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실리카겔(밴드)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tablewidth=200><tablebordercolor=#fff,#000> [[파일:실리카겔(밴드) 로고.svg|width=500%&theme=light]][[파일:실리카겔(밴드) 로고 화이트.svg|width=500%&theme=dark&bgcolor=black]] || * 밴드의 로고이다. 각각 김한주(FIRM), 김춘추(STRICT), 김건재(CONNECTIVE), 최웅희(PILLOWY)를 상징하는 표식이 담겨있다. 위쪽이 김춘추, 왼쪽이 김한주, 아래쪽이 김건재, 오른쪽이 최웅희이다. * 실리카겔은 [[프론트맨]]이 사실상 없다. 1인 프론트맨 체제를 지양하고 있다고. [[https://youtu.be/GBRVRSuQlrk?t=816&feature=shared|#]] 또한 김한주는 '밴드맨이라는 의식이 없으며, 밴드맨으로서의 의식이 투철했다면 지금과 같은 실리카겔의 음악은 안 만들었을 것 같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기도 하다. [[https://youtube.com/shorts/481Dpd0bz90?feature=shared|#]] * 사용하는 악기 등 음악 장비 관련 정보가 궁금하다면 멤버 개인별 항목 참조. * 신디사이저: [[김한주(실리카겔)#신디사이저|항목 참조]] * 마스터 키보드: [[김한주(실리카겔)#마스터 키보드|항목 참조]] * 샘플러: [[김한주(실리카겔)#샘플러|항목 참조]] * 보컬 이펙터: [[김한주(실리카겔)#이펙터|항목 참조]] * 일렉트릭 기타: [[김춘추(실리카겔)#일렉트릭 기타|항목 참조 1]], [[김한주(실리카겔)#그 외|항목 참조 2]] * 기타 앰프: [[김춘추(실리카겔)#기타 앰프|항목 참조]] * 기타 이펙터: [[김춘추(실리카겔)#기타 이펙터|항목 참조]] * 베이스 기타: [[최웅희#베이스 기타|항목 참조]] * 그 외: [[김춘추(실리카겔)#그 외|항목 참조 1]], [[김한주(실리카겔)#그 외|항목 참조 2]] * 멤버들 각자 다 한 개 이상의 악기를 다룰 수 있을 정도로 능력자다. 김건재는 드럼 말고도 아주 가끔씩 키보드를 치기도 하고[* [[https://youtu.be/LZ0t0mtOESY?feature=shared|신촌전자라이브]]] 김춘추는 클라리넷을 불 줄 안다.[* 대표적으로 <[[POWER ANDRE 99#s-3.9|The Rim]]> 후반부에 나오는 클라리넷 연주] 김한주는 기타, 키보드, 그랜드피아노 등등 다양한 악기를 공연에서 사용하기도 하고 최웅희는 초창기에는 기타 포지션이었으나 현재는 베이스를 맡은 것처럼 멤버들 사이에서 크게 포지션에 제한을 두거나 하지 않는다.[* <[[실리카겔(밴드)/음반#s-4.5|Hibernation]]> 같은 곡을 연주할 때는 김한주와 최웅희의 포지션이 바뀌기도 한다.] * 악기 포지션에는 제한이 없지만 밴드 운영적으로는 각자의 역할이 있다고 한다. 김한주의 말을 빌리면 자신은 송라이팅 위주, 김춘추는 음향과 믹싱, 김건재는 팀 스케줄과 시간관리, 최웅희는 뮤비를 포함한 비주얼적인 부분에 주로 신경을 쓴다고 한다. * 팀워크보다는 팀플레이를 추구한다. [[공각기동대]]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모두가 하나의 대의를 위해 달리는 '팀워크'보다는 각자의 자리에서 본인이 잘하는 것들이 모여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공안 9과]]의 '팀플레이'를 실리카겔의 지향점으로 삼고 싶다고. [[https://youtu.be/_pk3KvjnQ4I?feature=shared&t=405|#]] * 작업을 위해 실리카겔 멤버들이 모이면 종종 작업이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산으로 가게 되는데]] 이것([[브레인스토밍|작업을 산으로 보내는 것]])이 목적이라고 한다. 그렇게 산으로 가버린 작업에서 재미있는 곡이 나오기 때문. * 베이시스트 최웅희가 멤버들의 재밌는 일상을 찍어 올리는 [[최웅희#유튜브|채 웅희최 널]]을 운영하고 있다. 앨범 녹음 과정이나 공연 준비 과정 등을 다큐 형식으로 담아 유튜브에 올린다. <[[실리카겔(밴드)/음반#s-4.12|S G T A P E - 02]]>의 비쥬얼라이져 영상이 이 채널에 올라오기도 했다. * 김건재와 김춘추는 중학생 때 처음 만난 사이이다. 동네 실용음악학원에서 만났으며, 고교 진학을 정할 무렵에 만나 함께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김한주와 최웅희도 18살에 만난 동네 친구였다고 한다. 최웅희의 학교에서 열린 학예회에 김한주가 용병으로 참여하며 만나게 되었는데, 이야기가 잘 통하고 알고 보니 집도 가까워 빠르게 친해졌다고 한다. * 자신들의 클럽 공연을 보러 온 [[붕가붕가레코드]]의 곰사장과 [[술탄 오브 더 디스코]]의 [[나잠 수]]의 눈에 들어 붕가붕가레코드에 들어가게 되며 첫 소속사가 생겼다. 