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법률 및 약관 위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고멤 아바타 모델링 무단 도용 및 수정 === 왁타버스 고정 멤버들 중 상당수가 실존 인물의 얼굴이나 상업적 캐릭터들의 모델을 무단 도용 및 수정한 아바타를 사용하면서 불거졌던 논란.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2080433|#]] [[https://archive.md/TtHTW|@]] * [[김치만두번영택사스가]] = [[아우구스투스 글룹]] * [[노스페라투 호드]] = [[DC 코믹스]]의 [[샤잠]] * [[도파민 박사]] = [[하프라이프]]의 [[과학자(하프라이프 시리즈)|과학자 NPC]] *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뢴트게늄]] = [[조커(2019)]]의 [[아서 플렉]] * [[비밀소녀]] = [[천사소녀 네티]]의 [[하네오카 메이미]] * [[비즈니스킴]] = [[파이널 판타지 7]]의 [[세피로스]] * [[새우튀김(인터넷 방송인)|새우튀김]] = [[하프라이프]]의 [[과학자(하프라이프 시리즈)|과학자 NPC]] * [[카르나르 융터르]] = 배우 [[니콜라스 케이지]] * [[캘리칼리 데이비슨]] =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에드워드 리히토펜]] * [[바이터(인터넷 방송인)|프리터]] = [[드래곤볼]]의 [[프리저]] * [[히키킹]] = [[귀멸의 칼날]]의 [[젠이츠]] * [[하쿠0089]] = [[하츠네 미쿠]][* 미쿠를 모티브로 한 [[카게로우 프로젝트]]의 [[에네]]의 요소도 섞여 있다.] * [[RUSUK|해루석]] = 얼굴은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문앙(진삼국무쌍)|문앙]], 의상은 [[심즈 4]] 위의 경우처럼 실존 인물의 초상권이나 인기 캐릭터 모델 무단 도용, 표절 등 저작권과 관련해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저작권 문제가 제시된 후 현재는 모든 아바타가 변경되었다고는 하나, 아바타를 수정하기 전 까지는 계속해서 저작권을 위반한 상태로 활동을 해왔었다. 또, 수정후 아바타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디자인만 유지한채 모델링만 직접 다시한 거라 디자인 적으로 여전히 원본 아바타를 베꼈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렵다. 결정적인 원인으로는 '고정 멤버'라는 콘텐츠가 [[VRChat|VR챗]]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시청자들이 VR챗 내에서 전시 중인 아바타로 하나의 컨셉을 만들어서 오디션을 보게 된다는 것이다. VR챗에 전시된 무료 아바타들 중 대부분의 아바타가 실존인물이나 게임, 애니메이션에서 따오는 등 저작권을 지키지 않은 아바타들이 많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구매 후 개변한 아바타가 아닌 이상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는 기풍이 있다. 이런 정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유저들은 해당 아바타 사용이 문제됨을 모르고 사용하고 있으며 고정 멤버들 또한 이러한 아바타들을 출처도 모른 채로 쓴 것이 시발점이 되었다. 또한 처음에는 수익성을 노리고 기획한 콘텐츠가 아닌 단순 시참을 위해 재미로 기획한 것이었고 왁타버스 콘텐츠가 우왁굳 방송 내부에서만 사용되었을 때 대부분은 해당 아바타가 어떤 인물인지, 어느 게임에서 나왔는지조차 인지가 안 됐을 정도로 무지하였다. 그러나 고멤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된 [[이세계아이돌]]이 대외적으로 성공을 거둔 것을 시작으로 [[왁타버스/콘텐츠/고멤 가요제|고멤 가요제]]나 커버곡 등 왁타버스 콘텐츠가 점점 커지고 네이버 OGQ마켓에서 고멤을 소재로 한 이모티콘을 만들며 판매하는 등 수익화까지 하면서 원래부터 패러디의 영역으로 원작 아바타가 인지되어 있었던 [[프리터]] 이외의 다른 고멤 아바타들도 논란이 생겼다. 이후 왁타버스가 확장되면서 고멤들이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순차적으로 아바타를 변경하였고 고멤 하드코어 오디션부터 확실하게 저작권 문제가 없는 아바타만 신청을 받으며 현재는 고멤과 관련된 아바타들은 저작권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 다만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저작권 관련 논란]]이 다시금 대두되자, 팬덤과 우왁굳 본인의 저작권에 관한 인식이 빈약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 또한 있다. [[하쿠0089]]는 아바타 문제 외에도 하쿠 커버곡을 제작한 작업자가 불법 추출하여 만든 댄스 모션과 연출 파일을 사용하여 [[하쿠0089 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을 일으키며 문제가 되었다. 이후 해당 논란이 불거지자 활동 정지 이후 저작권 분쟁의 소지가 있는 아바타를 교체하는 한편, 문제가 된 해당 영상은 현재 내려갔다. 또한 하쿠티콘이라는 이모티콘을 제작해서 판매를 하였고 은행 광고도 진행하였다. [[https://www.fmkorea.com/best/8532344967|#]] [[캘리칼리 데이비슨]]의 경우 원본부터 명백히 [[에드워드 리히토펜]]의 도용으로 시작했는데 이를 모티브로 한 [[https://ogqmarket.naver.com/artworks/sticker/detail?artworkId=607ea021cd245|캘칼티콘]]이라는 것을 네이버 OGQ마켓에서 판매하고 있었던 것이 [[콜오브듀티 모던워페어 마이너 갤러리]] 유저들에 의해 드러났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od&no=920047|#]][* 캘칼티콘 출시 당시에는 에드워드 리히토펜의 저작권을 인식한 건지 얼굴이나 복장 등을 바꾼 아바타를 사용했으나 이마저도 모티브나 전체적인 외형은 에드워드 리히토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상태였다.] 거대 게임사인 [[액티비전]]과 모회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오피스를 만든 회사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에게도 어그로를 끈 셈으로 이미 모던워페어 갤러리 유저들은 블리자드 코리아에 이것을 제보하기 시작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od&no=920090|#]] 추가로 상기되었듯 얼굴은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문앙(진삼국무쌍)|문앙]], 의상은 [[심즈 4]]을 따온 [[RUSUK|해루석]]을 주제로한 '루석티콘'을 판매하였는데, 엄연히 얼굴부터 의상까지 타 캐릭터를 도용한 아바타를 상업적으로 판매했다는 말이 된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339793|#]]([[https://archive.is/DoF36|a]]) 결국 네이버측에서도 인지를 하여 자체조사에 들어간다고 한다.[[https://www.fmkorea.com/854934683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