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언행 관련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anchor(버튜버 비하)][anchor(버츄얼 유튜버 비하 발언 논란)]버츄얼 유튜버 비하 및 디자인 도용 === [[https://www.fmkorea.com/best/8520732185|에펨코리아]] [[https://archive.md/tMTjc|@]],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036462|루리웹]] [[https://archive.md/39yTQ|@]], [[https://gall.dcinside.com/dcbest/339014|디시인사이드]] [[https://archive.md/NafEo|@]], [[https://theqoo.net/hot/3786131747|더쿠]] [[https://archive.md/erump|@]], [[https://x.com/For_Ataraxia/status/1933486136799998241|X]]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bca1><nopad> [youtube(hc5cYCydkfs)] || >'''우왁굳 : ([[키즈나 아이]]를 보고) 얘한테 구독자 밀리면 한강 가야겠다.''' 우왁굳이 [[버츄얼 유튜버]]의 시초인 [[키즈나 아이]]를 비롯해, 동종 업계에서 [[hololive]]와 쌍두마차를 달리는 [[니지산지]]를 비하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특히 2017년 경, 키즈나 아이의 영상을 보고서는 코웃음을 치며 위와 같은 비하 발언을 한 사실이 수면에 올라왔다. [[https://x.com/For_Ataraxia/status/1933486136799998241|#]] 정작 저 발언 후 몇 년 뒤 본인도 버츄얼 유튜버인 [[이세계아이돌]]을 기획하고 만든 것을 생각하면 참으로 아이러니한 발언이 아닐 수가 없다. 2025년 6월 기준 키즈나 아이의 구독자 수는 약 300만 명 이상으로, 170만 명 수준인 우왁굳보다 훨씬 높고 이세계아이돌의 멤버 전원의 구독자[* 전원의 구독자 합계는 7월 12일 기준 40.6+45+46.3+45.3+59.1+36.4=272.7만 명이다. 각각 다른 채널인지라 한 사람이 여러 채널을 구독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인원수는 더 하락할 것이다.]를 합한 것보다도 높다.[* 키즈나 아이는 특히나 2022년부터 2025년까지 무기한 활동 중지라는 이름으로 장기간의 휴식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복귀 직전에 실시한 조각 모음 관련 주제만으로도 화제를 이끌었으며, 공식적인 복귀 후에도 상당한 환호를 받았다. 그만큼 충성하는 고정 지지층이 많았다는 반증이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80%><width=50%><tablebgcolor=transparent><nopad> [[파일:사이버아이돌.jpg|width=100%]] || [[파일:나츠이로마츠리프로필.jpg|width=80%]] || ||<rowbgcolor=#ddd,#383b40> 최초 공개본 || [[hololive]]의 [[나츠이로 마츠리]] || ||<nopad> [[파일:사이버 아이돌 수정.jpg|width=100%]] || [[파일:모노노베 아리스 전.png|width=50%]] || ||<rowbgcolor=#ddd,#383b40> 1차 수정본 || [[니지산지]]의 [[모노노베 아리스]] || ||<nopad> [[파일:사이버아이돌.png|width=100%]] || [[파일:두근두근 문예부 플러스! 모니카.png|width=50%]] || ||<rowbgcolor=#ddd,#383b40> 2차 수정본 || [[두근두근 문예부!]]의 [[모니카(두근두근 문예부!)|모니카]] || 또한 2021년 6월 [[이세계아이돌/오디션|이세돌 오디션]]의 포스터에서 [[나츠이로 마츠리]], [[모노노베 아리스]], [[모니카(두근두근 문예부!)|모니카]]를 도용했을 뿐 아니라 2회에 걸친 수정본에서도 여전히 유료 판매중인 [[하츠네 미쿠]] Young Tumblr Miku 모델[* 포스터 기준 좌측→좌측→중간]과 [[걸리시 넘버]]의 주인공인 [[카라스마 치토세(걸리시 넘버)|치토세]][* 중간→중간→우측] 모델을 사용하였다. 다섯 명 모두 다 무단도용인 셈. 특히 [[https://3d.nicovideo.jp/works/td27900|치토세 모델]]의 경우 '''상용 사용 금지'''라 법적으로도 문제될 소지가 있다. 또한 포스터의 글꼴로 로고로의 사용이 불가능한 [[https://noonnu.cc/font_page/477|비트로 코어체]]를 사용하였다. 비트로 코어체는 이세계아이돌의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0|로고에도 사용되어]] 네 차례에 걸친 지속적인 저작권 침해가 발생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bca1><nopad> [youtube(SmK6mKROFjY)] || 상술한 것처럼 [[니지산지]] 소속인 [[모노노베 아리스]]를 도용한 지 몇 달 안 된 시점인 2021년 8월에 니지산지의 콘텐츠 영상[* 니지산지 가요제 2020(NJU 2020) 영상을 보고 반응했던 것이다. 