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이마스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20년 ~ 2024년 === 2020년은 아이돌 마스터가 서비스를 개시한지 15주년에 돌입하는 경사스런 한 해. 갑작스레 대두된 전세계적 코로나 범유행의 위기로 시리즈 전체에 영향이 있었지만 각 프로젝트별로 예정됐던 주년 라이브들은 물론, 15주년을 맞이해 아이돌 마스터 사상 처음으로 내한행사가 이루어졌다. 동년 6월,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의 주년을 겸한 특별 방송에서 그간 팬들이 염원하다 못해 일부는 달관하던 영역까지 도달했던 [[밀리애니|애니메이션화]]가 갑작스레 공개되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 건네진 크나큰 선물이자 한 줄기 위로로 다가왔다. 이전까지 아이돌 마스터의 애니메이션을 전담제작했던 [[A-1 Pictures]]와의 협업관계가 끝났기 때문에, 밀리언 라이브의 애니메이션만큼은 궤를 달리해 완전 3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동년 9월 17일, 디렉터 사카가미 요조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아이돌 마스터의 수입은 6백억엔 이라고 발표하였다. [[https://xtrend.nikkei.com/atcl/contents/watch/00013/01137/|#]] 이후 진정한 의미의 아이돌마스터 시리즈 통합작인 [[아이돌 마스터 팝 링크스]]가 발표되어 본가부터 샤니까지를 포함한 모든 프로듀서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받았다. 다행히 2021년 말에 발매된 스탈릿 시즌은 본가, 데레마스, 밀리마스, 샤니마스를 아우르면서 신캐릭터인 [[오쿠조라 코하쿠]]와 [[아야(아이돌 마스터)|아야]]까지 잘 섞여들어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면서 침체되었던 본가 시리즈에 다시금 활기가 들어오게 되었고 제작진이 의도한대로 팬덤 교환도 어느 정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2020년대 초반의 추세를 보면 전반적으로 시리즈를 통합시키려는 의도가 강해지고 있다. 콜라보 유닛인 [[THE IDOLM@STER FIVE STARS!!!!!]]가 15주년 기념 [[なんどでも笑おう]]로 끝나지 않고 이듬해인 2021년에 신호등 외의 조합으로 [[VOY@GER]]가 나왔다는 점, 시리즈 통합의 의미가 강한 팝 링크스와 스탈릿 시즌이 연달아 출시되었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2022년들어 아이마스에 위기론이 돌기 시작했는데, 아이돌마스터 모바일 게임들의 매출 하락[* 그나마 [[사이스타]]는 신규런칭 보너스와 비교적 적은 경쟁작들 덕분에 매출이 굉장히 잘 나왔'''던''' 편이지만, 요즘 아이돌물 게임에 거의 필수로 나오는 3D 모델링도 없고, 부족한 커뮤량과 콘텐츠로 인해 유저가 빠르게 줄어버렸다. 데레스테, 샤니마스는 지나친 한정 및 과금 유도, 핵과금 유저들도 따라오기 벅찬 파워 인플레이션,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 변화로 인한 팬덤 갈등으로 인해 유저 수가 상당수 줄어들었으며, 밀리시타 역시 어딘가 미묘한 퀄리티와 현질 이득이 별로 없다는 점으로 인해 매출이 높게 나오는 편이 아니다.]과 아이돌물임에도 OST의 스트리밍을 전혀 안해주는 상당히 보수적인 저작권 관리[* 제작진 입장에서는 스트리밍을 해봐야 돈도 얼마 안들어오고 팬덤 위주로 노래를 들을테니 어차피 수금할 거 확실하게 수금하자는 생각인지 음반으로만 발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스트리밍의 편리성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음악 한 번 좀 들어보려는 라이트 팬층의 진입 장벽만 높이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로 인해 기존 유저들은 아이마스를 떠나가고 신규 유저들은 아이마스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이 주된 근거이다. 거기에다 아이마스 시리즈가 처음 시작했던 2005년이나 9.18 사태를 딛고 애니마스와 모바마스로 다시 재기했던 2011년과 비교했을 때 경쟁자들이 너무나도 많이 늘어났는데다 아이돌물이라는 장르 자체도 전망이 어두운 상태인데, 특히 샤니마스 트와일가챠 사태와 포푸마스 서비스 종료 사태도 이러한 위기론에 불을 지피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더군다나 한국의 경우는 본가 콘솔 시리즈가 한국어화 되고 있는 점을 빼면 밀리시타의 글로벌 서비스 종료 이후 현재 한국에서 정식 서비스 중인 아이마스 모바일 게임이 없기 때문에 더욱 와닿는 부분이다. 