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프가니스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자연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width=47.8%><nopad>[[파일:Internet_20220215_210333_2.jpg|width=100%]]||<nopad>[[파일:Internet_20220215_210333_3.jpg|width=100%]]|| 위 지도처럼 국토 전역에 걸쳐 광역 히말라야 산맥에 속하는 산맥이 가로지르고 있기 때문에 국토의 대부분이 [[고산]] 지대이자 메마른 지역이다. 아프가니스탄은 넓은 영토와 지역별 고도의 차이로 인해 기후의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은데 아프가니스탄의 지형은 [[동고서저]] 또는 북고남저이므로 [[카불]]이 있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역이 고도가 가장 높다. 그렇기 때문에 고도가 높은 북동부 산악지역은 [[고지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 고지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은 많지 않은데 이를 볼 수 있는 곳 중 한 곳이 아프가니스탄이다. 그 북동부 지역에서도 고도가 가장 높고 7,000m의 고봉이 밀집해 있는 바다흐샨주 [[와칸 회랑]]의 고산지대에서는 [[툰드라]] 기후마저 나타난다. 반면 [[칸다하르]]가 있는 남부 또는 [[헤라트]]가 있는 서부의 저지대는 대부분 사막으로 여름에는 기온이 무섭도록 치솟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높은 고도로 인해 아프가니스탄보다 위도가 높은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보다 국토 평균기온이 낮은 국가다. 기후는 주로 건조하고 연교차와 일교차가 크며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탁한 공기로 인해 호흡기 질환 등이 자주 유행하는 편이다. 해발 1,791m의 고지에 있는 [[카불]]은 1월 평균기온 -2.3℃, 7월 평균기온 23.7℃에 연강수량은 312mm[* 강수량은 비교적 겨울과 봄에 많은 편이다.]이다. 겨울에는 [[서울]]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가끔 영하 20도 이하도 기록되기도 한다. 이는 여름도 마찬가지로 평균기온은 서울보다 약간 시원하나 40°C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카불의 역대 최저기온은 -26.2°C다. 산이 많고 국가 자체의 면적도 넓은지라 기온 편차가 꽤 큰데 중부 산지의 차그차란(چغچران, Chaghcharan)은 1월 평균기온이 -9.4℃로 [[모스크바]](-6.5℃)보다도 더 춥고 심지어 -46°C가 기록된 적도 있다. 반면 서부 사막 지대에 있는 자란지(زرنج, Zaranj)는 7월 평균기온은 35.0℃로 미국의 [[피닉스]](34.9℃)와 비슷한 수준이며 가장 높게는 영상 51℃까지 기록된 바 있다. 공식 기록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2009년 8월 파라(فراه, Farah)에서 기록된 49.9℃이고 최저 기온은 1964년 1월 샤흐라크(شهرک, Shahrak)에서 기록된 -52.2℃라고 한다. 아프가니스탄 전역은 힌두쿠시의 높고 척박한 산들과 복잡한 지형 때문에 외지인은 물론 탈레반조차 접근하기 쉽지 않은데 2002년 1월 한국군 소속으로 유엔 평화유지군으로 아프가니스탄으로 간 채수문 예비역 [[대령]](당시 [[중령]])이 파견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힌두쿠시 산맥]]을 지나며 본 풍경에 대해 말하길 '이 전쟁을 [[미국]]이 이긴다는 소리가 엄청나게 많았지만 높고 복잡한 산들만 봐도 쏙 들어간다. 힌두쿠시라는 이름부터가 '''힌두교인들이 죽어간 무덤'''이라는 뜻이다. 종종 인도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납치된 힌두교인들이 이동 과정 중 힌두쿠시 산맥에서 얼어죽는 경우가 많아 붙은 이름이다. 첨단 장비로 무장한 현대 미군조차 위성장치를 비롯한 장비들이 이 산과 고원 지대에 올라가면 먹통이 되는 관계로 이곳에 대대로 살던 지역민들이 없다면 들어가지도 못하는 곳이다.' 라고 했다고 한다. 실화 기반 영화 [[론 서바이버]]에서 주인공 일행이 '''전화 한방을 못 때려서 그 생고생을 하다 겨우 한명만 살아남기도 했다.''' 그러니까 [[장갑차]]나 [[전차]] 등 차량은 절대로 못 들어간다. 험난한 산악길을 오로지 [[헬리콥터]]만 타고 이동해야 하는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특이한 일도 있었다. 예전에 [[미군]]은 지도 없이 이 근방을 [[헬리콥터]]로 이동하게 되었는데 도중에 한 마을과 마주쳤다. 