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승리의 여신: 니케
(r8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흥행 == 높게 책정된 과금 구조, 수많은 버그 등 수많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발매 초기에 높은 매출을 올리는데 성공했다. 일시적이나마 한국, 대만, 일본 등지에서 앱스토어 실시간 매출 1위에 올랐고, 일본의 경우 꽤나 오랫동안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 일간 매출 1위를 유지하기도 했다. 이렇게 11월 한 달 동안 벌어들인 매출은 약 1억 달러(약 1270억 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운영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비난을 받았던 시기지만, 역설적으로 오픈 효과로 가장 높은 매출을 찍은 해이기도 했다. 심지어 이 당시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방한 중이던 시기였는데, 이와 같은 니케의 흥행 덕분에 제작사 시프트업은 이 시기에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와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tablebordercolor=#fff><bgcolor=#fff><nopad>[[파일:39514-116-96c6428ce316215e87eb39fbb18a20a8-625x370.webp|width=100%]]|| 특히 니케의 매출 비중 과반이 일본발인 것으로 집계되는데, 실제로 일본에서 니케는 '''일본 2022년 신규 어플 액티브 유저 순위 1위'''를 기록했으며 [[https://news.yahoo.co.jp/articles/f669de6809dd51bcbd56cc37ee2823bcb11ad378|기사]][* 참고로 남성층에 한정한 순위도 역시 니케가 1위였고, 여성층에 한정한 순위는 [[인더섬 with BTS]]가 1위를 기록하여 한국에서 만든 콘텐츠들이 각각 성별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매출 또한 2022년 11월 평균 일간 매출 160만 달러에서, 12월 평균 일간 매출 140만 달러로 급격한 매출 하락없이 순항중이다. [[패미통]] 주간 인기순위(11월 29일 ~ 12월 5일) 공동 2위[* [[포켓몬스터 스칼렛]], [[원신]],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와 공동 선정. 1위는 [[스플래툰 3]]였다.]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하기도... 심지어 12월 9일에는 일본 앱스토어 일간 매출 1위로 복귀했다. 또한 운영과 관련해서 좋지 못한 이슈들로 많은 유저들이 떠나는 상황에서도, 12월 국내 게임어플 이용자수 30위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23년 새해가 밝음과 동시에 유저들의 애착심은 물론 인게임 성능까지 1티어 급인 캐릭터 [[모더니아]]의 픽업 이벤트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한동안 처져있었던 매출순위가 급등하여 국내에서는 1월 1주차에 구글플레이 4위에 복귀했으며, 일본에서도 양대마켓 4~6위를 오가는 높은 성적을 거뒀다. 그리고 결국 모더니아 픽업 끝물이던 1월 13일에는 근 한달 만에 일본 앱스토어 1위를 다시 차지했다. 한국산 서브컬처 게임 중에서는 거의 압도적으로 일본에서 흥행에 성공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출시 이후로 매출 상위권에서 벗어난 적이 거의 없을 정도로 흥행 진행 중이고 0.5주년이 지난 현재도 인기가 상승 중이다. 일본에서 니케보다도 더 크게 흥행한 국내 게임인 [[블루 아카이브]]와 비교해도 매출이 1.5배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https://game-i.daa.jp/?AppStore%E6%9C%88%E9%96%93%E3%82%A2%E3%83%97%E3%83%AA%E3%82%BB%E3%83%BC%E3%83%AB%E3%82%B9%E4%BA%88%E6%B8%AC|#]] 블루 아카이브보다 매출이 높은 이유로는 승리의 여신 니케의 패키지 쪽이 깡재화 가챠보다는 저렴하기에 많은 유저들이 2주 단위로 3만원짜리 패키지를 지르는 유저도 있고 천장 9만원짜리 스킨 가챠는 물론 정가제 스킨도 있기에 캐릭터 수집형으로만 승부를 보는 블루 아카이브에 비해 지를 수 있는 요소가 많다.] 정리를 하자면 초반에 운영과 BM에 관련된 논란이 많았지만, 국내에서 나름 이용자가 많고 서브컬처와 가챠 게임의 본고장 일본에서 상위권 매출을 찍고 꾸준히 좋은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서브컬처 가챠 게임이 상대적으로 비주류인 미국에서도 100위권 순위를 유지하는 매출을 내고 있다는 점에서 게임의 흥행은 이미 일정 궤도에 올랐다고 볼 수 있다. 출시 반년이 지난 이후에도 꾸준히 흥행 노선을 타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 구글 매출 순위 TOP 60 밖으로 나가본 적이 없다. [[https://www.mobileindex.com/mi-chart/realtime-rank?pkg=com.proximabeta.nikke&route=app-detail%2Fapp-info%2Fmarket-rank-history|#]] 출시 1년 반이 된 현재, 일본과 한국 다음으로 북미권 유저들이 3분할을 하는 중이며 특히 일본에서는 니케의 캐릭터성과 스토리 때문에 흥행을 이어나가고 있다. 한국에서도 초창기에는 순위가 왔다갔다 하다가 2024년을 기점으로 완전히 상위권으로 자리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XIbJS9Vwj4&t=328s|#]] 게임 인기에 비해 2차 창작은 상당히 약세이며 반대로 코스프레는 게임 인기에 비해서도 상당히 활발하다. 실제로 한국의 일러스타 페스, 코믹월드 그리고 일본의 코믹 마켓에서 부스는 일부러 찾으려 해도 찾기 힘든 반면 코스플레이어는 어딜 봐도 보이는 수준으로 많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