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오쿠모 린
(r1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방송 관련 === * 한국어 표기 기준[* 일본어 기준으로는 2음절. 칸나와 마시로, 시부키를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2음절로 떨어지며, 애초에 일본어 인명으로 1음절짜리 이름은 나오기가 어렵다. 나와봤자 십중팔구 [[DQN 네임]].] [[스텔라이브]] 최초이자 유일한 [[외자]] 이름이다. 이 때문에 [[강지]]의 성인 '정'을 따서 불리는 다른 멤버들과 다르게 '정린'은 어색하기 때문에 거의 쓰이지 않고 '쿠모린'으로 불린다. * 스텔라이브 멤버들 중 가장 범상치 않은 피부색을 지녔는데, 단순히 [[아야츠노 유니|뽀얀 정도]]를 넘어서 창백할 정도로 매우 새하얀 피부를 자랑한다.[* 이러한 피부색에 대해선 별다른 공식적인 설명은 딱히 없으며, 반대로 팬아트 등의 2차 창작에서는 백색이 아닌 평범한 살구색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 거의 모든 방송에서 콘텐츠 앞뒤로 짧고 길게 저챗을 진행한다. 그래서인지 저챗만으로 방송을 구성하는 일은 적다. 평균적으로는 1시간 남짓, 길게는 2시간 가까이 저챗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래서 가끔 메인 콘텐츠를 진행하기 전 자신의 저챗 방송 시간을 보고 놀라기도 한다. * 2기 선배인 [[시라유키 히나|히나]]와 함께 스텔라이브에서 아무런 특수 능력이 없는 유일한 일반인이다. 성이 색 + 자연물에서 따온 공통점도 있다.[* 시라유키: 하얀 눈, 아오쿠모: 푸른 구름.] * 데뷔 전 강지가 푼 썰에서는 '조커'라는 별명으로 등장했다.[* 실시간으로 강지와 소통하면서 joke라는 채팅을 했는데 그대로 조커가 되었다.] 자기 할 일을 잘 해오는 멤버라고 평가하는 한편, 저주받은 게임 실력과 유창한 영어 실력, 사투리 등이 언급되었다. * 데뷔 후 강지의 인터뷰 방송에서 밝히길 [[오타게]]를 잘한다고 한다.[[https://youtu.be/IBESp_Yb_ek?t=12924|#]] * 데뷔 후 [[승리의 여신: 니케]]를 해보고 싶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리 가챠 콘텐츠 같은 것도 해보고 싶다고. 5월 31일 방송에서 밝히기로는 캐릭터가 이뻐서 야하다는 느낌이 안 드는 게임이라 그렇다고 한다. 그리고 동년 6월 5일 방송에서 메인 스토리와 이벤트 스토리 '골든 코인 러시'를 플레이하였으며, 7월 4일에는 니케 광고 방송을 진행했다. 25년 5월 1일에는 니케 2.5주년을 맞아 커버곡을 공개했다. * 화면 전환 애니메이션은 [[슈의 라면가게|린의 메이드 카페]]이며 전환되기 전에 [[오므라이스]]가 잠깐 나온다. 2025년 생일을 기준으로 빗자루질을 하면서 먼지를 날리는 애니메이션으로 바뀌었다. * 3기생 중에서 최고 [[거유|미드 보유자]]다. 2기생 중에서 타비 외의 모든 멤버가 거유였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린을 제외한 3기생 멤버가 모두 빈유는 아니며, 그중에서 [[유즈하 리코|리코]]는 [[시라유키 히나|히나]], [[네네코 마시로|시로]], [[아카네 리제|리제]], 린처럼 큰 거유는 아니지만 [[평유|어느 정도 볼륨감과 흔들림이 있다.]] * 클리셰 첫 합방에서 했던 멤버 본성 투표에서 긍정적인 파란색 단어를 굉장히 많이 모았다. 모은 본성 관련 단어를 조합하면 '''"똑똑하고 [[청초]]하고 섹시한 큰 [[쫄보]] [[개그우먼]]"'''이 된다. 다만 쫄보 키워드에 관한 멤버들 투표에서는 [[유즈하 리코|리코]]와 동률을 기록한 것[* 나나는 리코를, 부키는 린을 찍었으며, 린과 리코는 서로 지목했다.]