이후 공식에서 아이마스 17주년을 기념해 진행되는 More Reality 프로젝트에서 마침내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의 음원들을 스트리밍할 것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위기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 11월 30일,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가 먼저 여러 스포티파이, 유튜브 뮤직, 애플 뮤직 등등 여러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음원 스트리밍을 시작했다. 이후 2022년 12월 2일에는 [[아이돌 마스터 SideM]], 2022년 12월 17일에는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12월 6일에 모든 스트리밍 사이트에 곡이 올라갔지만 전산 오류인 것으로 밝혀져 곡이 내려갔다.], 2022년 12월 28일에는 본가가 베스트 앨범을 기반으로 하여 풀버전으로 스트리밍을 시작했다. 하지만 2022년 11월 30일에 발표된 데레마스의 스트리밍 정책에 대해서 또다시 큰 논란이 터져버렸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앵커=2022년 11월 30일 게임 버전 스트리밍 사태)] 그나마 다행인 것은 크게 피해[* 765AS도 따지고 보면 대표 아티스트 표기가 신데렐라 걸즈와 마찬가지로 V.A.로 표기되고 수록곡이 베스트 앨범 기준이라 그 동안 쌓아온 곡들 중 상당수가 미수록 되었다. 대표적으로 연작 곡이 완벽히 수록되지 않고, 성우가 변경된 [[하기와라 유키호]]는 1과 2의 곡을 각각 반영하지 않는 등 풀버전이 풀렸다라는 것에서 비판의 의견이 적을 뿐이지 무성의한 건 신데렐라 걸즈와 마찬가지다.]를 입은 것은 어디까지나 신데렐라 걸즈이지, 나머지 작품들은 양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팬덤을 더욱 확충시켜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스트리밍 음원을 동시 발매하지 않고 CD앨범 발매후 1달뒤에 스트리밍으로 발매하는 차이는 존재한다. 2023년에는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모바게와 [[아이돌 마스터 SideM]] 모바게가 서비스 종료가 될 예정이기도 해서, 이로 인해 사실상 분가에서 100% 육성형 시리즈는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만 남게 되었고, 밀리언 라이브, 신데렐라 걸즈, SideM은 2023년이 되면 사실상 리듬 게임 형태로만 남게 됐다. 2022년 12월 [[https://youtu.be/zOlsez6Og0E|아이돌마스터 컨퍼런스]]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THE iDOLM@STER 2]]의 발매 이후 이후 12년동안 진행되었던 2nd vision을 종료하고 3.0 vision으로 넘어간다고 밝혔다. 3rd vision에서는 단순히 라이브 뿐만이 아닌 오프라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더욱 늘여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신규 프로젝트로 [[버츄얼 유튜버]]를 소재로한 [[vα-liv]](비아라이브)가 런칭됐다. 또한 2023년 2월, 시리즈 전체 통합 작품인 아케이드 게임 [[아이돌 마스터 투어즈]]가 공개되었고, 당해 여름에 로케테스트를 진행, 2024년에 정식출시될 예정이다. 또한 3.0 vison과 MOIW 2023을 기념하여 진행된 국내 게임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다시금 한국을 포함한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 [[https://gamefocus.co.kr/detail.php?number=138465|#]] 그러나 2023년 4월 이후[* 중역을 담당하던 [[사카가미 요조]]의 퇴임 영향도 있겠지만 이전부터 자리에서 물러날 생각이 있었다는 언급과 서드비전과 관련된 아이디어들이 이전부터 언급되었던 정황을 보아 얼마나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는지는 불확실하다.] 