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시로코*테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출시 이전 === * [[상냥함의 기억]]의 화자는 시로코*테러로 자신을 이끌어 준 선생에 대한 상냥한 기억과 감사, 그리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나아가고자 희망을 품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 복장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으로 민소매+백리스+가슴트임 드레스에 긴팔 겉옷을 걸친 모습이다. 겉옷을 벗으면 뒤태가 상당히 노출되어 있다. * 시로코와 비교 시 외형적 차이점은 [[장발]], [[바보털]], [[헤일로(블루 아카이브)|헤일로]]의 색과 형태가 있으며 전체적인 분위기도 더 차갑다. 더 몸매도 좀 더 성숙하게 그려지는데 이는 의상으로 인해 더 부각되어 보인다. 원본인 시로코의 다른 버전인 [[스나오오카미 시로코/수영복|수로코]]와 비교하면 적어도 2배는 더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스탠딩 일러스트가 공개되자 실제로 시로코보다 [[거유|몸매가 더 성숙한 게 맞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에 둘이 함께 서있는 모습을 보면 시로코*테러가 키도 조금 더 크다. 회상에 따르면 무명사제들의 개입으로 인해 시로코가 반전된 작용으로 육체가 성장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앞으로 닥치게 될 시련 속에서 절망에 빠진 시로코의 미래에 대한 경고의 모습으로 추측하는 사람도 있다.]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72B34,#2c4c72><nopad> [[파일:BA_쿠로코003.png|width=50%]][[파일:BA_1PV시로코.png|width=50%]][[파일:BA_쿠로코004.png|width=50%]][[파일:BA_1PV시로코2.png|width=50%]] || 4th PV에서 시로코*테러가 등장하는 일부 장면은 1st PV의 [[스나오오카미 시로코|시로코]]와 대조되도록 구도를 잡아 [[수미상관]]을 노렸다.[* 배경은 서로 어두운 밤과 아침으로 반전되어 있으며 자세히 보면 하늘을 올려다보는 장면에 시로코가 보는 빛의 고리는 하늘 높이 솟아올라 있고 별똥별도 빛의 고리의 중심부를 지나며 위로 올라가고 있는 반면 시로코*테러가 보는 배경에선 마치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처럼 묘사해 시로코와 같은 장면에서 별똥별의 위치는 거의 비슷한 위치에 자리잡아 있지만 빛의 고리는 가려지듯 옆으로 치우쳐져 있으며 별똥별은 빛의 고리에서 벗어나 곡선을 그리며 아래로 떨어지고 있다. 이 별똥별의 정체를 각각 따져서 생각한다면 [[우트나피쉬팀의 배|시작]]과 [[선생(블루 아카이브)|끝]]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여러모로 의미심장하다.] * 지금과 다른 시간대도 다루어지게 되면서 1차 영상에서 나온 장면 중 시로코가 하늘에서 별을 바라보는 부분이 우트나피쉬팀의 배에 타 날아오른 장면과 일치하였는데, PV 장면들을 하나하나 살펴본 결과 [[https://namu.wiki/w/%ED%8C%8C%EC%9D%BC:BG_CS_PR_05.jpg|싯딤의 상자]]의 디자인은 프레나파테스가 가지고 있는 것과 동일하기도 해 본편 시간대의 시로코가 아닌 시로코*테러 본인이 색채에 영향받기 이전의 과거 시점에서 우연찮게 우트나피쉬팀의 배로 인한 현상을 보게 된 걸 알리는 장면이라는 가설이 제기됐다.