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원나블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한국에서 === 한국에서도 원나블의 인기는 상당했다. 원나블이라는 용어의 시초도 한국이다.[* 이 말이 현재와선 정확히 언제 생겼는지는 불명이긴 하다.] 문화적 차이와 정서상 일본에 비해 만화에 대한 시각이 좋지 않음에도, 원나블은 몇 안되는''' [[인싸픽/애니메이션|비오덕 만화]]'''로 꼽힐 정도였으며 만화팬이 아닌 사람도 [[일본어]] [[자막]]으로 애니메이션을 시청할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원피스와 나루토는 [[대원씨아이]], 블리치는 [[서울문화사]]에서 정식 발간되었다. 각 출판사의 [[만화잡지]]인 [[코믹 챔프]]와 [[아이큐 점프]]에서도 연재 중. TVA 애니메이션의 방영 채널은 다음과 같다. *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 [[KBS]] → [[투니버스]] → [[대원방송]] 계열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투니버스]] (→ [[대원방송]] 계열[* HD 재방영]) * [[블리치(애니메이션)|블리치]]: [[투니버스]][* 1~2기] →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3기까지] → [[대원방송]] 계열[* [[블리치 천년혈전 편|천년혈전 편]]] 세 작품 모두 [[넷플릭스]], [[Laftel|라프텔]], [[왓챠]] 등에서 더빙판과 자막판을 동시에 서비스 중이다. 이렇게 꾸준히 정발/방영/스트리밍/서비스되면서 그 인지도는 여느 국민만화들에도 꿀리지 않는다. 일례로 원피스와 나루토는 전성기에 매주 [[실검]]에 올라왔고 블리치도 실검에 가끔씩 올라올 정도로 세 만화의 인기는 대단했다. 또 지금까지도 '''[[삼대장]]''', [[지건마렵다]], [[천룡인]], [[라프텔]], '''[[뇌절]]''', [[예토전생]], [[Naruto running|나루토식 달리기]], [[탈주닌자]], [[미안하다 이거 보여주려고 어그로끌었다|이거 보여주려고 어그로 끌었다]] , [[만해]]([[귀등환#만해(卍解)|반카이]]), [[천본앵(블리치)|천본앵]], [[월아천충]], [[경화수월(블리치)|경화수월]] 등 만화팬들이 아닌 사람들도 쓸 정도의 유행어와 보통명사까지 파생 시켰으며[* [[흑역사]], [[완전체]], [[시체놀이]], [[안녕하살법]]처럼.] --학교에선 일진들이 지건을 날려댔다-- 한국 웹툰, 드라마, 예능에서도 해당 작품들을 자주 패러디한다. 원피스는 특히 [[대원미디어]]와 [[반다이남코|반다이코리아]]의 마케팅으로 [[홍대거리]] 등에 전용카페나 팝업 매장까지 낼 정도. [[건담베이스]]나 [[피규어]] 매장에서도 유독 원피스의 상품들이 많이 팔리는 걸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한국의 피규어/오덕 문화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 원피스가 주류였을 정도이며, 이런 관련사업들과 행사를 기준으로 보자면 드래곤볼보다 더하다![* 이건 사실 [[드래곤볼 슈퍼]]가 한국에서 큰 인기를 못끈게 크다.] 나루토와 블리치는 원피스처럼 대대적으로 관련 행사가 추진될 정도는 아니지만 [[유튜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지에서 여전히 원피스와 함께 회자되고 있으며, 지금도 충분히 인기있는 작품이다. 세 작품 모두 더빙의 질과 캐스팅이 좋았던 것도 인기요인. 물론 원피스의 경우 문제도 종종 있었지만[* 원피스의 경우 KBS판에서는 [[검열삭제|지나친 편집과 무분별한 순화]], 엄청난 [[중복 캐스팅]]이 문제가 되었고, [[쥬라큘 미호크|미호크]]를 담당했던 [[장정진]]이 [[일요일은 101% 장정진 사망 사건|예능 출연 도중 사망하는 일]]이 일어났으며, 후폭풍으로 결국 데비 백 파이트 편에서 종영되었다. [[투니버스]]판에서는 [[상디]], [[토니토니 쵸파|쵸파]]의 담당 성우가 [[투니버스]] 소속 성우로 바뀌었지만 그래도 KBS 시절 성우 대부분을 그대로 계승하고 단역들에게도 호화 캐스팅으로 매우 평가가 좋았으나 대원방송에게 판권을 뺏겼는지 결국 TVA는 방영을 종료하고, 대신에 스페셜과 [[원피스(만화)/애니메이션/극장판|극장판]]은 꾸준히 투니버스에서 더빙하고 있다. 대원에서는 KBS~투니버스 방영분을 다시 재더빙해서 '''[[원피스(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원방송판|Original]]'''을 붙여서 방영했었는데 KBS판보다 더한 중복과 전속 도배로 11기를 제외하고 까였다. 