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월간순정 노자키 군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표지에는 각 캐릭터들을 상징하는 담당 아이템들이 나온다. 1권의 노자키는 원고 용지와 만화 도구, 2권의 미코시바는 꽃 효과, 사쿠라는 붓(먹칠), 3권의 호리는 배경을 그리기 위한 자, 카시마는 왕자역의 필수 아이템인 검, 4권의 와카마츠는 톤 작업을 위한 X-acto 아트 나이프와 커터칼, 5권의 경우는 마에노의 너구리. 6권의 마유는 마유마유 블로그와 베개를 끌어안고 있으며 노자키는 사랑하자♡가 실린 만화잡지, 7권의 세오는 악보. 8권 표지부터는 무관한 특징이다. * 애니메이션 오프닝에서 각각 붓과 자를 써서 너구리를 퇴치하는 사쿠라와 호리의 모습은 단행본 2권과 3권의 표지에서 따 왔다. * 등장인물의 핸드폰 기종은 노자키/사쿠라/세오는 피처폰, 호리/미코시바/카시마/와카마츠는 스마트폰이다. 사쿠라의 경우 애니메이션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묘사되었다. * 걸어서 집에 가는 노자키를 제외한 메인 등장인물 전원은 전철로 학교를 다닌다. 사쿠라, 카시마, 호리가 상행이고 미코시바, 세오, 와카마츠가 하행. 원작 44화에서 이 설정을 이용했다. * 팬북에 따르면 주로 작업하는 조합은 노자키-사쿠라-미코시바, 노자키-호리, 노자키-와카마츠이다. 사쿠라와 노자키 이외의 어시 멤버를 모르는 미코시바를 제외하고는 다른 멤버와도 때때로 작업을 하긴 한다. 호리가 부활동 때문에 바빠 늦게 오는 경우 먹칠, 배경, 톤을 마지막으로 합쳐서 정리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한다. * 애니메이션 타이틀에 쓰이는 폰트는 매 화 다르다. * TVA 10화 A파트의 영화 제목 및 표지는 [[디스트릭트 9]]와 [[인디펜던스 데이]]의 패러디. *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1360/read?articleId=1456591&bbsId=G003&itemId=15&pageIndex=1|성우 인터뷰]] * TVA 12화는 후반부 정글짐 장면 등 일부 파트가 오리지널이며, 엔딩 부분에 노자키의 부모님과 [[노자키 마유|마유]]도 여기서 깜짝 출연했다. * TVA 12화 회상 신에서는 노자키가 사쿠라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린다. 오프닝에서도 강조되어 있는 부분인데, 원작에선 한 손으로 품에 끌어 안고 교문을 넘는다. * 애니메이션에서 실제로 원고에 그린 듯한 장면이 나오는데 처음에 공모전을 열어서 된 프로 만화가에게 제작을 부탁했다고 한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21/read?articleId=1499762&objCate1=&bbsId=G003&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28&itemId=&sortKey=depth&searchValue=%EB%85%B8%EC%9E%90%ED%82%A4&platformId=&pageIndex=1|야마사키 미츠에 감독 인터뷰]]. * 같은 간간 온라인 만화 출신인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 애니 2화에 찬조 출현했는데, 이 작품도 애니메이션화되는 과정에서 테레비 도쿄가 주관방송국으로 정해짐으로써 애니에서도 같은 주관방송국이라는 공통점이 생겼다. * 동분기에 방영한 [[간간 온라인]] 동기 [[바라카몬]]도 평이 좋아서 간간 온라인 작품에 대한 주목도가 많이 올라갔다. * 공식 팬북에 의하면 츠바키 이즈미의 초기 기획 당시엔 [[노자키 우메타로]]는 주인공이 아니었다. 순정만화를 좋아하는 우메타로의 고등학생 여동생 유메코와 같은 반 남학생이 주인공이었다고 한다. 오빠인 우메타로는 지금과 동일하게 순정만화가였지만 대학생이었고 그냥 단역 수준이였다고. 그러다가 초기 기획을 엎어버리고 새로 짤 때 유메코는 주역에서 쫓겨나고 단역이였던 우메타로가 지금처럼 고등학생이 되었으며 주인공으로 올라오게 되었다. 다만 유메코의 존재 자체는 삭제된건 아니여서 중학생으로 설정 변경 되긴 했지만 여전히 우메타로의 여동생으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본편에 등장시킬 생각은 아직 없다고 한다. [[http://ja.wikipedia.org/wiki/%E6%9C%88%E5%88%8A%E5%B0%91%E5%A5%B3%E9%87%8E%E5%B4%8E%E3%81%8F%E3%82%93#cite_ref-17|출처]] 2015년 12월 17일에 이 여동생이 주역인 번외편이 간간 온라인 미니 앱 한정으로 재신 될것이라고 한다.[[https://twitter.com/tubakiidumi/status/673709625615581184|#]] * 번역가는 [[최윤정(번역가)|최윤정]]. 번역의 퀄리티는 6권의 오역을 제외하고 무난한 편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이지만 그래도 좀 아쉬운 것은 번역가가 서브 컬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게 종종 느껴진다. 