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본 문서 리다이렉트 중, "오스트리아 헝가리",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오헝", "오헝 제국", "이중 제국", "헝가리-오스트리아 제국"을 존치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중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오헝제국"을 삭제한다.
"삼중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제국" 등의 문단 리다이렉트 또한 존치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인구 및 민족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100%><nopad> [[파일:오헝 언어 분포.png|width=100%]] || ||<bgcolor=#E11423,#E11423> {{{#fff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언어 분포'''}}}[* 갈리치아에서 [[루테니아어]]가 루테시아어로 오타가 나 있다.]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100%><nopad> [[파일:Greater_austria_ethnic (1).svg|width=100%]] || ||<bgcolor=#E11423,#E11423> {{{#fff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민족 구성'''}}} || [include(틀:오스트리아-헝가리 민족 구성)] 위 지도는 미국의 지리학자인 윌리엄 R. 셰퍼드 박사가 1911년에 작성한 지도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개략적인 인구분포를 표현하고 있다.[* 실제 제국 내 언어사용자 분포는 위 지도보다 더 복잡했다. 특히 헝가리 왕국 남부 [[보이보디나 공국|보이보디나와 바나트]] 지역은 예나 지금이나 마을 단위로 서로 다른 민족이 뒤섞였다.] 이중제국의 마지막 인구통계인 1910년 자료에 따르면 이중제국 전체의 인구는 총 5,139만 223명이었다. 오스트리아 제국([[시스라이타니아]])에 2,857만 1,934명이, 크로아티아와 헝가리([[트란스라이타니아]])에 2,088만 6,487명이 거주했다. 공동통치령인 보스니아에는 189만 8,044명[* 보스니아 인구의 96%는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였다.]이 거주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인구통계 조사에서 '''민족'''이 아닌 [[모어]] 또는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조사했다. 즉 통계자료는 엄밀하게 말하면 민족 분포가 아닌 언어 분포인 셈. 따라서 인구통계에는 어느 정도 누락되는 정보가 존재했다. 왜냐하면 민족적 정체성이 아닌 언어 사용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이다. 가령 같은 기간인 1910년 인구통계의 종교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중제국 인구의 약 4.4% 가량인 220만 명에 달하는 주민들이 [[유대인]]([[유대교]] 신자)이었다.[* 참고로 이웃한 [[독일 제국]]에서 유대인은 인구의 1.2% 정도 되었다.] 제국내 유대인 대부분은 [[이디시어]]가 모어였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대개 도회지에 거주하여 도시에 거주하는 다른 독일인이나 헝가리인과의 교류도 활발했다. 또한 사회에서 중산층 이상을 형성하고 있어 교육수준도 높은 편이었다. 때문에 유대인 중에는 당대 주류언어라 할 수 있는 독일어나 헝가리어 구사가 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인구통계에서 '유대인'은 대부분 독일어나 헝가리어 화자로 집계되었다. 또다른 예시로 훗날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민족분쟁의 비극으로 널리 알려지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지역 역시 위 지도에서는 단일한 [[세르보크로아트어]] 사용 지역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유대인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서도 종교조사 통계자료로 당대 인구조성을 가늠해 볼 수 있기도 하다.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100%><nopad> [[파일:오헝 민족분포(발칸).webp|width=100%]] || ||<bgcolor=#E11423,#E11423> {{{#fff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민족 구성'''}}}[*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들을 크로아티아인,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으로 분리한 지도이다. 또한 이탈리아계에서 [[라딘어]]와 [[프리울리어]] 화자들 또한 분리하였다.] ||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에 대한 인구조사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간에 다소간 차이가 존재한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주로 달마티아 왕국에 거주하는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모두가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로 조사되었다. 반면 헝가리 왕국 및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인구조사에서는 [[남슬라브]]어 및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들을 상당히 세세하게 분류했다. 헝가리 내에서는 세르비아어 사용자와 크로아티아어 사용자를 구분했음은 물론, 왕국 내 거주하는 남슬라브의 군소 하위민족집단들도 별도로 집계되었다. 이런 민족집단들은 주로 당시 헝가리 왕국 남부지역, 오늘날의 보이보디나와 바나트 등지에 주로 거주 중이었다. 헝가리 왕국이 조사한 기타 왕국내 남슬라브어 사용주민들로는 부녜브치인(Bunjevci)[* 대부분이 오늘날 세르비아 공화국 [[보이보디나 자치주]] 북부지역, [[수보티차]] 시와 그 인근에 분포하고 일부는 헝가리에도 거주 중이다. 오스만의 침공을 피해 헤르체고비나와 달마티아 지역에서부터 이주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헝가리 왕국의 조사에서 이들은 '가톨릭 세르비아인', '달마티아인', '일리리아인' 등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스스로의 정체성을 부녜브치보다는 크로아티아인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많다.], 쇼크치인(Šokci)[* 오늘날 크로아티아 동부 및 헝가리 남부 버러녀주, 보이보디나 일대에 거주. 부녜브치인과 마찬가지로 원래 보스니아에 거주했다가 오스만의 침공을 피해 크로아티아 동부 슬라보니아 지역과 그 일대에 이주했다고 추정한다.], 크라쇼바니인(Krashovani)[* 오늘날 루마니아 서부 바나트 지역에 거주.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접경지대에서 사용하는 토를라크(Torlak) 방언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주로 가톨릭 신도들이다. 오늘날 대부분은 역시 대부분은 스스로를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하고 크라쇼바니인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계 연합이라는 정당을 통해 루마니아 내 다른 소수민족 정치집단들과 연대하여 루마니아 국회에 참여하고 있다.], [[불가리아인#바나트 불가리아인|바나트 불가리아인]][* 오늘날 루마니아 서부 바나트 지역에 거주.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언어는 불가리아어 하위분파인 바나트 불가리어를 사용한다. 독특하게도 대부분이 [[불가리아 정교회]]가 아닌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 등이 있다. 제국의 신민 절반 이상은 슬라브인들이었지만, 이중 제국 내에서 슬라브 정치인들은 크게 소외되었다.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슬로바키아인들은 자신들이 1848년 헝가리인들의 반란으로부터 합스부르크 왕가를 구했음에도 버림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헝가리 왕국에 귀속된 크로아티아인들과 세르비아인들, 슬로바키아인들은 자신들이 사면 받은 헝가리 반란군의 수정에 놓이게 되었다는 식으로 불만을 터트렸다. 이중 제국 내에서 오스트리아 측은 슬라브 소수민족들의 민족주의를 무시/방임하는 정책을 취했으나, 헝가리 왕국은 슬라브인과 루마니아인들을 헝가리인으로 완전 동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여 상당한 반발을 초래하였다. 헝가리 왕국 내 슬라브인 중에서는 중세 동군연합 사례로 거슬러올라가는 크로아티아인만 일정 수준 이상의 민족 자치를 누릴 수 있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