 모양. * 파란색 넥타이를 매고 있는데, 트리니티에서 [[하네카와 하스미]]와 더불어 세일러복 스카프가 아닌 넥타이를 착용하는 단둘뿐인 캐릭터이다. * [[모에 소매|팔토시의 소매가 매우 길다]]. 일러스트의 오른손을 보면 팔을 올렸음에도 보이지 않고 오히려 소매만 접혀서 아래로 내려갈 정도다. 이처럼 내부의 손은 기본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일본 서버의 쇼츠 시리즈에서 아주 잠깐 동안이지만 손가락이 보이는 장면이 지나가긴 했다. * 공식에서 공개된 비주얼이 매우 적었기 때문에 바닥에 끌릴 정도로 길게 늘어진 부분이 머리카락인지 꼬리인지에 대해 팬들끼리도 의견이 분분하여 2차 창작에서도 통일되지 않은 채로 그려지고 있었다. 다만 머리카락은 허리 근처에서 끝에 웨이브가 들어가 있는 반면 늘어진 부분은 직모라는 점에서 꼬리라는 추측이 더 우세했던 편이다. 후술할 공식 원화가인 kokosando가 X에 올린 섹시한 세이아를 보면 양팔로 쥐고 있는 베일이 허리춤을 지나면서 머리카락과 꼬리로 추정되는 부분을 구분짓도록 묘사한지라 이 추측을 더욱더 뒷받침했다. 결국 2025년 1월 19일 4주년 페스티벌에 세이아가 출시되어 3D 모델링이 공개되면서 머리카락의 연장선이 아닌 꼬리로 판명되었다.[[https://arca.live/b/bluearchive/126793544|#]] * 스탠딩 일러스트 오른손에 [[흰머리오목눈이]]를 얹고 있다. 총학생회가 소집한 회의에 참석할 때도 함께하는 등 꽤 각별히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이 오목눈이는 줄곧 한 마리만 등장했으나 출시와 함께 공개된 EX 컷신 및 승리 모션으로 때에 따라서는 열 마리도 넘는 오목눈이를 데리고 다니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블루 아카이브/스토리/인연 스토리|인연 스토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세이아의 손에 있는 것도 일러스트가 같은 것과 별개로 설정상 매번 다른 개체다. 공교롭게도 세이아가 출시되는 1월 20일이 [[홋카이도]]에서 기념일로 밀고 있는[* 법정 공휴일은 아니다.] シマエナガの日(흰오목눈이의 날)이기도 해서 출신인들에게 소소한 화제가 되었다. * 이 새가 세이아와 감각을 공유한다는 설정의 2차 창작이 꽤 있다. 대체로 선생이 귀엽다고 오목눈이를 여기저기 쓰다듬으면 세이아가 얼굴을 붉히며 움찔거리는 식. 이 오목눈이가 2차 창작에서 로보토미 코퍼레이션에 등장하는 [[징벌 새]]로 치환되는 경우가 있어 관리자 출신 선생들을 기함하게 만들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징벌새도 흰머리오목눈이가 모티브로 추정되는 새다. 물론 이런 사역마류의 소동물을 데리고 다니는 캐릭터들이 으레 그렇듯이 [[가니메데스(오버워치)|'사실 오목눈이가 본체고 세이아는 오목눈이의 행동을 대행하는 자동인형이다' 류의 창작]]도 많이 있다. * 다수의 오목눈이를 데리고 있기에 오목눈이들을 날려 공격하는, [[스타크래프트]]의 [[우주모함]]같은 유닛으로 그려지기도 한다.[[https://x.com/HM_Hmongt/status/1883083816065184074|#]] * 미카 출시 당시 나온 인터뷰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s-3.2.1|이해하기 힘든 표현과 더럽게 긴 장문]]으로 장황하게 떠벌이는 짓을 벌였다. 그래서 당사자인 미카가 직접 나와 딴죽을 걸었고 보도부의 [[아 씨바, 할 말을 잊었습니다|할 말을 잃게 만들었다]]. {{{#!folding 미카 출시 당시 인터뷰 [ 펼치기 · 접기 ] >(보도부: 이어서 티파티의 유리조노 세이아 씨입니다. 