을 볼 때 독보적으로 겁이 많다고 여겨지는 것은 아닌 듯하며, 린 본인은 '리코가 더 쫄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파피 플레이타임을 할 때 퍼즐 요소에서나 고전했지 호러 파트는 생각보다 잘 진행한 편. * 데뷔 초 [[시라유키 히나|히나]]가 설립한 바보 협회에 당시 함께 있던 [[유즈하 리코|리코]]가 구성원으로 들어가자, 본인도 함께 들어가고 싶다고 하여 인턴으로 참여한 적이 있다.[* 훗날 [[아카네 리제|리제]]는 관련 클립을 본 뒤 “린이 바보면 스텔라이브는 바보 수용소”라는 말을 남겼다.] * 빗자루의 이름은 더 [[평화]]였으나, [[하나코 나나|나나]]의 [[하나코 나나#s-5|단검 이름]]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 5월 22일 방송에서 [[오함마|함마린]]으로 변경되었다. 팬네임과 마찬가지로 시청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 방송 중에 물을 굉장히 자주 마신다. 콘텐츠 중간중간이나 콘텐츠 시작 전후로 물을 마시며, 마실 때마다 물을 마신다고 이야기한다.[* 방송 중에 무언가를 섭취할 땐 반드시 뮤트를 한 상태로 한다] 물을 마신 뒤 입 모양이 독특해 입 모양을 본 이모티콘 )-( 이 채팅창에 도배되기도 한다. * 주로 방송을 키는 시간은 늦은 오후이다 보니 새벽에 방종을 하고 취침하는 경우가 잦다. 본인도 0군이라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았으며, 방종을 하더라도 최소 오전 4시 이후쯤 동틀 무렵에 자러 간다는 공지를 올리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다만 자기 관리에 철저한 편이라 방종 시간 자체가 늦진 않다. * 머리에 쓴 [[카츄샤#s-5]]는 벗을 수 있는데, 벗으면 드러나는 뒷머리가 [[볼링]]공 같다며 스스로 잘 벗으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볼'''린'''공. 카츄샤를 벗은 채로 방송을 진행한 날은 볼린공 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래도 쿠리미들이 벗어달라 요청하면 벗어주는 편이다. 이후 신의상이 나올 때 푼 머리가 생긴 이후에는 그쪽을 더 자주 쓰기 때문에 이제는 보기가 힘든 편. * 방송 공지를 올릴 때 매번 '오늘 방송!'이라는 제목을 사용하며, 고정된 양식을 유지하고 있다.[* 공지 본문은 첫 줄에 방송 시작 시간을 안내하고, 이어 간단한 특이사항이나 상황 멘트를 적은 뒤, 마지막에는 '(좀) 이따 봐요 쿠리미들~'이라는 문구와 함께 네이버 기본 스티커의 고양이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일정한 형식이 유지되면서, 동기들 사이에서는 같은 문구를 돌려쓴다는 의혹이 언급된 적이 있다.[* 복붙을 한 건 아니고 직접 작성하지만 어쩌다 보니 매일 같은 문구만 나오게 된 것이라고 한다.] 2024년 6월 20일에는 이를 의식해 '그 대사' 한 마디만 적어 공지를 올리는 장난을 치기도 했다.[[https://cafe.naver.com/tteokbokk1/523412|#]] * 말투가 굉장히 특이해서 밈이 자주 생성된다. 독특한 억양과 더불어 특이한 추임새가 많아서 여타 버튜버들과 달리 키리누키 못지 않게 데뷔 초부터 [[음MAD|音MAD]] 소스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https://youtu.be/SnOgWOOkUUU|#]] [[https://youtu.be/qjJ-RephWGU|#]] * 세 번째 커버곡인 [[폴리스 피카딜리#s-2|루머]]에는 우연의 일치로 후렴부 가사에 뇨처럼 들리는 구간이 있다. 가사가 どうにも手に負えない(도우니모테'''니 오'''에나이)인데, "니"를 버리고 "오"를 강조하는 대다수의 일본인 커버와 다르게, 빠르게 연음으로 처리하면서 뇨 모멘트를 만들어버리고 말았다. * 스텔라이브 멤버들 중에서 정말 성실하고 일을 잘 한다고 한다. 강지가 '자기가 남자라면 사귀고 싶은 스텔 멤버는?'