인물들의 드립이나 태클 등도 조금씩 아쉽게 느껴지며, 대표적으로 작중에서 노자키, 호리, 와카마츠가 플레이하는 '소녀 게임'은 원문 [[오토메 게임]]을 직역한 것으로 보이는데, 국내에서 통용되고 있는 '여성향 게임'으로 번역하는 게 더 적합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다만 오토메 게임은 여성향 게임의 한 분야일 뿐, 완전히 동일한 개념은 아니기에 여성향 게임으로 번역해도 문제가 있다.]. 서브컬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만화인 만큼 관련 지식이 풍부한 번역가나 조금 더 신경을 써줬다면 해서 안타깝다. * 작가와 애니 제작진이 예상치 못한 옥의 티를 만들어냈는데, 바로 '''휴대폰'''이다. 애니판에서는 다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원작 만화에서는 노자키와 치요는 아직도 폴더형의 [[피처폰]]을 사용하며, 이에 대한 에피소드도 있다. 해당 에피소드에선 둘 다 스마트폰의 장점을 이해를 못해서 그냥 폴더폰을 쓰기로하는 전개가 된다. * [[충사]]나 [[러브 라이브!]][* 굳이 이렇게까지 사례를 드는 것은 이 세 만화 모두 선정적, 폭력적 묘사와는 담을 쌓은 '''몹시''' 건전한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등의 애니들과 함께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한 월간소녀 노자키군 1화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여성가족부]]에서 지정한 유해 매체에 선정되었다. 선정 이유는 '가벼운 비속어 및 은어 사용.' * [[KBS]] [[1박 2일]]을 통해 지상파에 입성했다. 어떻게 입성했는고 하니 [[서울대학교/동아리#s-1.2.3|서울대학교 애니메이션 동아리]] 지원서. * 한국 정식 더빙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천악의 A.D.R 녹음실'이라는 블로그에서 아마추어 성우들의 비공식 더빙이 이루어졌다. 2016년 2월 기준 4화까지 올라왔는데, 비공식 더빙임에도 불구하고 퀄리티가 매우 뛰어나며 그중에서도 사쿠라의 더빙은 음색은 물론이고 이미지나 연기 면에서도 놀라운 싱크로율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다 오프닝과 엔딩도 더빙이 이루어졌다. * 또한 [[구자형]]이 [[윤미나]]와 함께 '읽어드릴깝쇼'에서 잠시 더빙을 해본 적이 있었다. * 본작 주연 중 한명 사쿠라 치요를 연기한 오자와 아리는 애니판의 엔딩곡 작사와 작곡, 편곡을 담당한 히게드라이브와 훗날 부부가 된다. * 2021년 8월 25일, 연재 10주년을 맞았다.[[https://twitter.com/tubakiidumi/status/1430184955607326720?s=19|작가 트윗]] * 서브컬쳐에 대한 묘사가 상당히 현실적이다. 작중에서 묘사된 가공의 서브컬쳐 작품들은 현실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유형들이고, 작중에서 묘사된 가공의 서브컬쳐 작품과 이를 대하는 등장인물의 반응도 이질적이지 않다. 상술했듯 노자키가 연재하는 순정만화 '사랑하자'나 미야코의 여러 단편만화들은 여러 등장인물들에게 혹평을 받거나 호불호가 강하게 갈리는 만화로 묘사되고, 이들의 만화에서 보여지는 문제점들은 현실의 만화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문제점들이다. 또한 미코시바가 좋아하는 남성향 장르의 작품들은 합법적인 루트로 구매한 작품들이라서 성인물이 아님에도, 다른 사람들한테 성인물로 오해받을 정도로 굉장히 선정적이고 폭력적이라는 묘사가 있다. 물론 현실에서도 성인물 지정을 받지 않았음에도 그 못지않게 선정성과 폭력성이 높은 작품들이 많다[* 당장에 15세 연령가로 지정된 작품들을 보자. 직접적으로 묘사만 하지 않을 뿐, 성관계나 고어에 가까운 장면들이 간접적으로 묘사되거나 특정부위만 가리면 전신 나체 노출이 가능하다.]. 오토메 게임의 공략 대상 남성 캐릭터들이 루트 후반부에서 정서적으로 크게 불안한 모습을 보이거나 장르를 갑자기 판타지로 바꾸는 일은 현실의 오토메 게임에서도 흔하게 보이는 일이다. 미코시바가 푹 빠진 아이돌 프로듀싱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유저 이입용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한정 스토리의 주역인 아이돌 캐릭터의 성장을 밤낮 가리지 않고 물심양면으로 도왔음에도, 갑자기 주역 캐릭터의 성장이 그동안 등장하지도 않았던 타 캐릭터의 공로로 돌리고 주역 캐릭터의 입을 빌려서 해당 타 캐릭터에게 칭찬 세례와 공치사를 하는 과한 편애를 보이며 유저 이입용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아예 없는 취급을 하여 유저들에게 큰 비판을 받았다는 묘사가 있다. 이 역시 현실에서 종종 일어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월간순정 노자키 군, version=1054, uuid=cd6ab539-77b7-4f7f-b17d-6dae139fc4e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