미소노 미카 씨에 대해 한 말씀 해주시겠습니까?) > >'''기대는 미래에 대한 찬사입니다.''' > >(보도부: ⋯⋯예?) > >'''내일을 바라는 것처럼, 노력 끝에 새로운 나를 보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다가올 시간을 눈부시게 바라봅니다. 우리는 그렇게 있을 수밖에 없고, 혹은 그렇게 있기를 바랍니다.''' > >'''뭐 요컨대⋯ 그녀도 슬슬 과거 이외의 무언가를 봐도 좋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그녀는 아마 그 문제를 부정하겠지만요.''' >'''다만 필요한 것은 부정도 반증도, 하물며 싸우는 것도 아닙니다. 깊이 생각할 것 없어요. 왜냐하면 그녀는 행동으로 보이는 걸 더 잘 하니까요. 본인도 그렇게 생각하겠죠, 미카?''' > >(미카: 세이아쨩, 이야기가 길-어) > >(보도부: 본인 등장!?) > >'''정보를 씹는 인내심은 감옥에 떨어지지 않았나 보군요.''' [[https://arca.live/b/bluearchive/68206556|#]]}}} * 이후 본인이 출시되었을 때에도 비슷한 컨셉으로 인터뷰가 나왔는데, 미카가 '''간략하게''' 소감을 말해달라고 하자 '기대는 과거를 향한 기도' 라고 답했다가 미카에게 현대어는 잘 못하냐는 놀림을 받는다. 이에 열 받았는지 시험 결과라도 비교해 보자고 하지만 나기사의 '둘 다 시험 응시도 못 하지 않았냐'[* 세이아는 시험일에 요양 중이었고, 미카는 '''감옥에 있었다'''(...)고 한다.]는 일침에 둘 모두 정곡을 찔려 바로 그만둔다. * 말을 할 때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설명은 쏙 빼두고 상황 자체만을 먼저 설명하거나 은유를 즐겨 쓰는 등 특유의 화술은 플레이어인 선생님에게 말할 때도 가감없이 발휘된다. 심지어 캐릭터의 특성상 세이아가 하는 말들은 모두 에덴조약 스토리의 핵심을 꿰뚫는 중요한 정보들임에도 불구하고 세이아와의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꿈과 현실의 경계를 애매하게 오가는 상황일 때가 대부분인지라 세이아의 발언은 더욱 모호해진다. * 한국어에서는 그냥 한자가 한글로 드러나기 때문에 잘 알 수 없지만 일본어판에서는 한자어로 말을 많이 한다. 예를 들어 여기나 저기 같은 간단한 단어마저 한자로 쓴다.[* 일반적으로는 히라가나로 묘사하며 공문 같은 매우 특수한 상황에서나 한자로 대체하여 쓰인다. 즉, 원어민 입장에서도 흔한 일은 아니다.] 안 그래도 말을 꼬아서 하는 데다 한자를 쓴다는 요건까지 겹쳐서 원어민 입장에서도 세이아 말이 어렵다는 얘기가 나온다. * 2주년 PV에서 공개된 선생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관에선 [[식물인간|몸은 살아서 눈을 뜨고 있지만 헤일로는 없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출시 당시 [[겨드랑이]]가 드러난 민소매를 위로 들어올린 메모리얼 로비 때문에 겨드랑이를 강조한 팬아트&팬만화가 양산되기도 했다. * [[파일:BA_네루세이아승리모션.gif|width=300]] 출시 당시 소개 플레이 영상에서 [[미카모 네루/교복|교복 네루]]와의 합동 승리 모션이 있는 게 확인됐다. 네루가 세이아를 친근하게 찰싹 때리고는 웃으며 쳐다보고, 세이아는 직후 발끈해서 네루를 살짝 째려보는 모습이다.[* 세이아의 복장은 등이 다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더 아플 것으로 추정된다.] * 그런데 나기사는 스페셜이라 그렇다 쳐도, 미카도 아니고 아예 같은 학원도 아닌 네루와 합동 모션이 있는 것이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있었다. 