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야인시대/합성물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SBS]]의 드라마 [[야인시대]]를 소스로 하여 만들어진 [[2차 창작]] 패러디 합성 및 창작물을 통칭하며, 2008년에 본격적인 역주행으로 큰 유행을 맞은 [[심영(야인시대)|심영]]을 중심적으로 합성물이 생산되었기에 '심영물'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단, 근래에는 심영이 빠지고 김두한 등등만이 나오거나, 아예 1부 등장인물만이 나오는 합성물도 있으므로 전부 '심영물'로 합쳐 부르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야인물' 이라고도 불린다.] 한국 인터넷 문화에 있어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롱런하고 있는 밈'''으로 명성이 높다.[* 이에 비견할 만한 역사를 가진 합성물로는 [[고인드립/사례/대한민국 대통령/노무현|노무현 관련 합성]]이 있으나, 노무현 대통령 사후엔 [[고인드립]]이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지라 철저히 음지 쪽 밈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심영물은 숱한 광고 및 국가기관 홍보에도 이용될 정도로 일반인들의 거부감이 덜한 편이라 양지에서도 활발하게 흥하고 있다.] 야인시대 합성물로서의 최초는 방영 당시였던 2002년에 [[개고기 김]]과 [[미와 와사부로(야인시대)|미와 경부]] 등이었다. 이때는 영상이 아닌 사진 합성이 주를 이뤘으며, 당시 나온 합성 사진으로는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43555|야윈시대]]나 [[http://m.blog.daum.net/moocprios/1506947|YA인시대]] 등이 있다. 당시에는 야인시대 64화와 65화만을 주목하지 않고 말 그대로 야인시대 드라마 자체에 주목했기 때문. 이때까지 심영이라는 존재는 기사를 쓰는 기자들만 간간히 아는 정도였으나 2003년 야인시대 방영 이후 2006년에 당시 국내에서 유명했던 동영상 사이트인 판도라 TV와 엠엔캐스트 등지에 심영의 출연장면, 정확히는 심영이 병원침대 위에서 "고자라니!"라고 울부짖는 짧은 클립이 올라온다. 그리고 이는 인터넷 일부에서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던 것으로 추정된다. 덕분에 '야인시대 합성물'보다는 '심영물'이라는 단어가 더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고 이 합성물에서 심영은 등장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주연급 인물이다. 그리고 2006년 가을 무렵, 그 사이트들을 중심으로 일부 패러디가 등장했던 증거가 남아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http://uncyclopedia.kr/wiki/%ED%8C%8C%EC%9D%BC:Impotent.MP3|고자송(링크는 백괴사전)]]([[https://web.archive.org/web/20190805143835/https://uncyclopedia.kr/wiki/파일:Impotent.MP3|아카이브]])이며, 그 외에도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오프닝과 합성한 [[https://youtu.be/KoqMEOSXfEY|김두한이 한 남자의 인생을 망쳤습니다]]가 있었던 것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 시대의 사람들은 [[내가 고자라니|고자가 되어]] 울부짖는 인물이 누구인지도 전혀 몰랐거나 잊어버렸기 때문에 [[심영(야인시대)|이 사람]]을 '고자라니' 혹은 '김고자' 등으로 불렀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 클립은 디시인사이드의 WOW 갤러리 등에 수출되어 약간의 인기를 끌었으며, 원본 음성 파일과 다양한 분위기의 음악 파일을 동시에 재생하는 것으로 대사의 분위기를 바꾸는 형태의 유머가 종종 올라왔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이 아마 와갤의 유명한 유머 중 하나인 [[고자되기]] 드립과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이후 심영물의 모태가 된다. 참고로 웹상에서 검색 가능한 페이지의 가장 오래된 게시 날짜는 [[http://www.boom4u.net/lyrics/view.php?id=10H32A1DF63EE|2006년 10월 16일 내가 고자라니 remix]]이다. 하지만 제대로 히트를 치기 시작한 시점은 [[합필갤]]에서 [[빠삐놈]]이 대박을 터뜨리고 단물이 빠져 새로운 소스에 목말라 있을 때쯤, 어느 사이트에서 그 유명한 심영이 병상에 누워 '내가 고자라니!' 라고 외치는 동영상이 알려진 때였다. 당시 빠삐놈 열풍으로 인해 "나도 직접 만들어 보고 싶다" 는 이유로 영상/음성 편집 프로그램 다루는 사람이 늘어난 것도 있고 하니 제대로 유행한 시점은 대략 빠삐놈 이후라고 할 수 있으며 이 2008년 고자 붐의 시작을 알린 작품은 [[http://gall.dcinside.com/list.php?id=composition_dc&no=64509&page=5|대고자]]라고 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R46qyAExsY|원본 음성 듣기]], 영상과는 관련이 없음) 이후 수많은 기막힌 센스의 음원 합성과 사진 합성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인간 관악기]]로서의 자리를 굳히게 된다. UngMan, 벙커늘보_Sloth, Sonnyc, Retions 등의 유명 제작자들의 영상에 팬들이 [[유튜브]] 자막을 걸어놓기도 하는데 자막이 [[한국어]]와 [[영어]]는 기본이고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독일어]], [[스웨덴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자막을 걸어 놓은 영상도 간혹 있다. 합성물들이 으레 그렇듯 비슷한 발음들을 엮어서 대충 퉁치고 넘어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한국어 조교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자막이 필수적이다. 이 자막들에는 묘한 요소가 숨어있는데, '곧'이라는 단어는 '곶'으로 치환하는 경우가 많고, '하필'은 '합필'로 치환하는 경우가 많다. 전자는 당연히 고자를 의미하는 치환이고, 후자는 심영물의 기원이 '합필'갤이라서 생긴 요소이다. 물론 합필갤 출신이여도 그런 치환을 쓰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합필갤 출신이 아님에도 합필갤발 영상에 영향을 받아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사용 여부만으로 합필갤 출신 여부를 가릴 수는 없다. 하여튼간에 이 자막 덕분에 청각장애인이라도 심영물을 시청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2018년 12월 일부 심영물들이 저작권 침해로 신고해 일부 심영물들이 비공개 및 삭제 처리되었었다. 배우분들이 클레임을 건 것은 아니지만[* 심영 역을 맡았던 김영인 씨는 심영물이 쏟아져나오는 현상을 응원을 했다.] 저작권이 문제가 된거로 보인다. 자세한 사항은 [[야인시대 2차 창작물 저작권 위반 논란]] 참조. 이후 SBS가 차단을 해제해주기 시작하면서 한동안 소강되기도 했으나, 2020년 7월에 유튜브 저작권 강화로 인해 SBS가 직접 다시 차단을 일으키고 이의제기를 강경하게 거부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 후 한동안 차단이 사그라들었다가 2025년 7월 원인 불명의 3차 차단이 발생하여 야인시대 합성물은 빨간불이 켜져서 이대로 가다간 완전히 몰락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