크게 흔들리는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는데, 연기에 연기를 거듭했던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애니메이션|밀리언 라이브 애니메이션]]과 달리 3월에 공개된 샤니애니가 초반부터 빠른 진척을 보여주고 있고 서로의 극장 방영과 TVA 방영의 일자가 겹치는 탓에 밀리 쪽을 지나치게 홀대한다는 비판이 불거졌다.[* 2023년 2분기에 방영되는 U149 애니부터 해서 동년 4분기에 밀리애니가 방영되고, 그 다음해 2분기에 샤니애니가 방영될 예정인데 여태까지 아이마스 시리즈에서 이렇게 짧은 텀을 두고 연달아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었던 적은 없었다. 제각기 다른 프로젝트인만큼 텀이 짧아질수록 앞서 방영된 애니메이션의 여운이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밖에 없는데, 특히 이 중에서도 밀리애니는 굉장히 오랫동안 연기되었기 때문에 비난의 목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다.] 또한 밀리애니와 샤니애니의 극장 선공개 방침 자체가 호불호가 갈리는 상황에서 밀리애니의 경우 3월에 가챠 형식으로 팔았던 무비 티켓을 불과 1달 후에 추가 구성을 더한 풀 세트를 7만엔 대에 파는 등 돈을 땡기겠다는 듯한 모습을 보여 비난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아이돌 마스터 SideM GROWING STARS]]의 서비스 종료설이 돌고 있었고 실제로 7월 31일자로 서비스 종료 계획이 발표되었다. 심지어 후속 조치조차도 이미 예정되어 있던 이벤트인 8th 라이브나 기존부터 계속 진행중이던 3D MV 제작말고는 추가적인 내용이 없는 등 내용이 매우 부실해 많은 비난을 받았으며, SideM이라는 브랜드 자체가 더 이상 지속 불가능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게 되었다.[* 게임 쪽은 [[아이돌 마스터 투어즈]]에서 SideM 캐릭터가 정식 가동 이후부터 나올 예정이지만 이쪽도 아케이드 게임 특성상 철저하게 내수용인 데다, 그마저도 전원이 등장한다는 보장도 없다.] 특히 그로잉 스타즈는 게임 운영에 들어가는 코스트는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월 매출 부분에서 시어터 데이즈, 샤이니 컬러즈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거나 오히려 앞서는 달도 존재했기 때문에, 밀리언 라이브, 샤이니 컬러즈와 같은 다른 브랜드 또한 결코 안전하지 않다는 불안감이 프로듀서들 사이에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매출과 충성도 자체는 확실히 높은 편이지만 [[Cygames]]와 지분을 나누고 있는 신데렐라 걸즈 또한 불안하긴 마찬가지이다.[* 당장 신데렐라 걸즈 역시 [[Cygames]]쪽 오리지널 IP 제작을 위해 인력 차출을 당한 일이 여러 번 있었다.] 이렇게 된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추측만 무성하지만, 아이마스 팀보다 위에 있는 반다이 남코 사업부의 간섭이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데 당장 위에 개시된 국내 인터뷰만 봐도 "아이마스에게 중요한 것은 게임." "아이마스는 앞으로도 기존에 다섯 브랜드에 더해 비아라이브와 함께 나아간다."처럼 해당 결정에 반대되는 내용들이 많았었는데 윗선의 개입으로 이러한 의견이 묵살당한 채 강제적으로 서비스 종료가 결정되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반다이남코가 최근들어 실적이 안나오는 모바일게임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하면서 사이스타 또한 그 희생양이 된 건가 하는 추측도 존재한다. 이 때문인지 신규 전개 예정인 [[아이돌 마스터 투어즈]]와 [[vα-liv]]의 여론 또한 좋지 않게 변했다. 특히 [[vα-liv]]의 경우 공개 당시부터 시리즈 자체의 근간을 흔드는 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었던 탓에 반감이 있었고, 위와 같은 일이 일어난 후엔 실시간 방송이란 특성상 분노한 프로듀서들이 채팅창을 어지럽히며 먹잇감으로 삼겠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아니나 다를까 [[vα-liv]] 공개 이후에 [[vα-liv]] 자체의 문제점 때문에 여론이 최악으로 변해버렸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α-liv, 앵커=비판 및 논란)] 그나마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애니메이션|신데렐라 걸즈 U149 애니]]와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애니메이션|밀리애니]]가 양호한 반응을 얻은 것이 위안거리다. 