그러자 마을에선 난리가 벌어졌다고 한다. [[헬리콥터]]가 착륙하자 총을 쏴댔는데 미군도 대응하려고 보니 총들이 그야말로 [[골동품]]인 [[20세기]] 초반에 쓰던 총이었고 살의보단 경계로 쏴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현지인 통역을 통하여 설득하고 보니 이 마을은 이방인이 온지 수십여 년이 넘었으며 [[전기]]도 [[탈레반]]이 뭔지도 모르는 마을이었으니 헬리콥터도 [[자동차]]도 아예 몰랐다고 한다. 그만큼 척박한 곳이라서 사람들이 먹는 것은 듣도보도 못한 [[채소]]를 길러 먹거나 마을에 얼마 안 되는 [[가축]]을 아주 드물게 먹는 수준이었고 당연히 [[통조림]]이나 인스턴트 음식은 신기하게 여겼다고 한다. 오랫동안 고립되었기 때문에 말도 꽤 다르게 변모해서인지 통역인도 한참 대화에 고생했다고 한다.(출처: [[김혜자]]의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2004년 출판)) 대개 [[파미르인]]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고립된 부족들은 다행히 탈레반의 폭정이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같은 참상은 겪지 않을 수 있었다고 한다. 힌두쿠시 산맥의 험준한 산악지형이 만들어낸 결과인지 몰라도 [[저격]]의 명소이기도 하다. [[베트남 전쟁]] 때 [[카를로스 헤스콕]]이 세운 세계 초장거리 저격 기록은 한동안의 긴 공백 끝에 아프가니스탄에서 4번이나 깨졌다. [[맥밀런 TAC-50]]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한 전투에 두 번, 이후 또 저격 기록을 갱신 및 1위를 다시 차지했고 [[Arctic Warfare|L115A3]]도 기록하는 등 진짜 저격의 명소인가 싶다. 아닌 게 아니라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때 [[AK-74]]로 무장한 [[소련군]]들을 [[무자헤딘]] 전사들은 구식 [[리-엔필드]] 소총으로 800m 이상의 거리에서 저격함으로써 불리한 화력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의 사기를 크게 꺾어다. 워낙 험준한 고산 지대라 대규모 화력은 이동시키기도 어렵고 체력 안배도 쉽지 않은 곳인지라 자연히 저격수들에 의해 아프가니스탄은 소련군의 무덤이 되었다. 이에 [[소련]]은 고심 끝에 [[스페츠나츠]] 저격수를 3배나 늘리고 민간인 마을에 마구 보복하는 등 갖은 수를 썼지만 국제 여론까지 악화되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무자헤딘 측은 소련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현재 저격 최장거리 기록도 저격수의 이름이 밝혀진 기록에 한해서는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아프가니스탄에서 만들어진 기록인데 현재 1위 기록(3,450m)은 현역 복무중인 특수부대 [[JTF-2]] 소속이라 신상이 비공개이기 때문이다.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시기에 활약한 머스킷인 [[제자일]]이 만들어진 곳으로도 유명하다. 아프가니스탄은 지역마다 고도와 기후가 다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자연경관도 다르다. ||<tablealign=center><bgcolor=#919191,#000>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방 사진 (판지시르, 누리스탄, 바다흐샨)'''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dth=50%> [[파일:Nuristan Afghanistan.jpeg.jpg|width=100%]] ||<width=50%> [[파일:AbbeyPhil10A.jpg|width=100%]] || || [[파일:Stream_in_Nuristan_province.jpg|width=100%]] || [[파일:main-qimg-498237ab432e203d3a83fd15eca98510-lq.jpeg.jpg|width=100%]] || || [[파일:93781426_2206573769497866_5303930305822851072_n.jpg|width=100%]] || [[파일:Panoramio is no longer available.jpeg.jpg|width=100%]] || || [[파일:Hindu-Kush-Afghanistan-Wakhan-Corridor-cr-getty.jpg|width=100%]] ||}}}}}}}}} || 우선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방은 평균고도가 4,000~5,000m 정도로 매우 높고 험준하다. 그 중에서도 누리스탄주와 바다흐샨주는 평균고도가 6,000m 정도고 해발고도 7,000m가 넘는 고봉들도 밀집해 있으며 해발고도 7,491m로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높은 산인 [[노샤크 산]]도 이 지방에 있다.