을 진행할 때 다른 멤버들은 모두 '''일을 열심히 한다'''고 언급한 것에 반해 유일하게 린만은 '''일을 잘 한다'''라고 언급했으며 동기생인 나나는 스텔라이브 멤버들 모두가 일을 열심히 하지만 특히나 린에 대해선 린의 방법을 알아도 못 따라한다 말하며, 벽이 느껴질 정도로 열심히 잘한다고 평가했다. [* 이후 역몽 듀엣 커버곡 공개 방송에서 나나가 린에게 커버곡 작업 비결을 물어봤을 때 "계획을 짜서 차질이 생겨도 일이 없게끔 미리 해버리면 된다"고 답변하였다.] * 특정 게임에서 3D 멀미를 느껴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플레이할 때 발생하며 스스로는 계속 하고 싶지만 머리가 어지러워져 일회성으로 플레이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서버에 참가하여 장기적으로 플레이하게 되는 [[마인크래프트]]에서도 건축이나 낚시 같은 정적인 활동은 괜찮지만, 야생 환경의 플레이에서는 얼마 안 가 멀미를 느끼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 멋봉리 서버에서 플레이하던 때에는 가급적 멀미약을 복용한 후 방송을 진행하여 장시간 방송이 가능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내성이 생긴 것인지 스텔 마크섭 시즌2 시점에는 멀미약의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멀미 대책을 시도하고 있다. 의외로 FPS를 플레이할 때에는 멀미를 느끼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후 러스트 서버에서 밝히길 마인크래프트가 유독 심한 것 같다고 언급했다. * [[아카네 리제]]와 함께 범상치 않은 캐릭터 커스텀마이징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 덕분에 봉누도에선 마스터 이, 암베사로 불렸고, 팰 월드에선 라이즈 커스텀을 선보였다. 이후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서 동기들이 저마다 예쁜 캐릭터를 만드는 가운데, 혼자 수염이 덥수룩한 트윈테일 남성 캐릭터에게 치마를 입히는 등 지속적으로 멤버들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 주기적으로 커버곡을 업로드하며, 데뷔 일수에 비해 엄청난 작업량을 보여주고 있다. 기습적으로 커버곡을 공개하기도 하며, 쇼츠 커버나 비공식 커버[* 린 본인이 공식적인 커버곡으로 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유튜브 재생목록에도 구분되어 있다.]도 부르고 있다. 공식 커버곡은 한 달에 한 곡 정도지만 비공식 커버나 다른 멤버들과 함께 부른 커버곡까지 합치면 한 달에 3~4곡을 공개하는 경우도 흔하다. 2025년 5월에는 피처링과 단체곡까지 합치면 총 6곡이나 되는 놀라운 작업량을 보인다. * 2025년 생일을 기념해 진행된 린의 설문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이상하고 귀여운 사람’이라는 인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 ‘린의 이미지’ 항목에서는 '귀여움'이 32.5%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으며, 그 뒤를 '광기'(25.2%), '뇨'(11.6%), '청초'(7.9%) 등이 이었다.[* '광기'와 '뇨'는 '그 외'를 선택한 응답자 50.7% 중 각각 49.8%, 22.9%가 답변한 내용을 전체 비율로 환산한 수치다.] * '린을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항목에서는 '뇨'가 40.6%로 1위를 차지했고, '이상한 사람'(22.6%)과 '귀여운 사람'(20.7%)이 뒤를 이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