[* 최종편에서 양자역학 문제를 논하는 과정에서 우트나피쉬팀의 배를 타서 하늘에 뜰 때 평행우주 내에서 발생하는 현상은 별똥별을 보는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시로코*테러가 살고 있던 세계에 별다른 영향이 없어 역사가 크게 뒤바뀌지는 않아 [[타임 패러독스]]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작 다른 시간대의 시로코 입장에서는 모르겠지만 해당 현상이 발견된 시점에서 구원이 예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셈이다.][[https://gall.dcinside.com/projectmx/7879781|#]] * 최종편이 나오기 전까지는 시로코*테러의 정체를 추정할 만한 단서가 많이 없었기 때문에 대책위원회 편에서 언급된 신비의 이면 떡밥으로 누군가가 시로코의 신비를 반전시켜서 타락시킨 존재라는 등의 추측이 있었지만 최종편 전개 과정에서 본편 시간대의 시로코와 같은 곳에 중복해서 존재하는 묘사로 선생이 아는 시로코 본인이 직접적으로 변화한 존재는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결국 최종적으로는 멸망한 [[평행 우주|다른 시간대]]에서 건너온 시로코임이 밝혀졌다. 다만 해당 시간대도 선생이 중태에 빠진 모종의 사건 이전까지는 본편 시간대과 같은 사건들을 겪었기 때문에 앞선 추측들도 완전히 잘못된 것은 아니었다. * ||<tablebordercolor=#272B34,#2c4c72><tablewidth=100%><nopad> [[파일:BA_4thPV02.png|width=50%]][[파일:BA_시로코사격.png|width=50%]] || 시로코*테러가 사용하는 [[SIG556#SG 556|블랙 팽 465]]는 시로코의 화이트 팽 465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으로 검정 도색이 되어 있고 가스마개의 형태, 총열덮개 하단의 방열구멍 형태, 액세서리의 세부 디자인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공개 초기부터 그녀와 시로코가 서로 다른 인물이라는 추측도 있었는데 이 추측은 최종편 3장에서 방주의 시로코가 한 명이 아닌 '''두 명'''이였음이 밝혀지면서 사실이 되었다. * 프롤로그와 최종편에서 선생을 쏘려다 포기하는 장면에서 들고 있던 권총은 시그 자우어 [[SIG P229|P229]]으로, 이건 원래 아야네가 사용하던 권총인 '상식적 수단'이다. 아트라하시스 방주 연합작전에서 사용하던 다른 동료들의 유품들처럼 아야네가 남긴 유품인 권총도 간직하고 있었다. * 정체가 밝혀지기 전에는 다양한 별명으로 불렸는데 반전/흑화된 존재라는 점에서 [[세이버 얼터|시로코 얼터]], 흑화 시로코라는 가칭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 팬덤에서는 검은 시로코라는 의미에서 쿠로코[* 黒(クロ)+子(コ)]라는 명칭으로 널리 불리게 되었다.[* 시로/쿠로 자체가 한국어의 흰둥이/검둥이에 대응되는 반려동물 애칭으로 유명한 단어이며 마침 시로코, 쿠로코 모두 앞 두 글자만 따면 총력전 보스 [[시로&쿠로]]와 동일해서 이쪽으로 엮이기도 한다.] 인게임 보스전에서는 시로코 테러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면서 테로코, 테러코 등의 별명도 생겼으나 여전히 쿠로코로 불리는 빈도가 더 높다. 본래 세계의 시로코보다 더 성장한 외모를 지녔다는 점을 바탕으로 커다란 시로코라고 불리거나, 인게임 실장 이후로는 이쪽 세계선 시로코가 지은 별명대로 살찐 시로코라고 불리기도 한다. * 이명인 아누비스라고 칭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테러화한 시로코가 아누비스라고 칭해진 것은 [[검은 양복]], 그리고 [[무명사제|무명사제들]]이 짤막하게 언급한 것이 전부이며[* 사실 최종편 스토리가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팬덤에서는 시로코의 본질을 아누비스로 추측했다. 검은 양복과 무명사제의 작중 대사는 이러한 추측을 사실로써 확인시켜주는 역할일 뿐 색체에 접촉한 시로코가 아누비스로 변질되었다는 뜻이 아니다.], 이 호칭(을 포함한, 무명사제들이 주장한 시로코*테러의 본질)은 [[프레나파테스|시로코*테러의 세계선의 선생]]이 전면으로 부정했다. 본인도 작중에서 단 한 번도 '아누비스'라는 호칭으로 불린 적도 자칭한 적도 손에 꼽힐 정도로 매우 적다.[* 작중에서 검은 양복이 [[타카나시 호시노]]를 '새벽의 [[호루스]]'라고 칭하면서 신비의 진명을 직접 말하는 장면이 있지만 이와 아누비스의 건을 제외하면 작중 학생들을 신비의 진명으로서 언급하는 내용이 거의 없다시피하다.] 이후 나오는 대화에서도 여전히 자신을 스나오오카미 시로코로서 인식하고 있으며 인 게임상에서 보스로 등장할 때도 '시로코✻테러' 또는 '시로코 테러'로 표기되고 스토리 대사에서는 일반 시로코와 동일하게 '시로코'로 표기된다. 