2023년 7월 25일, 18주년 기념 생방송에서 신규 브랜드가 런칭 될 예정임이 발표되었다. [[아이돌 마스터 SideM GROWING STARS|사이스타]]의 섭종과 [[vα-liv]]의 실패 때문에 여론이 안 좋아진 상황에서 신규 브랜드가 발표된 것이라 팬덤에서 의견이 갈리는데 있는 것도 제대로 못 챙기는 주제에 새로운 브랜드를 만든다는 비판과 신규 브랜드 런칭 자체는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옹호 측이 대립하고 있다. 2023년 12월 30일,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데레스테]]의 개발/운용 체제 변경이 발표되었다.[[https://twitter.com/imascg_stage/status/1740915749387215138|#]] 주요 내용으로는 신규 SS레어 출시 인원수 조정, 가챠를 통한 S레어 신규 출시 종료, 신곡 이벤트 개최 빈도를 월 1회로 축소, 신데렐라 캐러밴 이벤트를 통한 신규 S레어 출시 종료, 각종 컨텐츠 신규 출시 축소 등을 골자로 한다. 발표가 나온 이후 신데렐라 걸즈의 프로듀서뿐만 아니라 아이돌 마스터 내 타 브랜드 주력의 프로듀서들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공지 발표일 기준으로 데레스테는 서비스를 시작한지 만 8년 3개월이 지난 게임으로, 모바일 플랫폼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이미 상당히 롱런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여전히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 중에서는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게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 원인 또한 여러 가지 추측이 무성하지만, [[반다이 남코]]로부터 아이돌 마스터 IP를 빌려와 신데렐라 걸즈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Cygames]]의 모회사 [[CyberAgent]]의 경영 사정과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가장 자주 언급된다. CyberAgent의 운영 미스로 인한 경영 악화, 그리고 산하 여러 자회사들의 게임 부문 매출이 급전직하를 기록하고 있는데 대해 CyberAgent에서는 [[우마무스메]], [[그랑블루 판타지]] 등 자사 소유 IP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는데, 그로 인해 자사 소유 IP가 아닌 게임에 대하여는 극단적으로 코스트를 절감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것. 일례로 데레스테에서 이 공지가 발표되기 약 2주 전,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개발사이자 역시 CyberAgent의 자회사인 [[Craft Egg]] 또한 2024년 1월부터 걸파의 개발 일선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는 발표가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이후 Craft Egg는 폐업 절차를 밟았다. 그런데 [[뱅드림]] IP 판권자인 [[부시로드]]는 이후 Craft Egg의 대표이사였던 모리카와 슈이치가 퇴사 후 새로 설립한 회사 [[프롬도쿄]]와 업무 제휴를 맺으며, 사실상 구 Craft Egg 인력들을 걸파 개발 일선에 바로 복귀시켰다. Craft Egg의 걸파 철수와 폐업이 오롯이 모기업 CyberAgent의 의지였음을 알 수 있는 부분.]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 신데렐라 걸즈라는 브랜드는 아이돌 마스터 내 타 브랜드와 다르게 [[Cygames]]가 [[반다이 남코]]로부터 아이돌 마스터 IP를 빌려와 시작되어 두 회사가 수익을 나누어 가져야 한다는 점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의견도 있다. 