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원나블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일본에서 === * 원피스는 연재 초부터 [[헌터X헌터]]와 경쟁해''' 1위'''를 차지하는 등 시작부터 독보적인 인기를 누렸다. [[바람의 검심]] 완결 후 90년대 말~2000년 점프에서 원피스 다음가는 인기작으로는, [[테니스의 왕자]], [[유희왕]], [[출동! 세기말 리더 다케시]], [[샤먼킹]], [[히카루의 바둑]], 나루토 등이 꼽혔다. * 나루토는 초반엔 그럭저럭 인기작이었으나 상술한 다른 경쟁작들의 위상이 하락하는 동안 [[나루토/중급닌자 시험 편|중급닌자 시험 편]]을 히트 시키며 원피스의 바짝 뒤따라오는 자리까지 올라갔다. * 블리치는 원피스와 나루토에 비하면 후발주자였고 초반의 인기도 저조했다. 하지만 작가인 [[쿠보 타이토]]와 편집부의 노력으로 장르를 변경해 [[블리치/소울 소사이어티 편|소울 소사이어티 편]]을 히트시키면서 급속도로 원피스, 나루토 다음의 인기를 얻었다. * 이후로 이 3강 체제는 오랫동안 유지되었는데 일본의 수많은 [[만화잡지]] 중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자랑하는 [[소년 점프]]였고, 이 잡지의 3대 인기 만화답게 두터운 팬덤과 높은 판매량을 자랑했다. 실제로''' 2004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간 점프 판매량''' 1~3위를 이 세 작품이 독점'''하였다. * 최전성기로 여겨지는 2009년에 원피스는 [[원피스(만화)/임펠 다운·마린 포드 편|임펠 다운·마린 포드 편]]을 기점으로 기존에도 높았던 인기가 폭증하여''' 신드롬'''을 일으키고 이 시기부터 원피스와 타 만화간의 격차는 넘사벽으로 벌어진다. 이 이전에도 원피스는 중간에 경쟁작들이 있었던 것을 제외하면 늘 1위였으나, 이 에피소드를 기점으로 산업 규모, 판매량, 미디어믹스 수익 등 모든 면에서 앞서 나가게 된다. * 2010년부터 블리치는 [[블리치/사신대행 소실 편|사신대행 소실 편]]의 스토리를 크게 말아먹으며 인기가 폭락했고 [[천년혈전 편]]에는 더 심각해져서 스토리는 막장 전개에 파워 인플레 및 밸런스 붕괴로 치달으면서 수많은 떡밥은 회수조차도 못했고 [[소드마스터 야마토]] 완결이라는 최악의 형태로 끝나버렸으며, [[소년 점프]] 안에서의 앙케이트 순위는 꼴찌로 추락하기에 이르렀다. * 같은 시기 나루토도 [[제4차 닌자대전]] 때부터 막장화 조짐이 슬슬 보여 판매량이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해 2012년에는 [[쿠로코의 농구]]에게 판매량이 밀려 3위로 떨어지고, 2013년부턴 [[나루토/비판|전개가 안드로메다로 떠나며]] 막장도가 엄청나게 상승해 연재 순위도 [[암살교실]]에 밀렸으며 완결 해인 2014년에는 단행본 판매량이 [[하이큐!!]]에게도 밀리게 된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세 작품들의 왕조와 같던 구도가 확실히'''' 깨지기 시작'''했는데 원피스는 2년 후 시점의 [[원피스(만화)/어인섬·펑크 하자드 편|어인섬·펑크 하자드 편]]과 [[원피스(만화)/드레스로자 편|드레스로자 편]] 및 [[원피스(만화)/조·홀케이크 아일랜드 편|조·홀케이크 아일랜드 편]] 스토리가 한국에서 악평[*ex 느리고 난잡한 전개, 반복되는 패턴, 잦은 휴재, 디자인 문제 등]을 들었지만 판매량은 여전히 높았다. 하지만 2014년 상반기에 타잡지의 [[진격의 거인]]이 신드롬을 일으키며 원피스를 이겼고[* 2014년 종합 판매량으로는 원피스가 1188만 5957부로 1172만 8368부의 [[진격의 거인]]을 이기고 1위를 차지했지만 과거만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 2015년 상반기에는 [[일곱 개의 대죄]]까지 원피스를 이겼다.[* 2015년 종합 판매량은 원피스가 [[일곱 개의 대죄]]를 이기고 1위를 탈환.][* 당시 이미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하던 나루토는 7위 블리치는 24위라는 결과가 나왔다. ] 당시 5960만 달러를 벌어들인 원피스의 총 수입은 6050만 달러를 번 [[진격의 거인]]의 총 수입에 [[http://www.cbr.com/with-60-5-million-in-sales-attack-on-titan-is-its-own-media-empire/|밀리기도 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귀멸의 칼날]]과 [[주술회전]] 같은 후배들에게도 자주 밀리는데 오래전에 완결난 나루토의 후속작인 [[보루토]]는 여전히 평가가 좋지 않고[* 그 [[제4차 닌자대전]]편보다도 평가가 훨씬 좋지 않으며, 나루토의 후속작이라 어떻게든 버티고 있는 것이지, 나루토의 후광이 아니었다면 진작 퇴출되고도 남았다는 의견까지 있을 정도. 나루토의 공식 후속작이라는 딱지가 무색하게 골수 나루토 팬들마저 [[보루토]] 만큼은 흑역사 취급하는 경우가 많고, 신규 팬덤의 유입도 매우 적으며, 볼 사람만 보는 그저 그런 작품인 셈이다.] [[블리치 천년혈전 편]]이 방영되면서 분위기가 나아진 블리치는 숨통이 좀 트인 상태. 이 중 유일하게 완결이 안 된 원피스는 상술했듯이 2년 후 에피소드가 한국에서 비판을 꽤 받았지만 [[와노쿠니 편]] 후반 [[기어 5]]의 등장과 [[원피스 필름 레드|필름 레드 극장판]]의 대흥행으로 전성기 수준의 인기를 유일하게 회복하여[* 2020년대 중반 부터는 최종장 첫 에피소드인 [[에그헤드]]편을 기점으로 작품 자체의 평가도 다시 전성기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평가를 받고 있을 정도로 작품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굉장히 분위기가 좋은 편이다. 같이 원나블로 묶였던 나루토, 블리치가 마지막으로 갈수록 평가가 안 좋아졌던 것에 비해 원피스는 오히려 정반대의 행보를 걷고 있어 여전히 원톱임을 증명하고 있다.] [[주술회전]], [[귀멸의 칼날]], [[진격의 거인]] 같은 당대의 정상급 만화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하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