아비도스의 시로코와 달리 소속 쪽과 명칭의 성 부분의 루비 문자가 사라져 있어 공백으로 표기되는 점이 차이점이다.[* 정황상 신비와 관련해서 늑대보다 죽음이 더 강조되기 위해서 구분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색채와 접촉해 테러화되면서 죽음의 신이라는 신비의 이면이 표면으로 떠오른 것일 뿐이지 메인 시간대의 시로코도 동일한 신비를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역시 아누비스라는 본질은 동일하게 갖고 있다. '''즉, [[스나오오카미 시로코|본래 세계선의 시로코]]도 아누비스이며 색채에 물든 이 버전의 시로코만을 아누비스라고 칭하는 것은 완벽한 오류다'''.[* 한국 서버에 업데이트된 최종편에서도 테러화한 시로코의 보스 이름을 '시로코 테러'로 표기하고 있으며, 9월 21일에 올라온 김인 아트 디렉터의 [[https://www.dailycnc.com/news/articleView.html?idxno=222660|인터뷰]]에서도 아누비스가 아닌 시로코 테러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m/projectmx/8986193|블루 아카이브 오피셜 아트 워크스 VOL.2]]에서의 명칭도 シロコ*テラー(시로코✻테러)로 표기되어 있으며 한국섭 [[https://youtu.be/K6ZllYm_BXA?t=875|개발자 코멘트리 영상]]에서도 테러 시로코라는 이름으로 소개된다. 따라서 테러화한 시로코의 공식 명칭은 실제 본 버전의 시즈널 캐릭터의 출시 이전까지는 '시로코 테러'로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이후 플레이어블로 추가되면서 정식 명칭이 마침내 아누비스가 아닌 시로코*테러로 확정되었다.] 다만 이름 문제와는 별개로 과거 회상 스토리에서 보이듯 시로코는 과거의 기억을 잃은 존재였고 작중 메인 스토리에서는 자신의 본질을 자각하는 장면이 없는 반면 테러화된 시로코는 '저승으로 인도하는 게 자신의 역할', '죽음의 신인 자신이 아비도스 어딘가에 있다' 라고 언급하는 등 자신이 아누비스의 신비를 지닌 존재라는 점은 확실하게 자각하고 있다. * 다른 시간대의 시로코라는 정체가 밝혀지기 전에는 팬덤에서는 시로코에 비해 성숙해 보이는 외형으로 인해 시로코의 엄마라는 동인설정이 붙기도 했다. 마침 PV에서 둘이 일기토를 벌이는 장면에서 시로코가 보인 표정이 너무 적절한 나머지[* 타이밍이 절묘하게도 PV 공개일이 한국에선 구정설 연휴였던 탓에 그런 것도 있다.] 사춘기 딸과 엄마의 싸움으로 만드는 식의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예시 [[https://arca.live/b/bluearchive/68095311|#]][[https://gall.dcinside.com/projectmx/4817212|#]][[https://gall.dcinside.com/projectmx/4826848|#]][[https://gall.dcinside.com/projectmx/4832659|#]][[https://gall.dcinside.com/projectmx/4836096|#]][[https://arca.live/b/bluearchive/68280761|#]][[https://gall.dcinside.com/projectmx/7131969|#]][[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x&no=14225840|#]]] 평행세계 시로코나 시로코의 쌍둥이 언니 쿠로코 같은 식으로 나와 선생을 사이에 둔 연적 관계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최종편 3장에서는 테러화 시로코가 직접적으로 일반 시로코가 보는 앞에서 나의 선생님이라고 자신의 소유물처럼 취급한 부분 때문에 더 그렇다.] 아예 키보토스에 출장 온 [[https://www.pixiv.net/artworks/104768950|선생을 잡으러 온 아내]]로 표현되기도 한다. [[https://www.pixiv.net/artworks/105336932|황륜대제 때 일로 인해]] [[https://www.pixiv.net/artworks/105117400|참참참 하자고 찾아왔다는]] 팬아트도 보이고 시로코가 블루아카의 대표적인 기행 캐릭터라 반전되어 [[https://gall.dcinside.com/projectmx/5302011|건전한 정상인이자]] [[https://m.dcinside.com/board/projectmx/4860242|상식인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 하지만 색채에 침식된 것으로 인한 변화는 신비의 변질이 전부였고 암울한 환경에서 마음의 상처를 깊게 입었을 뿐 성격은 그대로란 점이 최종편에서 밝혀지면서 2차 창작에서도 본편 시간대의 시로코처럼 기행 캐릭터로 그려진다.