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방은 메마르고 건조한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얼마 되지 않는 풍요로운 지역이다. 반 탈레반 저항군이 활동하고 있는 [[판지시르]]주의 수도 [[바자라크]]만 봐도 그렇다. 아무튼 이 지역은 높고 험준한 산악지형이 외부의 적들을 차단하고 그 안쪽의 분지지형은 물이 많고 토질이 좋아 농작물이 잘 자라고 광물자원도 풍부해서 천연의 요새 역할을 한다. 내륙 및 고산기후로 인한 큰 일교차와 혹독한 겨울과 고산병만 제외하면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이다. 일반적으로 북동부 지방에는 타지크족이 가장 많이 산다. 예외적으로 라그만주, 쿠나르주에는 파슈툰족이 많으며 누리스탄주에는 누리스탄족이 많다. [[바다흐샨]], 타하르, [[바글란]], [[판지시르]], [[파르완]], [[카피사]], [[라그만]], [[누리스탄]], 쿠나르, [[카불]]주가 북동부 지방에 위치해 있다. ||<tablealign=center><bgcolor=#919191,#000>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방 사진 (발흐, 쿤두즈, 파르야브, 바그디스)'''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dth=50%> [[파일:istockphoto-485545812-612x612.jpg|width=100%]] ||<width=50%> [[파일:Northwestern_Afghanistan.jpg|width=100%]] || || [[파일:Mountains_and_River_in_Faryab_province.jpg|width=100%]] || [[파일:12489945.jpg|width=100%]] || || [[파일:gettyimages-102515197-612x612.jpg|width=100%]] || [[파일:Nomads_in_Badghis_Province.jpg|width=100%]] || || [[파일:Afghanistan Kunduz Province.jpeg.jpg|width=100%]] ||}}}}}}}}} || 다음은 아프가니스탄 북부 또는 북서부 지방인데 북동부, 동부 지역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서 풍요로운 지역이다. 이 지역의 평균고도는 300m 정도로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가장 낮다. 특히 쿤두즈, 발흐, 자우즈잔 주의 고도는 200m 안팎으로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압도적으로 낮다. 일반적으로 북부 지방에는 타지크족이 가장 많이 산다. 예외적으로 자우즈잔주와 파르야브주는 각각 투르크멘족과 우즈벡족의 비율이 더 높다. [[쿤두즈]], [[발흐]], 자우즈잔, 파르야브, 바드기스주가 북부 또는 북서부 지방에 위치해 있다. ||<tablealign=center><bgcolor=#919191,#000> '''아프가니스탄 중부 지방 사진 (바미얀, 고르, 다이쿤디)'''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dth=5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fghanistan_18.jpg|width=100%]] ||<width=50%> [[파일:istockphoto-511020530-612x612.jpg|width=100%]] || || [[파일:modphoto2.jpg|width=100%]] || [[파일:afghan-ski-valley-Where_the_Light_Shines_001.jpg|width=100%]] || || [[파일:depositphotos_356873064-stock-photo-chaghcharan-minaret-jam-ghor-province.jpg|width=100%]] || [[파일:Jam_afghan_architecture_harirud_brick.jpg|width=100%]] || || [[파일:abalvdq1rte41.jpg|width=100%]] ||[[파일:코흐 바바.jpg|width=100%]]||}}}}}}}}} || 다음은 아프가니스탄 중부지방인데 이 지역의 평균 고도는 30,00~4,000m로 고도가 높고 해발고도 5,000m의 고봉들이 밀집해 있다. 고도가 높은 만큼 여름에는 선선하고 겨울에는 춥다. 여느 아프가니스탄의 지역처럼 메마르고 건조하다. 