후에 나잠 수가 말하길 본인은 썩 그렇게 마음에 들진 않았다고.[* "[[MGMT]] 따라하는 것 같던데?" 라고 말했다고. ] * 멤버들 각자가 실리카겔 외에도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하고 있다. * [[김건재]]의 경우 [[APNEA]]라는 밴드에서 활동했었고, 현재 [[시라카미 우즈]]라는 밴드에서 활동 중이다. * [[김춘추(실리카겔)|김춘추]]의 경우 [[놀이도감]]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솔로 음반을 냈었고 앞으로도 낼 예정이다. 또한 [[먹보와 털보]], [[밀수]], [[베테랑2]] 등에서 음악 조감독을 맡았다.[* 먹보와 털보 메인감독은 [[이상순]], 밀수 및 베테랑2 메인감독은 [[장기하]]] * [[김한주(실리카겔)|김한주]]의 경우 [[새소년]]의 음악을 프로듀싱하거나 영화음악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2025년 현재 솔로 프로젝트를 준비 중에 있다고 한다. * [[최웅희]]의 경우 Wah Wah Wah([[와와와]])라는 밴드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440><tablebordercolor=#000,#fff><nopad>[[파일:실카 패션.jpg|width=100%]]|| ||<bgcolor=black><color=white> {{{-2 왼쪽부터}}} 최웅희, 김건재, 김한주, 김춘추 || * 또한 다양한 브랜드들(패션, 굿즈, 영상 등등) 활발히 교류하고 [[협업]](신서사이즈)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할로미늄, [[산산기어]], 혜인서, 컨버스, [[무신사]], [[토스(금융)|토스]], 비이커 등이 있다. <[[Kyo181#M/V]]>, <[[Mercurial#M/V]]> 뮤직비디오 착장은 산산기어, <[[Tik Tak Tok#M/V|T + Tik Tak Tok]]> 뮤직비디오 착장은 혜인서 옷이다. * 예전에는 협업에 있어 보수적이었지만, 이제는 '''오직 협업하는 자들만이 살아남는다.'''[* 김한주가 짐 자무쉬의 영화 제목을 패러디해서 만든 말이다.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많은 정보들이 온라인 상에서 오픈 소스로 공유되는 디지털 시대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인데, 특히 대중 음악씬에 속한 장르 뮤지션으로서 이러한 부분을 무시하는 것은 그저 도태되는 것이기 때문. * 2021년 12월 [[Desert Eagle(실리카겔)|Desert Eagle]]의 이름을 딴 오리지널 [[TRPG]] 보드게임을 출시한 적이 있다. 현재는 구매 불가. [[https://youtu.be/YlErPEdT4ZM?feature=shared|튜토리얼]] / [[https://blog.naver.com/teatree_diary/223793901904|관련 인터뷰]] *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나 혼자만 레벨업: ARISE]]의 OST로 <Evolution>을 발표하였다. 유튜브에서 들어볼 수 있고, 음원으로 발매되지는 않았다.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a3IgnTjReXE, 크기=20)] * 음향 설비 등 음향 쪽에 특히 신경 쓰는 것으로 보인다. * 뮤직비디오에 대한 평가가 좋다. 애초에 팀 결성 당시에 [[VJ#s-2]] 멤버가 있었듯이 음악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비주얼적인 면에도 굉장히 신경쓰는 편. 특히 <[[NO PAIN]]>의 뮤직비디오는 이미지 연출적인 부분만 보아도 상당한 완성도를 자랑한다. 이와 더불어 단독공연을 할 때 쓰는 공연 영상의 연출도 좋다. * 주로 함께 작업하는 파트너들이 정해져 있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뮤직비디오는 멜트미러[* [[https://youtu.be/Ee5qebGtMGU|참고 영상]]], 사운드 엔지니어링은 신재민 감독, 사진은 하태민 작가 등.[* 이 팀원들을 중심으로 ISVN.GAMES라는 크루를 구성하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김한주와 하태민 작가는 군대에서 선후임 관계로 처음 만났다고 한다. "전역하면 같이 작업 하자"는 이야기가 오갔었다고.] * 2023년 7월 공중파 입성에 이어, <[[Tik Tak Tok]]>의 차트 진입 99위를 실리카겔 인스타 스토리에서 인증하였다. 당시 인스타 라이브 방송에서 멜론 차트 1위 공약에 대한 팬의 질문에 김춘추는 1위 달성시 옷 벗고 홍대 거리를 뛰어다닐 것이라 발언. 해당 공약에 팬들은 1위가 아닌 2위를 목표로 하겠다는 일화가 있다. * 잇츠라이브 APEX 비하인드 영상을 기점으로 멜론 차트 1위 공약이 김한주에 의해 새롭게 개편되었다. 