이제까지는 데레스테가 아이돌마스터 시리즈 모바일 게임 가운데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해온 덕에 두 회사가 수익을 나누어 가져도 양측 모두 만족스러웠지만, 급속한 매출 하락을 기록[[https://twitter.com/cimsgame/status/1740934301263569349|#]]하여 그 차이가 많이 줄어든 상태. 따라서 수익을 나눠야 하는 데레스테는 각자가 온전히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자사 소유 IP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양쪽 모두 느끼기 시작했다는 의견이다. 결국 3.0 Vision을 발표하며 '아이마스에서 중요한 것은 게임'이라는 입장을 내비쳤던 2023년은, 게임과 전혀 관련없는 버추얼 유튜버 프로젝트인 [[vα-liv]]를 런칭하고, 모바일 게임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Song for Prism]]을 런칭했으나 서비스 종료가 된 사이스타보다도 낮은 흥행과 매출을 기록했으며, 신데렐라 걸즈의 게임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데레스테]]도 서비스 축소나 다름없는 서비스 조정이라는 우려스러운 소식으로 한 해를 마치게 되었다. 그나마 아케이드작인 [[THE iDOLM@STER TOURS]] 출시 예정 발표가 무난한 수준이었다. 2024년 2월 26일 19시 아이돌 마스터 신규 타이틀의 3D 티저영상[[https://youtu.be/2k9OArKSD0s|#]]이 공개되었으며 자세한 PV는 2024년 3월 5일 19시에 공개되었다.[* 티저영상에서 나온 컨셉은 학교로 추정되며 교복을 입은 어느 [[하나미 우메|여학생]]이 뛰고나서 미소를 지은다음 대형 무대가 나오면서 영상은 끝난다.] 정식 명칭은 [[학원 아이돌 마스터]]. 2024년에 들어와 데레스테 서비스 조정 과정을 지켜보는 프로듀서들 사이에서 신데렐라 걸즈 브랜드의 운영 그 자체에 대한 설왕설래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당초 공지된 내용에 따라 통상 SS레어의 출시가 중단되었고, 신데렐라 페스 느와르가 리미티드 스킬 픽 가챠와 통폐합된 후 신규 느와르 카드의 출시가 중단되었으며, 신곡 이벤트는 1개월당 1회로 축소되었다. 그런데 당초 갱신 빈도 조정이라고만 언급되었던 신데렐라 극장 와이드의 연재가 3월말에 급작스럽게 종료되었고, 이에 더해 데레포 기능 또한 3월 31일을 끝으로 아무 예고 없이 종료되었으며, 격월로 판매되어 왔던 스페셜 가챠 세트를 매달 판매하기 시작하고, 1년이라는 한정 복각 주기를 깨고 갑자기 6개월만에 복각 가샤를 실시하는 등, 게임을 플레이하던 프로듀서들이라면 누구나 체감 가능할 정도로 서비스 축소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게다가 서비스 축소 중에 개최된 [[호시마치 스이세이|버튜버]] 콜라보는 심각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데레마스의 핵심 컨텐츠 중 하나인 총선거마저 차기 총선거 소식이 끊기면서 무기한 중단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아이마스 게임의 타이틀 화면에는 다 붙어있는 아이마스 20주년 기념 로고가 데레스테에는 9월 17일이 되어서야 뒤늦게 붙었다. 이후 2024년 12월 26일 공식 SNS를 통해 이례적으로 신년 무료 10연 가챠 및 신춘 플래티넘 찬스 캠페인을 조기개최가 확정되면서 더욱 불안을 가중시켰다. 다만 서비스 축소를 전후로 오프라인 굿즈 판매와 콜라보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사이마스와 비슷하게 외부 굿즈와 행사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2024년 2분기에 방영을 시작한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애니메이션|샤니마스 애니]]는 저열한 퀄리티와 이해할 수 없는 전개 등으로 아이마스 애니 역사상 최악의 평가를 받았다. 샤니송 또한 하프 애니버서리임에도 특별한 반전을 보여주지 못했고, 샤니마스는 후유코 파라코레 커뮤 논란으로 많은 비난을 받았다. 다행히 2024년 5월 16일에 출시한 학원 아이돌 마스터는 높은 평가를 받으며 2주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찍을 만큼 흥행에 성공하여[* 비공식 정보에 따르면 원래 제작진은 다운로드 목표치를 1년에 110만으로 잡았다고 한다.] 아이마스 브랜드의 하락세에 간신히 브레이크를 걸었다. 3.0 Vision 발표 후, 2024년부터는 모든 브랜드가 외부 굿즈 제작과 업체 콜라보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