일반적으로 중부지방에는 타지크족과 하자르족이 많으며 예외로 마이단와르다크주와 우르즈간주는 파슈툰족이 타지크족과 하자르족보다 많다. [[바미안]], [[고르]], 다이쿤디, 우르즈간, 사르이풀, 사망간, 마이단와르다크주가 중부 지방에 있다. ||<tablealign=center><bgcolor=#919191,#000> '''아프가니스탄 동부 지방 사진 (낭가르하르,파크티카, 자불, 가즈니)'''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dth=50%> [[파일:Afghanistan Nangarhār .jpg|width=100%]] ||<width=50%> [[파일:Afghanistan Nangarhar Province .jpg|width=100%]] || || [[파일:Battle-continues-between-Taliban-and-Daesh-in-Khogyani-district-of-Nangarhar-province-e1509256544185.jpg|width=100%]] || [[파일:Paktia province.jpeg.jpg|width=100%]] || || [[파일:1620803_762386153868508_1928231865396690779_n.jpg|width=100%]] || [[파일:amrc_198905_cna_00604_011.jpg|width=100%]] || || [[파일:Ghazni_province_in_April_2010.jpg|width=100%]] ||}}}}}}}}} || 다음은 아프가니스탄 동부인데 이 지역은 평균고도는 1500~2000m 정도이며 중간 높이의 산과 구름이 많다. 북동부 지방과 더불어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물이 풍부하고 땅이 비옥한 지역이다. 이 지역도 북동부 지방과 더불어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살만한 지역이다. 일반적으로 동부에는 파슈툰족이 가장 많다. 예외로 가즈니주는 하자르족도 파슈툰족만큼 많으며 로가르주도 타지크족이 파슈툰족보다 더 많다. [[낭가르하르]], 로가르, 팍티야, [[호스트]], 팍티카, [[가즈니]], [[자불]]주가 동부지방에 있다. ||<tablealign=center><bgcolor=#919191,#000> '''아프가니스탄 남부 지방 사진 (칸다하르, 헬만드, 님루즈)'''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dth=50%> [[파일:Afghanistan Kandahar.jpg|width=100%]] ||<width=50%> [[파일:Aerial_view_of_a_section_of_Kandahar_in_2013.jpg|width=100%]] || || [[파일:istockphoto-184838562-612x612.jpg|width=100%]] || [[파일:Aerial_photograph_of_Helmand_River_at_Gereshk_in_2011.jpg|width=100%]] || || [[파일:07HELMAND-superJumbo.jpg|width=100%]] || [[파일:istockphoto-460454219-612x612.jpg|width=100%]] || || [[파일:f4IlYl1mIxdEBwiBzFeHe-3hGWisBVAWaxoow4Wdq4M.jpg|width=100%]] ||}}}}}}}}} || 다음은 남부인데 이 지역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덥고 건조하고 메마른 지역이며 평균고도는 1,000m 정도며 낮은 산과 구릉이 많다. 일반적으로 남부에는 파슈툰족이 가장 많은데 예외로 님루즈주는 발로치족이 50% 를 차지한다. ||<tablealign=center><bgcolor=#919191,#000> '''아프가니스탄 서부 지방 사진 (헤라트, 파라)''' || ||<bgcolor=#DCDCDC,#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dth=50%> [[파일:istockphoto-490861118-612x612.jpg|width=100%]] ||<width=50%> [[파일:Herat_province_landscape_and_settlement.jpg|width=100%]] || || [[파일:View_from_a_Chinook_near_Bala_Murghab,_Herat,_Afghanistan.jpg|width=100%]] || [[파일:harirud-river-trees-near-chisht-e-sharif-herat-province-afghanistan-hari-river-harirud-near-chisht-e-sharif-164031609.jpg|width=100%]] || || [[파일:Section-Farah-River-Afghanistan.webp|width=100%]] || [[파일:Places-to-Visit-in-Farah.webp|width=100%]] || || [[파일:Farah-River-Shores.webp|width=100%]] ||}}}}}}}}} || 다음은 서부지방인데 남부 못지 않게 덥고 건조하다. 평균 고도는 1,000~1,500m 사이다. 서부지방에는 2개의 주밖에 없는데 바로 [[헤라트]]와 [[파라]]다. 이 2개 주의 인종 구성이 서로 다른데 헤라트는 타지크족이 많은 반면 파라는 파슈툰인이 많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49586|참고자료(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