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이마스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THE iDOLM@STER'''[* THE는 표기만 하고 읽지 않는다. 따라서 '''‘디 아이돌마스터’라고 읽으면 틀린 말이 된다.''' 오래 활동한 성우들의 경우엔 잘 숙지하고 있지만 새롭게 발탁된 신인 성우들의 경우엔 모르고 그대로 읽기도 하며, 긴 역사만큼 업계에선 기본 상식처럼 여겨지는 부분인지라 깨달으면 낯부끄러운 일이 되곤 한다. 또한 IDOL MASTER는 오표기이고, iDOLM@STER가 정확한 표기이다. 제목 I는 대문자와 소문자 혼용.](アイドルマスター) / 아이돌마스터[*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에서는 ‘아이돌마스터’로 띄어쓰기 없이 붙여서 표기하지만, [[아이돌 마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국내에 배급하는 [[애니플러스]]는 ‘아이돌 마스터’로 띄어쓰기를 넣고 있어 서로 통일이 되지 않고 있다.] [[https://idolmaster-official.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e3uJZIjfYwNNR0S6W3Gv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기존 반다이 남코 게임들을 총괄하던 876tv에서 분리하여 2020년 7월 13일 개설된 아이돌마스터 전용 채널이다. 15주년 PV를 시작으로 생방송 등 아이돌마스터 관련 콘텐츠는 앞으로 이 채널에서 방송 및 업로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그 덕분에 그 전까지는 [[니코동]] 한정으로 아이마스 관련 정보 영상이 나와서 일본 외에는 접하기 어려웠던 한국을 비롯한 타국 프로듀서들도 이제 아이마스 정보를 접하기가 쉬워졌다! 또한 별도의 어시스턴트 프로듀서(남성은 [[https://twitter.com/kassy_imasch/|카시P]], 여성은 [[https://twitter.com/satohono_imasch/|사토호노P]]라고 하는 듯.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ardaysvat&no=60899|이 둘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등장해 콘텐츠를 진행하기도 하고(특히 남성인 카시P는 말 그대로 별의 별것을 다한다. 기본적으로 유튜브 채널에서 하는 각종 라디오, 정보방송 참가 및 진행은 물론, 여러 가지를 해보고 싶다더니 아예 휴일날 원포올 6시간 실황 방송을 하는 등 아이마스 전반으로 뭔가 걸친게 있다하면 가리지 않고 다 하고 있다.) 하면서 10만 구독자를 넘어서 [[https://www.youtube.com/post/UgxoJ5WMpV4-meYWs8h4AaABCQ|실버 버튼을 받았음을 인증했다.]]] >'''CRE@TE POWER WITH YOU!''' >---- >THE iDOLM@STER 3rd Vision의 캐치프레이즈 '''2005년 7월 26일'''에 발매된 아케이드 게임을 기반으로 한 일본의 대표적 아이돌 장르 IP로 [[반다이]]와 [[남코]]가 합병하기 이전 남코 시절부터 만들어진 완전한 오리지널 작품이다.[* [[반다이 남코]]의 합병은 2005년 9월이며 아이돌마스터의 발매는 동년 7월. 개발 기간을 고려하면 훨씬 앞선다.] 여타 후발 아이돌 장르물이 발족 단계부터 미디어믹스 등을 전제해 여러 주체가 관여하는 것과 달리, 합병 전 남코 시절부터 온전히 개발되었다는 특성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운용을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가 직접 주관한다. 게임 외 만화나 애니메이션, 음악이나 라이브까지 다양한 미디어 믹스를 전개하지만, 주기적으로 아이돌 프로듀스 육성 게임을 발매하면서 정체성을 이어간다.