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시로미 이오리/수영복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PVP === 오한 도트데미지를 걸어 회피탱커를 녹이는 지속딜러로 활약한다. 오한은 '''회피를 무시'''하고 무조건 명중하기 때문에 현재 전술대항전 주류라고 할 수 있는 회피탱커들의 카운터가 될 수 있다. 경장탱은 그야말로 살살 녹고 중장갑, 특수장갑 탱커에게도 무시못할 지속 피해를 주어 사망한 후로도 전장의 판세에 기여한다. SR 무기군 캐릭터답게 기본 공격력이 높아서 성작, 강화 스킬, 전용무기 육성을 통해 다른 아군 딜러보다 공격력을 높여놓으면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을 우선 목표로 삼는 [[스노하라 슌]]의 EX 평타 어그로를 가져올 수 있는데, 수오리는 방어 타입이 특수장갑에 장비도 체력을 크게 올려주는 배지를 장비하는지라 타 딜러에 비해 슌의 공격을 훨씬 오래 버틸 수 있다. 상기한 특징들로 인해 경장갑 탱커들을 카운터치면서 상대 슌에게서 내 슌을 지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딜탱 역할을 소화할 수 있다. 작정하고 엄폐물에 숨도록 배치시킨 뒤 [[카스가 츠바키]]가 도발로 어그로 핑퐁까지 해주면 상대 슌이 EX 시간 내내 수오리를 쏴도 0킬로 끝나기도 할 정도고 아예 힐러인 [[아마미 노도카/온천|온도카]]까지 발동되면 슌의 평타로는 끄떡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일섭은 정작 지형적성이 가장 좋았던 야외전때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다 시즌3를 맞아 실내전으로 바뀐 뒤에 [[이구사 하루카|하루카]]의 기용율이 높아지자[* 2021년 10월 대규모 개선 업데이트 전까지 일섭은 모집에서 중복학생이 떠도 레어도에 따른 엘리그마만 지급되고 해당 캐릭터의 엘레프는 주지 않아 태생 1성들의 육성은 극소수를 빼면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었다. 거기다 하루카의 엘레프가 파밍되는 임무는 H13-1과 H15-1에나 등장하기에 소수의 지갑전사들이 아니면 실전투입될만한 수준으로 육성되지 않았고, 이러한 이유들로 시즌2까지는 많이 쓰이지 않던 것이 야외에서 실내로 변하며 지형적성'''C→S,SS'''로 떡상한 [[시로미 이오리|이오리]]가 메타를 휘어잡자 그제서야 대항책으로 너도나도 부랴부랴 투자하기 시작한 것.] 카운터 칠 조커픽으로 연구가 시작됐다. 점차 상대의 하루카만 잘 잡는 게 아니라 슌을 틀어막는다는 장점까지 드러나자, '[[나츠메 이로하|이로하]]를 빨리 꺼내기 위해 양측 다 십중팔구 슌이 있음, 그런데 이로하가 예열되기 전 상대 슌이 EX를 빠르게 쓰고 후열을 들쑤시면 이로하를 먼저 내더라도 패배할 수 있음, 그런 사고를 방지' 하는 안정화 픽으로서 메타에 들어왔다. 때문에 이로하의 주포에 휩쓸리면 한방에 죽는 상성임에도 역설적으로 이로하와 공생 관계이며, 최근 [[하카리 아츠코|아츠코]]를 카운터치려고 [[이케쿠라 마리나|마리나]]의 기용율이 높아지자 마리나의 불사를 빠르게 빼버리는 역할로도 활약하는 등 통상 못지않게 자주 보이고 있다. 한섭은 일섭의 미래시가 있는 데다 유저 성향이 훨씬 경쟁적이다 보니, 시즌2 초반부터 [[카쿠다테 카린|카린]]에게 0.5배/[[시즈야마 마시로/수영복|수시로]]에게 1배로 맞는 [[이구사 하루카|하루카]]가 빠르게 기용되기 시작했는데[* [[소라사키 히나/수영복|수히나]]가 시즌2의 1티어 픽 중 하나지만, MG특유의 낮은 배율로 난사하는 공격방식이 방어력 탱커에게 취약한데다 하루카의 서브 스킬 자판기나 다름없어서 상성에서 앞서는데도 불구하고 하루카를 녹이지 못한다. 히비키까지 비주류인 메타라 하루카를 억제하지 못하는 중.] 이 하루카를 카운터치면서 상대 5성 [[소라사키 히나/수영복|수히나]]의 EX 풀히트를 맞아도 그리 큰 타격을 입지 않는 조커픽으로서 수오리도 점차 기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다 [[미카모 네루/바니걸|바네루]]까지 출시되면서 3탱/4탱이 시즌2의 주요 덱으로 부상하자 공격 덱에도 수오리를 편성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상대가 탱커 위주면 장기전이 되는데 지속딜 위주인 수오리에 부합하는데다가 마침 야외 S라 딜량도 상당하기 때문. 상대 슌에게서 내 슌을 지키는 역할도 건재한데, 1슬롯이 신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했듯 야외 적성이 높아 슌보다 성작/강화 스킬이 조금 낮아도 슌보다 공격력을 높게 맞출 수 있어 육성 부담도 덜하다. 