새로운 공약은 팬들이 자발적으로 떠나고 경찰에게 끌려갈 때까지 무료 공연을 하는 것이라고 한다. 김춘추 본인도 라방에서 1위 공약을 홍대 거리를 옷 입고 뛰어다니는 것이라고 정정했다. * 김한주는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모던록 부문에서 수상 받은 곡 <[[Desert Eagle(실리카겔)|Desert Eagle]]>과 <[[NO PAIN]]>이 사실 힘든 시기에 나왔던 곡이었음을 언급하며, 다음 번엔 행복하게 만든 곡이 수상 후보에 오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수상 소감을 밝힌 바 있다. * 음악에 대중성과 예술성이 공존한다는 평이 자주 언급된다. 하지만 인터뷰에 따르면 멤버들은 대중성을 생각하고 음악을 만들지는 않는다고 한다. 애초에 대중성과 예술성이라는 프레임 자체에 무신경하다고. 그저 본분에 충실히 하며 들려주고 싶은 음악이 잘 전달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하고 있을 뿐이라고 답했다. * <[[NO PAIN]]>과 같은 대중적인 요소들이 눈에 띄는 곡들도 있지만 사실 굉장히 실험적인 방식을 쓴 곡들이 많다. * 예시로 <[[실리카겔(음반)#s-3.9|Sister]]>에서는 곡 후반부에 일본어 나레이션이 나오기도 하고 <[[실리카겔(음반)#s-3.10|Woong's Theme]]>에서는 동물들의 울음소리를 삽입하기도 하였다. 또한 <[[Machine Boy#s-3.4|Machineboy空]]>에서는 9분이란 장대한 길이 속에서 5분 가량을 피아노 독주로 채우기도 하고 <[[실리카겔(밴드)/음반#s-4.6|S G T A P E - 01]]>의 곡 길이는 무려 24분 35초다. * 대부분의 신곡들을 정식 발매하기 전 라이브 공연에서 선보일 때가 많다. 정규 2집이 발매되기 전 단독 공연 'POWER ANDRE 99'의 셋리스트를 2집의 전체 수록곡으로 채워 선공개 공연하기도 했다. 본인들의 곡에 대한 자부심에 따른 과감한 행보를 보이는 편. * 멤버들 모두 [[신세기 에반게리온]]을 굉장히 좋아한다. 그래서인지 앨범 컨셉과 분위기에서 에반게리온과 비슷한 느낌이 나기도 한다. [[https://www.instagram.com/p/DIgaq2ayG3q| ]] * 앞으로의 밴드 방향에 대해서 계속 변화하는 밴드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추후에 낼 음반들에도 꾸준히 다양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이 실리카겔이 [[매너리즘#s-5]]에 빠지지 않고 계속 새로운 사운드를 들려줄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 2집을 내며 <[[NO PAIN]]>을 시작으로 보여줬던 기계적인 느낌의 음악들을 모아서 발매해 잘 마무리하고 싶었다고. 거의 졸업하는 느낌으로 작업했다는 표현을 쓴 것으로 보아하니 추후 발매할 음반의 분위기는 꽤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 실리카겔 3:1의 법칙이 SNS상에서 이야기되고 있다. 외향적인 셋과 내향적인 하나, 2형제 중 [[막내]] 셋과 [[외동#s-1]] 하나, --[[집사(동음이의어)#s-3|고양이를 키우는]] 셋과 안키우는 하나--, 수염을 안 기르는 사람 셋과 기르는 사람 하나, 김씨 성 셋과 최씨 성 하나 등 3대 1로 갈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 * 2023년 12월 3일, 아이즈매거진에서 '실리카겔이 직접 추천하는 플레이리스트'를 공개했다. 인터뷰를 진행하며 멤버들이 직접 추천해준 곡을 모아 제작된 플레이리스트이다. [[https://youtu.be/GMSlCC4VC6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024년 4월 1일, 정규 2집《[[POWER ANDRE 99]]》가 EBS [[스페이스 공감 선정 2000년대 한국대중음악 명반 100]]에 선정되었다. * 2024년 7월 26일 [[킨텍스]]에서 진행된 [[Noel Gallagher's High Flying Birds|노엘 갤러거스 하이 플라잉 버즈]]의 내한 공연 오프닝 공연 중 “''지금 이자리에 있는 것이 너무 가슴이 벅차고, 어린시절 저희들 영웅의 무대를 꾸밀 수 있어서 너무 좋네요. 저희도 언젠가 여기서 단독 콘서트 열 수 있게 열심히 하겠습니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 2025년 [[염따]][* ‘IE러니’ 라는 곡에서 T를 샘플링하였다.], [[릴 모쉬핏]][* ‘K-FLIP’ 라는 곡에서 Desert Eagle을 샘플링하였다.] 등의 래퍼들이 실리카겔의 곡을 샘플링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실리카겔(밴드), version=1102, uuid=a61cb46e-4c34-4c41-a643-5a824ec2d59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