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사내에선 마찬가지로 순혈 적통 유명 IP들인 [[에이스 컴뱃 시리즈]],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 이어 약 5년 주기로 한 번씩 탄생하는 성공적인 장수 IP 중 하나로 여겨지며[* 아이돌마스터 이후 [[갓이터 시리즈]] 등이 해당한다.], 회사 차원의 다양한 사업 전개에도 대표 이사 입에서 자주 거론될 만큼 활용도가 높아 그 입지가 탄탄하다. 아이돌마스터라는 명칭은 [[남코]]가 내놓은 아이돌 육성 게임 시리즈와 관련 콘텐츠를 통칭하는 말이자 동명의 게임 시리즈의 첫 작품, 그리고 작중에서 최고의 프로듀서를 가리키는 칭호다.[* 많이들 착각하는데, '아이돌마스터'는 아이돌의 칭호가 아닌 프로듀서의 칭호다. ~~간단히 말해 [[포켓몬 마스터]]~~ 그런 만큼 (디어리 스타즈를 제외한) 모든 시리즈는 프로듀서의 시점으로 게임을 진행하거나 프로듀서가 주인공이다.] 처음에는 [[오락실]]용 아케이드 게임으로 내놓았었다가 가정용 콘솔 게임, TV 애니메이션, 파생작 모바일 게임 등으로 프로젝트 범위를 넓히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제2의 [[남코 황금기]]를 연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축약어|줄여서]] '아이마스'라고 부른다. 제목에서 연상되는 것처럼 게이머가 아이돌의 [[프로듀서(아이돌 마스터)|프로듀서]]가 되어 그들을 육성하고 인기 아이돌로 키워나가서 '아이돌마스터'가 되는 것이 목표다. 아이돌마스터의 주요 프로젝트라고 부를 수 있는 시리즈는 총 여섯 개가 존재하며, 시리즈의 원조인 통칭 '본가' 아이돌마스터와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아이돌 마스터 SideM]],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학원 아이돌 마스터]]가 있다. 그 외에도 별도의 브랜드이기는 하나 메인스트림으로는 분류하지 않는 [[아이돌 마스터 디어리 스타즈]], [[아이돌마스터.KR]], [[vα-liv]]가 존재한다. 디어리 스타즈는 발매 당시 아이돌마스터에 파생 프로젝트라는 개념이 딱히 없었고, 스토리도 본가의 외전에 가까우며, 이후 시리즈가 지속되지 않으면서 입지가 애매해졌다. KR은 시리즈의 프로젝트의 중심이 되는 드라마가 단발로 그쳤고, 드라마에서 파생된 걸그룹 [[리얼걸 프로젝트]]가 장기적으로 활동을 이어가지 못하면서 시리즈의 연착륙에 실패했다. vα-liv는 별도의 프로젝트이고 현 시점에서 계속 운영 중에 있으나, 발표 당시부터 아이마스 브랜드가 아니라 프로젝트 아이마스의 부속 프로젝트라는 애매한 위치로 공지했고, 이것이 '5브랜드' 처럼 브랜드화 될지, 부속 프로젝트가 될지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2024년 초 심사 라이브를 마치고 정식 데뷔가 결정되었으나, 현재도 별도 분류를 고수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공식적인 분류로 볼 때 현 시점에서 아이돌마스터의 주요 브랜드는 전술한 6개의 브랜드로, 이 6개의 브랜드를 모았을 때는 'THE IDOLM@STER BRILLIANT STARS!!!!!'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신데렐라 걸즈와 밀리언 라이브가 추가되어 3개 브랜드이던 시절에는 'THREE STARS', 사이드엠과 샤이니 컬러즈가 추가되어 5개 브랜드이던 시절에는 'FIVE STARS'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아이돌마스터가 아케이드 게임으로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남코 AM사업부([[반다이 남코 어뮤즈먼트]])에서 제작하였고, 이후 CS, NE사업부에서 담당하는 등 변화가 이루어지다가, 반다이 남코 그룹 차원에서 IP 활용도 강화를 위해 조직을 개편하면서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제3 IP사업디비전(前 LE사업부) 산하 "765 프로덕션" 부서에서 담당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