때마침 출시 때 밀레니엄과 관련된 이벤트에서 등장하는 게 확인됐고, 미출시 때 어떻게든 출시되겠답시고 [[따라큐|다른 출시 학생의 옷이나 캐릭터성을 흉내 내보는]] 밈이 있었던지라 자연스럽게 트리니티에서 자신을 출시시켜주지 않으니 밀레니엄에 붙었다는 농담이 생겨났다. * [[파일:세야꺅.jpg|width=300]] 음소거 밈에 시달린 것에 한을 풀듯 빼액 소리치는 모습이 여럿 있다. 밀레니엄 교류회에 마이크 상호작용, 전투 스킬 이렇게 2번 나오는데, 파동 이펙트 때문에 영락없는 [[사자후]]이다. 귀여운 캐릭터 중 음파공격하는 [[마이크(별의 커비 시리즈)|마이크 커비]]와 엮인 팬아트가 종종 있다.[[https://www.pixiv.net/artworks/126596181|예시]][[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9322635?%3E|팬아트 모음]] 이후 수영복 시즈널에서도 마이크를 들고 나왔다. * 승리 모션은 두 개로, 뒤돌아서있다가 앞을 향해 돌아서는 것과 수많은 흰머리오목눈이가 세이아에 앉는 것이 있다. * 블루 아카이브 4주년 때 일본 서버의 앱 아이콘이 세이아로 바뀌었다. [[파일:블루아카이브JP4주년앱아이콘.jpg|width=300]] * 출시 후 버그로 인해 필터 설정에서 [[트리니티 종합학원]]이 아닌 [[게헨나 학원]] 소속으로 잡히는 버그가 터지면서 게첩(...) 음해가 생겼다.[[https://x.com/mikemokass/status/1881486697499922486|#]] * 신비 속성이면 나기사(폭발), 미카(관통), 세이아(신비)가 되어 트리니티 컨셉에도 은근히 잘 맞고 세이아 본인의 미래예지 설정과도 묘하게 어울리기에 출시 전부터 공격 타입을 예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같이 출시된 교네루와 페어를 맞추도록 컨셉이 설계되었기에 관통 속성으로 배정되었다.[* 덤으로 친구들인 다른 티파티 멤버들과 [[아지타니 히후미|히후미]]는 관통 스트라이커인데 혼자 폭발 스페셜인 [[키리후지 나기사|나기사]]를 놀리는 밈도 잠시 흥하기도 했다.] * 미출시 학생의 대명사로 쓰일 만큼 장기간 출시되지 못했다 보니 공식 방송 때마다 세이아를 놀리는 2차 창작이 우후죽순 나왔었고 이를 다루는 [[https://youtu.be/rDkqNbzILfo?feature=shared|AI 노래]][* 해당 노래는 철권 8의 [[라스 알렉산데르손#s-6.7.1|라스 알렉산데르손의 시즌 1 평가]] 문단에 들어간 AI 노래의 패러디다.]까지 나왔을 정도였는데, 그래서인지 4주년 페스티벌에서 발표 당시 반응은 매우 뜨거웠다. 트리니티 배경이 뜰 때 한번 환호가 터졌고, 대사가 뜰 때 한번 더 크게 터졌고, 그리고 마침내 세이아의 일러스트가 나타났을 때 광기에 가까운 환호가 터지는 '''3단 환호'''가 발생했다. [[https://arca.live/b/bluearchive/126711077|#]] 2025년 6월 기준으로 8.9만 좋아요를 받았는데 만약 방송에서 예고가 따로 없었으면 10만 이상인 키사키를 넘었을 가능성도 있다. 키사키는 900만 이상의 조회수고 세이아가 500만 이상으로 조회수가 2배 가량 차이가 나는데 좋아요 수가 근접하고 있다. * [youtube(s_HokDOjNQ0)] 티파티 멤버 중 미카에 이어 [[미사곡]]을 부르는 모습이 나왔다. 해당 쇼츠에서 부르는 것은 [[거룩하시도다]](상투스,,Sanctus,,)의 라틴어 원문 중 일부이다. 실제로는 [[https://youtu.be/pqTJsbaacRE?si=RnWrHc8RMs59Ru65|17번 미사곡(Kyriale XVII)]]에서 따온 것이다.[* 참고로 흔히 인용되는 미사는 VIII, 8번,,(Missa de Angelis / 천사 미사곡),,인데, 미카가 부른 Kyrie가 8번 미사에서 따온 것이다.] Benedictus 구절부턴 세이아가 부르는 걸 멈추고 오목눈이가 날아오자 가사가 생략되었지만 멜로디는 나온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