[* 아예 지금 시간대 시로코와 쌍으로 기행을 벌이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https://twitter.com/thershr6s/status/1634878451026120704|#]]] * 시로코의 테러화가 공개된 후 다른 학생들이 색채로 인해 테러화 했다면 어떤 모습일지 추측하는 IF성 팬아트들도 생겨나고 있는데 주로 스토리에서 프레나파테스 시간대 시로코 못지 않게 비참한 행적을 보였던 [[미소노 미카]]나 [[소라사키 히나]] 혹은 [[타카나시 호시노]]가 대상이다. [[https://arca.live/b/bluearchive/68449807|#]] * 키보토스에 그대로 남는 선택을 했기 때문인지 최종편 이후를 다룬 2차 창작이 활발한데 본편 시간대의 대책위원회에 편입돼서 학생으로 복귀한다거나 시바세키 라멘 가게에 아르바이트생으로 거둬들여지는 창작물이 많으며 시로코 특유의 아웃로 성향을 기반으로 헬멧단이나 흥신소 같은 비인가 동아리 용역 활동 내지 블랙마켓 용병 일을 한다거나 이를 한 차례 뒤집어서 전 범죄자 출신이기 때문에 범죄자의 심리를 잘 안다는 발상으로 KSPD SWAT 같은 무장경찰로 고용되어 은행을 터는 시로코를 역으로 체포하는 모습 등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 ||<width=200><nopad> [[파일:블아 2주년 앱 아이콘.png|width=100%]] || 일본/글로벌(한국 포함) 서버 모두 2주년 업데이트(=[[거짓된 성소 공략전]] 대응 업데이트) 때 앱 아이콘이 시로코에서 테러화된 시로코로 바뀌었다. 다만 소소한 차이로 일본판은 위 이미지처럼 2주년을 명시하는 문구가 들어갔지만 글로벌 서버는 캐릭터만 바뀐다.[* 글로벌 서버 1부 최종편이 2023년 7~8월에 시작했지만 2주년은 11월로 일섭과 달리 1부 최종편이 2주년 기념 이벤트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바뀌는 순간 마치 시로코가 흑화하는 것처럼 연출되어 소소하게 화제거리가 되었다. 일본 서버에서는 최종편의 후일담인 D.U. 시라토리구 이벤트까지 아이콘이 유지되었는데 글로벌 서버에서는 그 다음으로 내정된 이벤트인 신춘광상곡 제68번이 밀리면서 시라토리구 종료 시 업데이트가 없게 되어 본의 아니게 최종편 종료 후에도 아이콘이 유지되었다. 이후 신춘광상곡으로 인한 업데이트가 제대로 들어가면서 비로소 글로벌 서버도 원래의 아이콘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 스토리가 모두 공개된 현재 시점에선 대량 학살을 저지른 건 부정할 수 없지만[* 이 때문에 대량 학살한 것을 어영부영 넘어갔다고 시로코 테러를 까거나 놀림거리로 삼는 사람도 많은 편.] 키보토스의 등장인물들 중 역대급으로 불행한 삶을 살아 온 학생이자 시로코가 선생에게 구원받지 못하면 어디까지 인생이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줘 동정심을 사고 있으며 [[아리우스 스쿼드]]보다도 더 지독한 삶을 살았다고 평가될 정도로 암울함과 절절한 비극적인 캐릭터성을 자랑한다. 더욱 서글픈 점은 과거 회상을 보면 색채에 물들기 전엔 눈에 생기만 잃었을 뿐 유저들이 알고 있는 본편 시로코의 모습과 다른 게 없으며 대사칸 이름 옆에 소속도 대책위원회가 적혀있고 선생의 중태 전까진 본편의 시로코와 같은 삶을 살아왔다. 