그래도 14기 이후로 퀄리티가 상당히 좋아졌다.] 최근엔 최신 시즌을 따라 잡으려고 20기 조 편부터 '''NEW'''를 붙여 선자막 후더빙 체제로 방영하는 중. 블리치의 경우 2기 이후 방송사가 [[투니버스]]에서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로 이동한 이후 더빙 퀄리티가 산으로 가더니 결국 자막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블리치 천년혈전 편|천년혈전 편]]이 애니화되어 [[대원방송]]에서 더빙판으로 방영되면서 과거 [[투니버스]] 시절 주요 출연진을 상당수 유지해 호평을 받고 있다. 나루토의 경우 기존 등장인물들은 물론이고 단발성인 엑스트라 캐릭터들도 호화로운 성우 캐스팅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원피스(애니메이션)/해외 공개/투니버스판|투니버스판 원피스]]처럼 담당 성우의 개인 사정이 있지 않는 한 거의 대부분 그 캐릭터 담당 성우가 그대로 녹음한다. 그래서 더빙 퀄리티는 평이 제일 좋다. 원나블 세 작품(단역, 극장판 포함)에 모두 출연한 성우는 다음과 같다.[* 잘 보면 투니버스 출신이 많은데, 이는 세 작품을 모두 방영한 곳이 [[투니버스]] 밖에 없기 때문이다.] * [[KBS 성우극회|KBS]]: [[강구한]], [[한상덕]], [[이정구]][* 블리치는 방송된 두 개의 방송사([[투니버스]], 대원방송)에서 출연한 배역이 각각 다르다. [[투니버스]]에서는 [[이시다 류켄]], [[대원방송]] [[블리치 천년혈전 편 애니메이션 시리즈|천년혈전편]]에서는 [[유하바하]]를 맡았다.], [[이종구(배우)|이종구]], [[이봉준]], [[장광]], [[홍시호]], [[이재용(성우)|이재용]][* 후에 교체된 배역도 있지만 원피스를 방영한 3개 방송사 모두에 출연했다. 애니맥스판 블리치에까지 출연했으면 최한을 능가하는 기록.], [[성완경]], [[이장원(성우)|이장원]], [[윤세웅]], [[소연(성우)|소연]], [[임채헌]], [[장민혁]], [[권창욱]][* 나루토의 경우 후속작인 [[보루토]]에 출연했다.] * [[MBC 성우극회|MBC]]: [[김기현(성우)|김기현]], [[김태훈(성우)|김태훈]], [[손원일(성우)|손원일]], [[안장혁]], [[최석필]], [[송준석(성우)|송준석]], [[이상범(성우)|이상범]], [[최한]][* [[투니버스]]에서만 방영했던 나루토는 [[센쥬 하시라마]]와 [[시라누이 겐마]]를 담당하고, [[원피스(애니메이션)/해외 공개/투니버스판|투니버스판 원피스]]의 [[돈키호테 도플라밍고]], [[원피스(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원방송판|대원방송판 원피스]]의 [[쥬라큘 미호크]], [[블리치(애니메이션)#s-5.1|투니버스판 블리치]]와 [[블리치(애니메이션)#s-5.2|애니맥스판 블리치]],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서 [[우라하라 키스케]]로 출연하여, 모두 출연한 대기록 보유자다(...).], [[방성준]], [[정재헌]] *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 [[정승욱]], [[최준영(성우)|최준영]], [[최재익(성우)|최재익]], [[이주창(성우)|이주창]], [[최재호(성우)|최재호]], [[김장(성우)|김장]], [[손종환]], [[김광국(성우)|김광국]], [[박만영]], [[시영준]], [[정명준]], [[여민정]], [[한채언]], [[김기흥]], [[신용우]], [[현경수]], [[홍범기]], [[정유미(성우)|정유미]], [[정혜옥]], [[김영찬(성우)|김영찬]], [[박성태]], [[이호산]], [[최지훈(성우)|최지훈]], [[최승훈(성우)|최승훈]], [[김보영(성우)|김보영]], [[김현심]], [[김현지]], [[안영미(성우)|안영미]], [[이소은(성우)|이소은]] * [[EBS 성우극회|EBS]]: [[엄상현]], [[전태열]] * [[대원방송 성우극회|대원방송]]: [[최낙윤]], [[이지현(성우)|이지현]][* 나루토의 경우 후속작인 [[보루토]]에 출연했다.], [[심규혁]], [[이현(성우)|이현]], [[이경태(성우)|이경태]][* 나루토의 경우 후속작인 보루토에 출연했다.], [[강시현(성우)|강시현]][* 나루토의 경우 후속작인 [[보루토]]에 출연했다.] * [[CBS 성우극회|CBS]]: [[민응식]] * [[대교방송 성우극회|대교방송]]: [[윤미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