원본 게시물에는 다른 영상도 몇개 더 첨부되어 있었으나 당시 첫영상만 보고 평가.]을 보며 '''"일본 애들은 발성이 다르잖아"'''라며 발음을 과장되게 흉내 내고, '''\'주르르 승\''''이라는 발언 등 다수의 비교 및 비하성 발언도 묵인하는 태도를 보여, 팬덤 내 차별적 분위기를 방조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동안 이파리들이 피해를 호소한 게 무색할 정도로 정작 그들의 수장인 우왁굳이 과거에 이미 자체적인 카페 탐방 콘텐츠로 해외의 동종 업계 버츄얼 유튜버를 조롱했단 사실이 드러난 것도 드러난 것이지만, 그 대상인 [[키즈나 아이]]는 버츄얼 유튜버란 개념조차 제대로 없었던 시절에 등장해 버츄얼 유튜버란 용어부터 각종 스탠다드를 만들어낸 버츄얼 유튜버의 시초이자 붐을 불러 일으켜 하나의 업계를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는 인물로, 단순 통계상으로는 키즈나 아이를 넘어서거나 그에 버금가는 버츄얼 유튜버들이 여럿 나온 지금도 키즈나 아이에 대해 존경을 표하면 표했지 함부로 말하는 버츄얼 유튜버는 없을 정도로 리스펙 받는 존재다. 또한 니지산지도 기존의 동영상 업로드 위주의 버츄얼 유튜버의 인기가 시들해져 가던 차에 [[츠키노 미토]]를 필두로 RP에 크게 얽매이지 않고 연기자의 모습을 더 드러내며 생방송 및 합방을 통해 시청자와 더 소통하는 현재의 버츄얼 유튜버의 인터넷 방송의 틀을 잡고 버츄얼 유튜버 업계를 한층 더 부흥시킨 트렌드 세터이자 지금도 업계의 최전선에 서 있는 거물이다. 이렇게 사실상 지금의 버츄얼 유튜버 업계를 만들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공신들에게 조롱을 해 놓고서는, '''그러한 버츄얼 유튜버의 후발주자인 이세계아이돌'''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 키즈나 아이가 처음 세상에 나왔을 시점에는 버츄얼 아이돌이란 개념도 제대로 없던 생소한 시기라 거부감을 느낀 사람들이 적지는 않았던 것은 맞지만[* 사실 우왁굳 본인 같이 얼굴 없이 마스코트만으로 활동하는 아프리카 BJ들 또한 듀라한이라는 멸칭으로 부르며 부정적으로 대하는 시선이 적지 않았다.], 그렇다 하더라도 처음 보는 타국의 방송인에게 다짜고짜 무례한 발언을 한 것이 용인될 수는 없다. 이후 버츄얼 유튜버 판이 커지는 것을 보고 본인도 사이버 아이돌 육성 프로젝트를 하겠다고 나섰다면, 적어도 과거 본인 발언과 가치관에 대한 반성이나 사과는 당연히 먼저 이루어졌어야 했었다. 심지어 해당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후에도 업계를 키운 큰손인 니지산지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도 없는 사실상 [[안하무인]]적인 태도를 보이며, 그 외에 수많은 콘텐츠를 비난해 온 사실까지 알려지자 도대체 이 사람이 존중하는 콘텐츠는 뭐가 있느냐며 많은 이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우왁굳의 이세계아이돌 프로젝트가 성공한 것은 물론 본인의 노력도 있었겠지만 업계의 대선배인 키즈나 아이 같은 초창기 인물들과 이후 시장을 키운 니지산지 등의 노력이 선행되었기 때문인데, 이러한 타 버츄얼 선배 방송인들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이 없는 실언이었던 셈이다. 이후에 파카튜브의 [[파카튜브|골드 쉽]] 역시 이세계아이돌의 오디션 영상[* 2025년 6월 24일 기준으로 비공개되었다.]에서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174313|가짜 버튜버]][[https://archive.md/DWDTM|@]]라고 하며 비하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마무스메 팬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골드 쉽은 우마무스메 게임이 발매되기도 전인 2018년도부터 버츄얼 유튜버 활동을 해 오며 게임이 개발에 난항을 겪으며 베이퍼웨어화 될 우려를 사는 동안에도 팬층의 지지 기반을 다져 게임 런칭을 성공적으로 견인한 1세대 버츄얼 유튜버 급이고, 이후 한국에서도 특별 영상을 제공한 바 있다. 활동 시기는 당연히 이세돌보다 훨씬 앞선다. 기술력과 자본력 역시 비교하는 게 실례일 수준으로 골드 쉽의 파카튜브 쪽이 좋은 건 덤이다.[* 추가적으로 해당 영상에서 MMD용 골드 쉽 모델링을 무단으로 개조한 점까지 드러나 해당 모델링 제작자에게 제보가 전해지기도 했다. [[https://m.dcinside.com/board/dcbest/341293|#]][[https://archive.md/WgU8W|@]]] 심지어 해당 영상에 올라온 이세계아이돌 포스터에도 [[니지산지]]의 [[모노노베 아리스]]를 도용한 버전이 그대로 들어가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