방주에서 본편의 시로코가 변질된 존재가 아니라 따로 있던 것으로 밝혀지긴 했지만 사실상 유저들이 알고 있는 본편 시로코가 변질된 모습이 실재하고 있는 셈이다. * 목적과 기억을 잃고 사막 한가운데 떨어져 떠돌이로 살다가 아비도스의 대책위원회와 만나며 평범한 학생으로서 살아갈 수 있었으나 선생이 테러를 당해 사경을 헤맬 정도의 부상을 입자 방패막이가 사라진 아비도스는 끝내 몰락해 시로코는 한 명씩 친구들을 떠나보내야 했고 최종적으로는 혼자 남아 의미 없는 빚 갚기만 반복한 끝에 고통받기 위해 태어났다고 생각할 만큼 정신적으로 망가지게 된다. * 결국 치명상을 입어 사막 한가운데에서 쓰러진 시로코는 [[무명사제]]들에 의해 색채에 침식되어 변질되어 버렸고 이런 시로코를 구하고자 사경을 헤매던 [[프레나파테스|선생]]과 [[A.R.O.N.A|아로나]]는 색채를 받아들여 무명사제들의 꼭두각시가 되면서까지 시로코를 챙겨주려고 했으나 이로 인해 오히려 정신이 더욱 망가져 버린 채 엇나간 삶을 살아왔다. * 그나마 다른 시간대의 시로코에게 다행인 점은 프라나가 아로나에게 거둬진 것처럼 본편 시간대에 남게 되어 본편 시간대의 선생에게 거두어져 아비도스 학생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백귀야행의 예언자인 쿠즈노하를 통해 아직 구원의 여지가 있음이 암시되었다.[* 아비도스 가구 테마 중 샌드위치와 도시락이 놓인 책상, 즉 '''여섯 번째''' 책상의 존재도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지만 시로코*테러와 상호작용하는 가구는 따로 출시되었다.] 미래를 알고 있는 다른 시간대의 시로코가 본편의 시간대에 남은 덕분에 선생에 대한 테러 등 각종 위험 요소를 미리 알고 대비하게 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예측도 가능하다. 다만 색채에 접촉하거나 동일인물이 같은 시간축에 남아 있다면 뭔가 영향이 있을 거란 것도 암시되고 있다.[* 예시로 [[A.R.O.N.A]]는 프라나라는 이름을 받고 싯딤의 상자에 합류하며 먼저 거둬졌는데 이로 인해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려 아로나의 잠이 늘었다고 한다. 이후 3장에서 [[지하생활자]]가 '''선생은 과거를 바꿀 수 없으니 과거로 공략하면 된다'''고 말하는 모습을 보여 일부 유저들이 카운터가 '''미래''' 아니냐며 '''아비도스'''와 '''미래'''라는 키워드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쿠로코가 등장할 때라고 추측했다. 이후 진짜로 선생의 비장의 카드가 되었다.] * 특이하게 공개된 일러스트나 장면을 보면 오른쪽 눈을 앞머리로 반 정도 내지는 거의 가리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일단 과거의 시로코가 부상인지 오른쪽 눈을 붕대로 감고 피폐한 모습이었기 때문에 이것과 연관이 있다는 추측이 있다. 한편 시로코의 주시안이 오른쪽이고 일러스트상의 시로코*테러는 여전히 오른쪽 눈으로 조준하는 것을 보면 적어도 현 시점에는 시각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상에서의 시로코*테러는 왼쪽으로 조준하고 사격한다. 이는 하드 스테이지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자세가 일정했던 적도 있고 스토리상에서 [[조마에 사오리|사오리]]나 [[미소노 미카|미카]]는 적으로 등장했을 때 왼손으로 파지하고 왼쪽 눈으로 조준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딱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후자의 경우엔 일러스트를 따를 수밖에 없는데 사오리나 미카도 일러스트상 오른손에 총을 파지하고 아군으로 참전한 시점에선 오른쪽 눈으로 조준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시로코*테러도 캐릭터가 잘 보여야 하는 게임상의 허용으로 왼쪽으로 조준하지만 실제론 일러스트대로 오른쪽으로 조준한다고 볼 여지가 있다.] * 블루 아카이브 오피셜 아트웍스 VOL.2의 [[https://twitter.com/DNAmc2012/status/1649775067507687427|표지]]를 담당했다. 시로코가 표지를 담당했던 VOL.1과 합쳐 보면 위의 수미상관을 노린 표지가 완성되며 표지 색도 밝은 톤의 시로코와는 달리 어두운 톤의 배경을 사용하고 있다. * 어과초 콜라보레이션에서 콜라보 단골이었던 [[시라이 쿠로코]]가 제외된 것을 두고 팬들 사이에서 이 쿠로코가 미리 손을 써서 어과초 쿠로코가 못 나오게 만들어 버렸다는 드립이 나왔다.[[https://arca.live/b/bluearchive/8944994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