실내전으로 맵이 바뀐 뒤에도 하루카를 잘 잡는 차별점 덕분에 통상버전과 주력딜러 자리를 나눠먹고 있는 중. 메타가 이렇게 돌아가다 보니 수오리가 합동화력시험이나 카이텐저 인세인 정도쯤에야 쓸 자리가 생긴다고 듣고, 한정 이중픽업때 청휘석을 아꼈던 유저들 상당수가 멘붕하기도 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x&no=2065239|#]] 단점은 상대 탱커진에 경장갑이 없으면 딜러로서의 역할이 애매해진다는 것. 야외전 시즌때는 3탱이라도 츠바키+바네루+호시노 구성을 쓰는 유저가 적지 않았는데, 통상 이오리에게는 한끼 식사 정도의 라인업이지만 수오리는 호시노는 그렇다 쳐도 바네루와 츠바키는 한참을 애먹기 때문에 카린과 수시로의 EX가 제때 붙어주는 운이 필요했다. 물론, 수오리를 전무 2성 이상에 스킬 레벨을 퍼펙트 수준으로 키웠다면 EX가 중장갑 탱커들에게도 생사를 오갈 정도의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하루카가 없는 상대로도 쓸만하다. 실내전 시즌에는 통상 이오리를 경계한 경장갑 탱커 기용이 대세가 되었기에 없다시피한 단점이 되었고, 대신 이로하에게 약점이 찔린다는 단점이 생기나 정작 이로하+'''슌'''이 수오리를 기용하는 주된 이유인 만큼 픽률에는 별 영향이 없다. 시즌 4 들어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첫째로 맵이 거대하고 중앙의 동상때문에 파티가 위아래로 둘씩, 즉 탱커1+딜러1 두개로 갈리면서 수오리가 다른 딜러인 슌을 보호할 범위에 위치하기 애매해졌다. 둘째로 엄폐물의 체력이 20만인 맵 특성에 더해 시가적성이 S~SS인 슌은 운만 따라주면 수오리의 프렌드실드 없이 혼자서도 잘 살아남게 됐다. 셋째로 상대 슌의 어그로를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끌 수 있는 [[수야네]], EX 한방이면 탱커고 수오리고 무시하고 확실하게 슌을 딸 수 있는~~[[네코즈카 히비키/응원단|치비키]]~~ [[뉴루나]] 등 신캐들의 출시로 메타가 변했다. 마지막으로 시즌4의 가장 까다로운 탱커는 [[하야세 유우카|유우카]]인데 수오리가 이걸 잘 잡는 편이 아니다. 시즌4에서도 마리나가 많이 쓰이는 경장 탱커이기에 불사를 켜기도 전에 녹여버리는 깜짝 폭딜은 가능하지만 딱 거기까지만 기대가능한 조커픽. 시즌 5에서 다시 지형적성 최대가 되었지만 재평가받지는 못하고 있다. 초반 메타를 지배한 [[뉴루나]]와 [[시모쿠라 메구|메구]]가 슌을 쉽게 끊어버리는건 물론 경장갑 탱커에게 강한지라, 하루카나 미카 등은 씨가 마르고 마리나 정도만 기용되는 추세 때문. 이후 뉴루나 상대로 상성에서 유리하고 EX가성비가 더 좋은 [[수히나]], [[뉴츠키]]가 뉴루나를 끌어내리며 딜러 자리경쟁을 하는 와중에도 수오리의 평가는 그대로다. 뉴루나와 수히나 뿐이라면 한섭 시즌 2 때처럼 상성상 유리함을 보고 쓰일수도 있었지만 수오리의 치명적인 카운터인 뉴츠키로 인해 안심하고 기용하는 게 불가능한 상황에, [[수로코]]까지 출시되자 아예 [[퀵드로우]] [[초살]]메타가 도래해서 지속딜러인 수오리에겐 더 상황이 나빠졌다. 다만 공덱에서는 어느 정도 명맥을 잇는 중이다. 상대의 방덱 배치에 따라서 [[켄자키 츠루기|츠루기]]로 상대 전열을 한 곳으로 모아버려 후방 딜러들을 노출시킨 다음, 이 후방 딜러들과 수오리를 1:1로 마주하는 구도를 유도할 수 있다. 수오리는 특성상 평타가 상당히 위력적이고 뱃지까지 착용해서 대부분의 딜러들과 맞대면 상황에서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적진 후방에 점점 침투해서 딜러들을 하나씩 요리해버리는 수오리를 볼 수 있다. 즉 기존의 활용법이었던 내 슌을 지키거나 경장갑 탱커를 견제하는 대신, 뱃지 딜탱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https://youtu.be/wgfXo_gE4gM?feature=shared&t=208|예시]] 혹 상대의 첫 EX가 뉴츠키더라도 선딜 동안 최소 사거리 안쪽으로 파고들기에 허망하게 잘리진 않는다. 물론 어디까지나 조커픽일 뿐 방덱 구조에 따라 통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공덱이 아닌 방덱에 기용하기는 여전히 좋지 않다. 다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회피를 무시한다는 점이 현재 주류메타인 회피탱커 상대로 유효하기 때문에 나름의 입지는 있는 편. 방덱으로는 뉴츠키 등으로 쉽게 카운터할 수단이 있어 잘 안 쓰이지만 공덱에서는 상황에 따라 꽤 괜찮은 픽으로 쓰이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